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orker burnout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The Impacts of Social Welfare Worker's Interpersonal Stress on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Ability

  • Kim, Hyunjoo;Im, Geumok;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7-7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job burnout,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elfare worker's in social welfare center and efficient response of welfare worker'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the interpersonal stress of social welfare worker's in social welfare center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terpersonal stress as a dependent variable of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stress coping ability as a moderating variable were select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job burnout,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abil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rpersonal stress of social welfare worker'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lso,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ying ability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and the direc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The Effects of Social Worker's Job Embeddedness on Job Burnout

  • 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13-119
    • /
    • 2015
  • The purpose of t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job embeddedness on job burnout related with social worker's turnover.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decreasing the level of social worker's job burnout. In this study, embeddedness is composed of three sub-variables like fit, links, and sacrifice. Job burnout is also composed of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decrease of personal accomplishment. Thereafter, research model is established, and study hypothesis is tested through the survey.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components of job embeddednes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mponents of job burnou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some theore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Relationship among Job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Social Worker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Kang, Jong-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8권3호
    • /
    • pp.57-63
    • /
    • 2012
  • Burnout is a sever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ndrome that occurs in response to prolonged stress at work. It brings enormous costs to both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because it negatively impacts employees' job attitudes and leads to undesirable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gative effects of job burnou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ocial work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re efforts by employees above and beyond what is expected. For the research, burnout was consisted of emotional exhaustion(EE), depersonalization(PA) and diminished personal accomplishment(DP) by Maslach and Jackson's MBI. This study analyzed 342 social workers in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y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Social Workers had negative correlation to burnou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specially, EE, PA and DP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PA and DP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finally discusse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burnout strategies on the results.

직무소진, 사회적 지원과 지식창출, 공유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Social Support and Knowledge Creation and Sharing)

  • 조윤형;문명
    • 지식경영연구
    • /
    • 제15권1호
    • /
    • pp.21-43
    • /
    • 2014
  • This paper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social support and knowledge creation, sharing. also, social support are moder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and knowledge creation, sharing. We build up main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is, survey method a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exhaustion and low personal accomplishment have negative effects on knowledge creation, but haven'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second, social support significant positively impact on knowledge creation and sharing. third, both of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s support partial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and knowledge creation, sharing. especially, emotional exhaustion reduce supervisor' support to knowledge creation, sharing and low personal accomplishment reduce co-worker' support to knowledge sharing, which means although job burnout preceded, if employees perceived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that have buffer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 PDF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임파워먼트가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powerment on the Burnout and Career Commitment of Social Worker)

  • 강종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13-226
    • /
    • 2012
  • 소진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심각한 문제이고, 임파워먼트와 경력몰입은 사회복지조직의 성과 제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 종사자인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임파워먼트가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재직기간 1년 이상의 민간부문 사회복지사 26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에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임파워먼트와 경력몰입은 중간값 이상, 소진은 중간값 이하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며, 임파워먼트는 소진과 부(-)의, 경력몰입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파워먼트의 의미성과 자기결정성은 소진과는 부(-)의, 그리고 경력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진을 예방하고 경력몰입을 높이기 위한 조직 및 개인차원의 전략과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Influence of the Resilience on Burnout of Public Social Worker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 Lee, Jung-Seo;Kim, Young-H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157-16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burnout, and self-efficacy of Public Social Worker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Public Social Worker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the resilience of Public Social Workers as an independent variable, burnout as a dependent variable of occupational identity, and self-efficacy as a moderating variable were select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ilience of Public Social Worker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and the effect of resilience on burnout varied according to self-efficacy, so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고용지원센터 직장인의 자기효능감, 정서노동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lf Efficacy,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on Job Center Workers' Psychological Burnout)

  • 백숙경;김세일;천성문;주동범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129-141
    • /
    • 2011
  • 본 연구는 고용지원센터 직장인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2009년 12월부터 2010년 1월까지 부산, 울산, 김해, 진해에 소재한 고용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직장인 180명을 대상으로 우편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180부 설문지 중 140부가 회수되었으며 무응답과 불성실하게 답변한 8부를 제외하고 132부만 본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용지원센터 직장인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과 고용지원센터 직장인의 소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고용지원센터 직장인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자기효능감과 정서노동이 고용지원센터 직장인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지원센터 직장인의 심리적 소진에 자기효능감, 정서노동, 사회적 지지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고용지원센터 직장인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고용지원센터 직장인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높여 주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전략, 공감능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Job Stress, Stress Coping Strategies, Empathy ability on Burnout of Social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김보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218-226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전략, 공감능력, 소진간의 관계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3개 도시의 사회복지사 20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0년 3월 2일부터 5월 31일 2개월간 시행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s,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증진행위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과 결혼상태,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주요 변수 간의 관계에서 소진은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스트레스 대처전략 및 공감능력과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공감능력이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72.3%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공감능력을 증진시키는 것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진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of Korean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 윤혜미;박병금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3호
    • /
    • pp.279-301
    • /
    • 2004
  • 아동학대예방센터는 우리나라의 학대받는 아동의 발견, 학대여부 판정에 따라 아동과 가족의 욕구를 사정하고 서비스를 제공하여 아동의 안전하고 바람직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최일선 기관이다. 개소 4년째를 맞는 아동학대예방센터의 상담원은 시 도당 1개소에 7-8명으로, 24시간 대기태세로 비인간적이고 때로는 범죄적인 처우를 받는 아동을 치료 보호하고 의료기관 행형기관 교육기관 및 사회복지기관과 밀접한 연계를 맺어야 하는 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 있다. 아동보호사업에서는 이처럼 다양한 역할을 집중적으로 소화해야 하는 상담원들의 역할이 서비스 효과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데 비해 정작 이들의 직무상황과 소진에 대한 주목은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직무관련특성, 직업만족도가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들의 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여 소진예방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3년 3월 현재 전국의 상담원들이 조사대상이었으며 최종적으로 90명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들의 소진의 정도를 보면, 소진의 수준은 정서적 탈진, 개인적 성취감, 비인간화의 세 가지 영역 모두 매우 심각한 상태로 나타났다. 상담원이 미혼인 경우와 일선상담원인 경우, 그리고 나이가 적을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훈련 경험이 부족하다고 느낄수록, 슈퍼비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상담원의 경우 소진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만족도가 낮을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았다. 따라서 충분한 교육과 훈련기회의 제공, 적절하고 충분한 슈퍼비전의 확립 및 직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관수준의 노력이 요구된다 하겠다.

  • PDF

국내 사회복지사 소진 관련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n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in South Korea)

  • 이현정;김영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55-464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추후 이 분야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996년에서 2016년 사이에 국내학술 DB에 게재된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50편을 대상으로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방법론의 측면에서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공적 기관보다는 민간 사회복지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의 주제로는 소진관련 위험 및 보호 요인, 소진의 결과, 소진의 기제, 소진의 매개효과 탐색 등이 있었고, 사회복지사의 주관적인 소진경험에 관한 연구도 있었다. 연구방법론 측면에서는 양적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의 주제나 연구방법론이 보다 다양화되어야 할 필요를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사회복지사 소진 관련 연구의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학문적 함의를 가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