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 사회복지실천연구 경향에 관한 반성적 고찰 (A Critical Analysis on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es in Korea)

  • 김미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153-180
    • /
    • 2015
  • 이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실천연구 경향을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첫째, 그동안 한국 사회복지실천연구에 대한 비판적 논의들을 정리하였고, 둘째, '한국사회복지학' 학술지에 게재된(1998~2014)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사회복지학'에는 총 874편의 연구가 17년 동안 게재되었고, 이중 사회복지실천연구가 16.6%(145편), 실천과 관련된 경험적 연구가 40.5%(363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실천논문 145편에 대해 세부 분석결과, 연구주제별로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가 26.2%, 사회복지사가 29%, 척도개발이 20.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에 관한 연구는 2007년 이후 증가양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업성은 교수가 84.6%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실무자는 8.6%에 불과하였다. 2006년 이후 공동연구비율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독연구는 44.8%로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셋째, 사회복지실천 전공교수 8명을 개별인터뷰 한 결과, 현재 실천연구는 경계, 위기, 그리고 혼돈사이에 서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연구가 위기와 기회 사이에 선 것으로 평가하며, 연구 환경, 실천현장, 한국적 사회복지학의 재구성에 대한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 PDF

한국 임상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 연구 경향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Effectiveness Research of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in Korea)

  • 양옥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2권
    • /
    • pp.225-253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articles on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effectiveness to build a scientific and scholaristic image of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The data for analysis were the articles published in 13 professional journals including Korean J. of Social Welfare in the period of 1979 to 1999. The appearance rate of effectiveness studies was 1.28% with only 18 articles. Experimental studies consisted only 4 out of 18, and there were only 10 Quasi-experimental studies. Statistical errors were observed in most studies, so it is too early to call that the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is either effective or not effective. In order to see the comprehensive trends of the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other clinical papers were also examined. The appearance rate was also as low as 8.75% (effectiveness studies included). While 18 articles were about the therapy model, other clinical papers were about generic practice models. However, those newly developed generic practice models had not yet been widely used nor tested for effectiveness. Thus,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active research activities with solid methodology, team work with the field, theory and method development, education and re-education, and collaborative team work with other related fields. It was also pointed that the cross analysis of research papers by the publishing period, authors major and other background variables would be useful.

  • PDF

한국어판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Practice Skills Inventory)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I - 의료사회복지사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Skills Inventory I)

  • 김용석;김장배;이영숙;이현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5-32
    • /
    • 2010
  • 사회복지실천기술은 사회복지실천의 3대 요소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그 이유는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부재와도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사용하는 실천기술이 어떤 것이고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국어판 Practice Skills Inventory(PSI)를 개발하고 평가하는 목적을 갖고 수행되었다. 임상현장에서 활동하는 의료사회복지사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 31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PSI를 평가한 결과 한국어판 PSI도 영어판 PSI와 마찬가지로 4개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국어판 PSI는 양호한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비록 PSI가 외국에서 개발된 척도이나 국내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기술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 연구, 실천, 교육을 위한 함의가 제공되었다.

  • PDF

사회복지사들의 조사연구활용에 관한 연구 (Social Worker and Research Utilization in Social Work Practice)

  • 정순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2호
    • /
    • pp.251-271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들의 조사연구활용 정도를 파악하고, 조사연구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이며, 다단계 추출법에 의해 표본을 추출하였다. 우편조사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569명의 자료에 대한 순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들의 조사연구활용 정도는 매우 낮았지만, 조사연구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다. 조사연구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주로 사회복지사의 조사연구 활용능력과 관련된 조사연구에 대한 재교육 경험, 연구저널이용경험, 조사연구의 유용성에 대한 태도, 성별 등이었으며, 환경특성으로는 기관의 종류가 유의미하였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가지고 조사연구활용 활성화 방향을 찾아보았다.

  • PDF

한국 사회복지실천 현장 내 기본 실천기술의 실증적 확인 및 분류 (Basic Social Work Practice Skills: Its Empirical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in Korean Practice Fields)

  • 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1호
    • /
    • pp.61-91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현장과 실천현장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한국의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우리의 사회복지사들이 실제 수행하고 있는 실천활동을 분석해 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재 한국의 다양한 사회복지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669명의 조사 대상자 중 361명이 응답)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실천기술이 무엇인가를 한국의 실천현장에 뿌리를 두고 경험적으로 조사했다. 활용도가 높은 기술 132개의 목록을 제시했으며 그 기술들 안에 존재하는 주요 기술 축 7개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했다. 다음으로 이들 각 기술 축 안에 존재하는 하위 기술군들이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되었으며, 이들 하위 기술군을 대표하는 핵심기술지표 42개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실천현장별로 각기 다른 실천기술 축을 확인해 분류하였다. 결과의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PDF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조사연구에 관한 태도 연구 (Social Work Students and Their Attitude toward Research)

  • 정순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219-23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조사연구에 관한 태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표본은 조사가 가능한 수도권 지역 대학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추출되었으며, 최종 321명의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 전공학생들의 조사연구에 대한 태도는 중요성과 유용성에서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선행연구에 비해 낮았다. 학부생과 대학원생간의 태도 조사연구태도 차이는 유용성에 대한 태도에서만 발견되었다. 조사연구수업에 대한 견해와 사회복지실무본질에 대한 견해가 조사연구태도인 중요성과 유용성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가지고 우리나라 사회복지교육과 조사연구에 대한 함의를 찾아보았다.

  • PDF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수준과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 (A Study of Social Worker's Reflective Thinking and the Usage of Practice Skills)

  • 유영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337-362
    • /
    • 2009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신의 실천행위에 대한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가 실천기술의 활용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반성적 사고는 자신의 실천행위를 스스로 평가하고, 실천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되돌아보는 인식 과정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반성적 사고수준은 Dewey, Mezirow, Kember 등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와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반성적 사고수준과 함께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동료와 수퍼바이저와의 상호작용 등 사회복지 조직이 갖는 특성들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는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반성적 사고수준이 심층적으로 깊어질수록 실천기술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폭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켜 실천가 자신과 실천현장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히고 사회복지 전문직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제안하고 있다.

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 집단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중심으로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 이상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0권
    • /
    • pp.131-156
    • /
    • 2000
  • Many different interven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resolve the problem of clients, but research studies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uch practices can be overwhelming to social workers because of the conflicting results of them. In this study, meta-analysis was used to make sense of this research, offering the general effect size of social work practice. Meta-analysis can answer the question, "how effective is the intervention?" beyond the question, "is the intervention effective?". It can integrate the fragmentated results of research studies and provide the guidelines for best practice. Combining the results of the 16 research studies, this study computed the general effect size of social work interventions. The mean d index was. 6636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of .5355, .8018). Conversion to Cohen's $U_3$ statistics allows for the inference that three-fourths (74.7%) of the clients who participated in an intervention group did better than the average clients of non-intervention group. This means that social work interventions are practically helpful to seven of every 10 clients who experience them. In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ed the usefulness of meta-analysis, which can provide the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empirical research and guide the best approaches.

  • PDF

결혼이민자 가족을 위한 임파워먼트 기반의 사회복지실천 연구 (Social Work with Marriage Based Immigrant Families: an Application of Empowerment Approach)

  • 윤혜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85-108
    • /
    • 2009
  •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가족이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도전에 대해 사회복지실천현장의 효과적인 접근방법으로 임파워먼트 접근의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결혼이민여성의 프로필과 지원서비스현황을 파악하고, 둘째, 적응관련 쟁점을 정리하였다. 셋째, 적응쟁점을 개인과 가족 관계, 지역사회 관련 및 사회문화 관련으로 구분하고, 임파워먼트 기반 사회복지실천 접근의 내용을 각각의 쟁점별로 거시 중도 미시적 수준에서 논의하였다. 결혼이민자 가족을 위한 차별화된 접근은 다문화역량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보고, 사회복지사 자신과 사회복지기관, 지역사회의 문화적 편견에 대한인식과 다문화 지식 및 기술의 개발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다문화역량 확보에 대한 사회복지학계와 실천현장의 대응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바우처 도입에 따른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의 변화와 그 의미 (A Study on the Change and Meaning of Identity in Social Work Profess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Voucher in Korea)

  • 김인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33-58
    • /
    • 2010
  • 이 연구는 사회서비스 전달에서 바우처의 도입이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방법은 바우처 실천을 수행하는 20명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실천에서 바우처 도입은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혼란을 가져다주었는데, 사회복지사들의 역할을 중개적 관리자로,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를 시장적 관계로 변화시켰으며, 이는 관료적 통제의 증가와 영리화 기제를 통해 자율권을 축소시킴으로써 이루어졌다. 사회복지전문직에서의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변화가 아닌 '재구조화'로 볼 수 있고, 사회복지실천에서 관리주의의 압력이 가시화되고, 유사 사적실천을 형성하는 의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