• 제목/요약/키워드: sodium(Na)

검색결과 2,550건 처리시간 0.027초

Salinity Stress Resistance Offered by Endophytic Fungal Interaction Between Penicillium minioluteum LHL09 and Glycine max. L

  • Khan, Abdul Latif;Hamayun, Muhammad;Ahmad, Nadeem;Hussain, Javid;Kang, Sang-Mo;Kim, Yoon-Ha;Adnan, Muhammad;Tang, Dong-Sheng;Waqas, Muhammad;Radhakrishnan, Ramalingam;Hwang, Young-Hyun;Lee, In-J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9호
    • /
    • pp.893-902
    • /
    • 2011
  • Endophytic fungi are little known for their role in gibberellins (GAs) synthesis and abiotic stress resistance in crop plants. We isolated 10 endophytes from the roots of field-grown soybean and screened their culture filtrates (CF) on the GAs biosynthesis mutant rice line - Waito-C. CF bioassay showed that endophyte GMH-1B significantly promoted the growth of Waito-C compared with controls. GMH-1B was identified as Penicillium minioluteum LHL09 on the basis of ITS regions rDNA sequence homology and phylogenetic analyses. GC/MS-SIM analysis of CF of P. minioluteum revealed the presence of bioactive $GA_4$ and $GA_7$. In endophyte-soybean plant interaction, P. minioluteum association significantly promoted growth characteristics (shoot length, shoot fresh and dry biomasses, chlorophyll content, and leaf area) and nitrogen assimilation, with and without sodium chloride (NaCl)-induced salinity (70 and 140 mM) stress, as compared with control.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copy showed active colonization of endophyte with host plants before and after stress treatments. In response to salinity stress, low endogenous abscisic acid and high salicylic acid accumulation in endophyte-associated plants elucidated the stress mitigation by P. minioluteum. The endophytic fungal symbiosis of P. minioluteum also increased the daidzein and genistein contents in the soybean as compared with control plants, under salt stress. Thus, P. minioluteum ameliorated the adverse effects of abiotic salinity stress and rescued soybean plant growth by influencing biosynthesis of the plant's hormones and flavonoids.

도토리 가루의 성분분석과 항산화능 평가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tive Evaluation in Acorn Powders)

  • 심태흠;김영선;사재훈;신인철;허성일;왕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800-803
    • /
    • 2004
  • 도토리 가루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개발을 목적으로 도토리 가루의 화학성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이 87.29%, 수분 10.57%, 조지방 1.18%, 조단백 0.84%, 회분 0.12% 순으로 나타났다. 도토리 가루에 가장 많은 무기성분으로는 K이 40.68mg/100g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P(8.95mg/100g), Ca(8.64mg/100g), Mg(4.67mg/100g), Na(3.94mg/100g), Fe(1.41mg/100g) 순으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총 7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그 중 glucose가 대부분으로 나타났고 rhamnose, galactose, arabinose, mannose, fucose, xylose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주요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C18:1)가 31.87%로 가장 높았고, linoleic acid(C18:2)는 18.72%, linolenic acid(C18:3)는 16.67% 그리고 palmitic acid(C16:0)가 11.32% 순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효과는 물 추출물에서 $IC_{50}$$19.0{\mu}g/mL$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75% 에탄올 추출물$(IC_{50}:\;21.4{\mu}g/mL)$ 및 메탄올 추출물$(IC_{50}:\;45.2{\mu}g/mL)$순으로 항산화 효과가 측정되었다.

시금장 발효기간에 따른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Attributes of Sigumjang with Fermentation)

  • 최응규;권오준;손동화;차원섭;조영제;이석일;양성호;정영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7-112
    • /
    • 2001
  • 시금장의 발효기간별 각종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세균은 발효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였으며 효모와 곰팡이는 발효 3일째까지는 그 수가 점점 증가하다가 4일째 부터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젖산균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5종류가 검출되었다. 휘발성 유기산은 acetic acid, propionic acid 및 butyric acid 등 3종이 검출되었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oxalic acid와 citric acid가 가장 많았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1,407.9{\sim}3,053.9\;mg%$였으며, glutamic acid>phenylalanine)arginine>valine순으로 많았다. 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총 아미노산에 대해 $34.4{\sim}37.0\;mg%$였다. 총 무기질 함량은 $12,966.7{\sim}13,864.5\;mg%$였으며, 첨가된 Na를 제외하면 K>P>Mg>Ca>Fe>Zn>Mn>Cu의 순으로 많았다. Ca과 P의 비는 0.1이었다. 시금장의 주요 구성 지방산은 18:2, 16:0, 18:1이 전체의 약 92.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총 불포화 지방산은 $76.3{\pm}1.1%$였다. 관능검사결과 $20^{\circ}C$에서 3일째부터 5일째 사이에 가장 높았다.

  • PDF

이매패의 Carotenoid 색소성분 1. 홍합과 진주담치 근육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arotenoid Pigments of Bivalves 1.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from Muscle of Mussel and Blue mussel)

  • 하봉석;강동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9-375
    • /
    • 1991
  • 홍합과 진주담치 근육의 carotenoid를 TLC,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고, $NaBH_4$에 의한 환원반응, $I_2$에 의한 이성화반응 및 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혼합 근육의 총 carotenoid함량은 수컷이 0.4mg%, 암컷은 2.7mg%이며, 주 cartenoid는 수컷이 3, 4, 3'-trihydroxy-7', $8'-didehydro-{\beta}-carotene$ 26.3%, pectenoxanthin 24.8% 및 mytiloxanthin 23.4%였고, 그외 pectenolone 14.0%, diatoxanthin 5.1%의 순으로 함유하며, 암컷은 mytiloxanthin 33.4%, pecteno-xanthin 22.8% 및 3, 4, 3'-trihydroxy-7', $8'-didehydro-{\beta}-carotene$ 22.5%였고, 그외 pectenolone 9.9%, diatoxanthin 6.1%의 순으로 함유하여 서로 유사하였다. 진주담치 근육의 총 carotenoid함량은 수컷이 1.1mg%, 암컷은 3.2mg%이며, 주 carotenoid는 수컷이 mytiloxanthin 33.8%, pectenoxanthin 28.4%였고, 그외 diatoxanthin 18.1%, pectenolone 9.7%, 3, 4, 3'-trihydroxy-7', $8'-didehydro-{\beta}-carotene$ 5.5%의 순으로 함유하며, 암컷은 pectenolone 8.7%, diatoxanthin 5.0% 및 3, 4, 3'-trihydroxy-7', $8'-didehydro-{\beta}-carotene$ 3.1%의 순으로 함유하여 서로 유사하였다. 그러나 홍합과 진주담치의 근육 carotenoid는 암컷이 수컷보다 총 carotenoid 함량이 높은 함량치를 보였고, diatoxanthin과 3, 4, 3'-trihydroxy-7', $8'-didehydro-{\beta}-carotene$의 함량에서 차이를 보였다.

  • PDF

새로운 3가 유기루테늄 착물의 합성과 반응 (Synthesis and Reactions of Organoruthenium(Ⅲ) Complexes)

  • 이동환;김학구;서대룡;김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8-104
    • /
    • 1993
  • $[({\eta}^5-C_5Me_5)RuCl_2]_2$ (1)과 1당량의 포스핀을 반응시켜 새로운 상자기성 루테늄(Ⅲ) 착물 $({\eta}^5-C_5Me_5)RuCl_2(PR_3) (PR_3 = PMe_3,\;PEt_3,\;PiPr_3,\;PCy_3,\;PMe_2Ph,\;PMePh_2,\;PPh_3,\;P(p-C_6H_4CH_3)_3$, DPPE, DPPB, Py) (2a∼2k)를 합성하였다. 자기화율의 측정으로 부터 얻어진 착물 (2a∼2k)의 유효자기모멘트값(${\mu}_{eff} = 1.65∼2.07 B.M.$)은 분자내 짝을 이루지 않는 전자가 1개 있는 전자배치의 경우와 일치하였다. 디클로로루테늄(Ⅲ) 착물 ({\eta}^5-C_5Me_5)RuCl_2(PR_3)$ (2) 는 (ⅰ)아세톤 용매 중에서 KBr과 반응하여 디브로모루테늄(Ⅲ) 착물 $({\eta}^5-C_5Me_5)RuBr_2(PR_3) (PR_3 = PPh_3)$로 전환되었고, (ⅱ) 디에틸에테르 용매 중에서 Na/Hg과 반응하여 비스(포스핀) 유도체 $({eta}^5-C_5Me_5)RuCl(PR_3)_2 (PR_3 = PMe_3,\;PMePh_2)$로 환원되었으며, (iii) CO와 반응하여 카르보닐 유도체$({\eta}^5-C_5Me_5)RuCl(PR_3)(CO) (PR_3 = PMe_3,\;PPh_3)$를 생성하였다.

  • PDF

Headspace SPME GC/FID를 이용한 Chlorinated Solvents의 경쟁적 추출효과에 관한 연구 (Competitive Extraction of Chlorinated Solvents by Headspace SPME GC/FID)

  • 안상우;김영주;천석영;이시진;박재우;장순웅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61-67
    • /
    • 2010
  • 본 연구는 GC/FID에서 염화유기용제(PCE와 TCE)와 그 부산물(cis-DCE, VC, 그리고 Ethylene)의 분석을 위하여 액-액추출법의 대안인 SPME방법을 연구하였다. 실험인자로써 fiber의 종류, 흡착 및 탈착시간, headspace의 부피, 염석효과, 그리고 교반효과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염화유기용제와 부산물의 분석을 위하여 fiber는 CAR/PDMS, 흡착과 탈착시간은 $250^{\circ}C$에서 20분과 5분, 염첨가량 25%와 교반이 병행되었을 때에 최적의 분석조건으로 도출되었다. CAR/PDMS fiber에서 분석물의 추출감도는 PCE>TCE>cis-DCE>VC>Ethylene순으로 조사되었다. 염화유기용제와 부산물의 농도 $10{\mu}g/L$에서 $500{\mu}g/L$까지의 직선상의 상관계수($R^2$)는 0.912에서 0.999로 조사되었으며, $500{\mu}g/L$(5회 분석)일 때에 상대표준편차(% RSD)는 2.1%에서 3.6%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염화유기용제와 부산물의 검출한계(LOD)는 $0.5{\mu}g/L$에서 $10{\mu}g/L$로 관측되었다.

한국산 녹두와 중국산 녹두에 있어서 Lectin의 생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Korean and Chinese Mung Bean Lectin)

  • 노광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03-611
    • /
    • 2014
  • 한국산과 중국산 녹두 종자에서 0.15 M NaCl/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7.0)에 의한 추출, $(NH_4)_2SO_4$ 침전, 최종적으로 Sephadex G-100을 이용한 affinity chromatography에 의해 lectin을 분리한 다음, 이들의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사람의 적혈구는 trypsin의 처리 유무와 상관없이 응집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토끼의 적혈구에서는 trypsin을 처리한 경우에만 응집반응이 일어났다. 두 녹두 종자 lectin의 분자량은 SDS-PAGE를 통해 54 kDa와 28 kDa로 확인되었다. 한국산 녹두 종자 lectin의 최적 반응 온도는 $60^{\circ}C$이며, 중국산 녹두 종자 lectin의 경우는 $50^{\circ}C$로 나타났다. 종자 lectin이 열에 가장 안정한 온도는 한국산의 경우는 $50^{\circ}C$이며, 중국산의 경우 $40-50^{\circ}C$로 밝혀졌다. 한국산 녹두 종자 lectin은 pH 3.2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중국산 녹두 종자 lectin은 pH 6.2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변성제를 처리했을 때, thiourea와 guanidine-HCl과는 혈액 응집이 일어나지 않아 변성작용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고, urea와는 혈액 응집이 일어나지 않아 변성작용이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D-glucose외 6가지의 탄수화물에 대한 특이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두 녹두 종자의 lectin은 $Ca^{2+}$, $Co^{2+}$, $Cu^{2+}$, $Cu^{2+}$, $Mg^{2+}$$Mn^{2+}$ 등의 금속이온에 대한 특이성이 없었다.

Leuconostoc fallax LH3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한 Ginsenoside Rd의 Ginsenoside F2로의 전환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d to Ginsenoside F2 by Enzymes of Leuconostoc fallax LH3)

  • 전림호;성락금;나주련;김호빈;박민주;김세화;김명겸;양덕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55-160
    • /
    • 2008
  • Ginsenosides have been regarded as the principal components, responsible for the pharmacological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ginseng. Absorption of major ginsenosides at the gastrointestinal tract was extremely low, when ginseng taken orally. In order to improve the absorption and bioavailability, transformation of major ginsenosides into more active and valuable minor ginsenoside is much required. In this present study, We isolated a lactic acid bacteria Leuconostoc fallax LH3 from the Korean fermented food Kimchi, which have higher ${\beta}$-glucosidase activity. Using the ethanol precipitated curd enzyme of Leuconostoc fallax LH3, we investigated the bio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d at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 to increase transformation. The maximum convertion was supported at 30 $^{\circ}C$ and decreased when temperatures increased. In order to optimize the effect of pH, the curd enzyme was mixed 20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3.5 to pH 8.0). Ginsenoside Rd was almost hydrolyzed between pH 7.0 and pH 9.0, but not hydrolyzed above pH 10.0. Ginsenoside Rd was hydrolyzed after 24 hrs incubation, but whereas the ginsenoside F2 was appeared from 36 hrs, and all ginsenoside Rd was transformed to F2 after the 60 hrs incubation. Based on this study, the curd enzyme of Leuconostoc fallax LH3 transformed the ginsenoside Rd at the 30$^{\circ}C$ and the pH optimum of 7.0 to 9.0 after the 60 hrs incubation time.

아황산금나트륨염을 이용한 Au 범프용 금도금층의 표면형상 및 우선적 결정 성장방향 (Surface Morphology and Preferred Orientation of Gold Bump Layer formed by using $Na_3[Au(SO_3)_2]$)

  • 김인수;양성훈;박종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673-681
    • /
    • 1995
  • 아황산금나트륨염을 이용하여 형성된 약 20$\mu\textrm{m}$ 금도금층의 표면형상 및 우선적 결정 성장 방향에 대하여 전류밀도, 온도, 농도, pH, 교만속도, 금이온농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표면형상은 cathode 근처의 금이온농도가 증가하는 조건[전류밀도(13.0mA/$\textrm{cm}^2$2$\longrightarrow$4.6mA/$\textrm{cm}^2$)], 온도 (3$0^{\circ}C$$\longrightarrow$6$0^{\circ}C$), pH(12.0$\longrightarrow$9.0), 교반효과(Orpm$\longrightarrow$3200rpm), 금이온농도(10g /1$\longrightarrow$l4g/1)으로 갈수록 porous한 조직에서 미세한 조직으로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X선분석에 의하면 금도금층의 결정성장의 주방향은 표면형상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표면형상이 미세화되는 조건인 전류밀도(13.0$\longrightarrow$14.6mA/$\textrm{cm}^2$), pH(12.0$\longrightarrow$9.0)는 감소 할수록, 온도(3$0^{\circ}C$$\longrightarrow$6$0^{\circ}C$), 교반속도(0rPm$\longrightarrow$3200rpm), 금이온농도(10g/1$\longrightarrow$g/1)]는 증가 할수록 결정성장의 주회절피크는 (111)에서 (220)으로 그 성장면이 변하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 PDF

제주시 도심지역 미세먼지의 화학적 조성 특성 (Chemical Composi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in the Downtown Area of Jeju City)

  • 허철구;이기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597-610
    • /
    • 2018
  • This study observed particulate matter ($PM_{2.5}$ and $PM_{10}$) in the downtown area of Jeju City, South Korea, to underst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articulate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water-soluble ionic species contained in the particles. The mass fraction of the ionic species in the sampled $PM_{10}$ and $PM_{2.5}$ was 44.3% and 42.2%, respectively. In contrast, in Daegu City and Suwon City, the mass fraction of the ionic species in $PM_{2.5}$ was higher than that in $PM_{10}$. The chloride depletion percentage of $PM_{10}$ and $PM_{2.5}$ in Jeju City was higher than 61% and 66%, respectively. The contribution of sea-salt to the mass of $PM_{10}$ (5.9%) and $PM_{2.5}$ (2.6%) in Jeju City was similar to that in several coastal regions of South Korea. The mass ratio of $Cl^-$ to $Na^+$ in the downtown area of Jeju City was comparable to that in some coastal regions, such as the Gosan Area of Jeju Island, Deokjeok Island, and Taean City. The mass fraction of sea-salt in $PM_{10}$ and $PM_{2.5}$ was very low, and the concentration of sodium and chloride ions in $PM_{10}$ was not correlated with those in $PM_{2.5}$ ($R^2$ < 0.2), suggesting that the effects of sea-salt on the formation of particulate matter in Jeju City might be in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NH_4{^+}$ and several anions such as $SO_4{^{2-}}$, $NO_3{^-}$, and $Cl^-$,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ment and calculation of ammonium ion concentration, suggested that sea-salts may not react with $H_2SO_4$, and $(NH_4)_2SO_4$ may be a major secondary inorganic aerosol component of $PM_{2.5}$ and $PM_{10}$ in Jeju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