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tagging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1초

소셜 북마킹 시스템에서의 북마크와 태그 정보를 활용한 웹 콘텐츠 랭킹 알고리즘 (A Web Contents Ranking Algorithm using Bookmarks and Tag Information on Social Bookmarking System)

  • 박수진;이시화;황대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245-1255
    • /
    • 2010
  • 현재 웹 2.0 환경에서의 핵심 기술 중 하나는 사용자가 관심 있는 웹페이지를 태깅 및 북마킹 하는 소셜 북마킹 기술이다. 소셜 북마킹은 웹 콘텐츠에 태깅된 북마크 정보 및 태깅 결과를 기반으로 검색, 분류, 공유를 통해 효율적인 정보 제공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소셜 북마킹 시스템들은 웹 콘텐츠의 사용자들의 관심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북마크 수 및 검색과 분류를 목적으로 하는 태그 정보를 각각 독립적으로 검색에 활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소셜 북마킹 시스템에서 중요한 특징을 가지는 북마크와 태깅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결과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태그 클러스터링을 통한 연관 태그 추출에 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북마크 정보와 혼합하기 위한 웹 콘텐츠 랭킹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 알고리즘의 효율성 분석을 위해 기존 검색 방법론들과의 비교평가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본 연구의 핵심적인 특징인 북마크와 태그 정보를 함께 활용한 소셜 북마크 시스템이 기존 시스템보다 효율적인 검색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관 태그 및 유사 사용자 가중치를 이용한 웹 콘텐츠 랭킹 시스템 (A Web Contents Ranking System using Related Tag & Similar User Weight)

  • 박수진;이시화;황대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67-576
    • /
    • 2011
  • 웹 2.0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며 그 중 대두되는 기술로 사용자가 관심 있는 웹페이지를 태깅 및 북마킹하는 소셜 북마킹 기술이다. 그러나 현재 소셜 북마킹 시스템들은 웹 콘텐츠의 중요 정보인 다른 사용자들의 관심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북마크 수 및 검색과 분류를 목적으로 하는 태그 정보를 각각 독립적으로 검색에 활용하며 또한, 다른 사용자들과의 유사도를 반영하지 못하여 소셜 북마킹 시스템의 특징을 반영하지 못한 검색결과를 도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태그 클러스터링을 통한 연관 태그 추출 및 북마크 정보와 다른 사용자의 유사도를 혼합한 웹 콘텐츠 랭킹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 알고리즘의 효율성 분석을 위해 기존 검색 방법론 및 선행 연구의 방법론과의 비교평가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본 연구의 핵심적인 특징인 태그 정보 및 북마크 수와 유사도를 활용한 방법이 기존 방법론보다 효율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Predicting the Unemployment Rate Using Social Media Analysis

  • Ryu, Pum-M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4권4호
    • /
    • pp.904-915
    • /
    • 2018
  • We demonstrate how social media content can be used to predict the unemployment rate, a real-world indicator. We present a novel method for predicting the unemployment rate using social media analysis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statistical modeling. The system collects social media contents including news articles, blogs, and tweets written in Korean, and then extracts data for modeling using part-of-speech tagging and sentiment analysis techniques. The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with exogenous variables (ARIMAX) and autoregressive with exogenous variables (ARX) models for unemployment rate prediction are fit using the analyzed data. The proposed method quantifies the social moods expressed in social media contents, whereas the existing methods simply present social tendencies. Our model derived a 27.9% improvement in error reduction compared to a Google Index-based model in th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etric.

저작관련 요소분석을 통한 폭소노미 태그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LibraryThing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ibraryThing Folksonomy Tags through the Analysis of Elements related with Work)

  • 김동숙;정연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1-6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FRBR의 저작 단위로 태그(tag)가 부여되고 있는 LibraryThing에 나타난 태그를 활용하여, 소설(Fiction) 분야 태그들의 특성, 패턴의 형식적인 측면과 동시에 태그의 내용 분석을 시도하였다. 저작의 서지사항 기술 용어, LCSH 용어와 비교하여 관련 정도를 파악하였고, 이에 포함되지 않는 기타 태그의 출처는 어디인지, 저작의 어떤 측면을 표현하고 있는지, 저작과 연계하여 태그의 용어를 살펴보았다. 특히 소설이란 한 분야로 한정함으로써, 소설만이 가지는 특성인 소설의 3요소(주제, 구성, 문체), 소설 구성의 3요소(인물, 사건, 배경)를 반영한 태그를 파악하여, 향후 소설 정보의 조직 및 검색 요소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색인어를 보완하는 폭소노미 태그의 역할을 규명하고 태깅시스템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대학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 of Folksonomy Tags in University Libraries)

  • 이성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63-480
    • /
    • 2008
  •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통제어휘 개발 가이드라인과 비교해볼 때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대학도서관의 6개월간 태그를 토대로, 폭소노미 태그의 구조와 형태를 조사하였다. 분석 대상 태그들은 시소러스 개발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조사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디지털도서관에 폭소노미 태그의 활용 방안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Do North Korean Social Media Show Signs of Change?: An Examination of a YouTube Channel Using Qualitative Tagg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 Park, Han Woo;Lim, Yon Soo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9권1호
    • /
    • pp.123-143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play between the reactions of YouTube users and North Korean propaganda. Interesting enough, the study has noticed changes in the strict media environment under young leader Kim. Messages delivered by the communist regime to the outside world appeared to resemble those of 'normal' countries. Although North Korean YouTube was led mainly by the account operator, visitors from different nations do comment on the channel, whi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building international communities for propaganda purposes. Overall, the study observed a sparsely connected social network among ordinary commenters. However, the operator did not exercise tight control over peer-to-peer communication but merely answered questions and tried to facilitate mass participation. In contrast to the many news clips, the documentary content on North Korea's YouTube channel did not explicitly advocate for North Korea's current political positions.

소셜 메타데이터 활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국내 대학도서관 웹 사이트 분석을 중심으로 - (An Explorative Study on the Social Metadata in Academic Libraries)

  • 박희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1-246
    • /
    • 2013
  • 소셜 메타데이터는 정보를 기술하는 메타데이터에 사회적 기능이 부여된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소셜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현황을 살펴보고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유와 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73개의 국내 대학도서관의 웹 사이트를 조사하여 실제 활용되고 있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유형을 살피고 유형에 따른 활용방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도서관에서 소셜 메타데이터는 제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하는 표현형 참여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이용자의 상호작용과 협업을 촉진하는 보다 적극적인 참여 수준에는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소셜 메타데이터의 개괄적인 분석의 결과는 대학 도서관에서 소셜 메타데이터를 활용하는 데 기본적인 틀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보채집으로의 접근 - 폭소노미 이해를 위한 개념적 틀 연구 - (Information Forager's Approach to Folksonomy)

  • 박희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9-206
    • /
    • 2011
  • 본 연구는 정보채집(information foraging) 이론을 적용하여 웹 정보자원을 조직, 검색, 공유하는 폭소노미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연구, 분석하는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폭소노미 상호작용 이해를 위한 개념적 틀은 최종 이용자의 세 가지 정보행위간의 유기적인 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1) 태그를 활용하여 웹 정보자원을 분류하고 조직하는 태깅; (2) 폭소노미 내에서 유용한 정보 자원을 발견하고 검색하는 정보탐험; (3) 폭소노미를 통해 유사한 관심을 갖고 있는 다른 이용자를 발견하고 커뮤니티를 구성하며, 협업을 통해 새로운 정보자원을 창출해내는 지식공유. 이 틀에서 최종이용자는 정보환경에 유연적으로 적응하며 폭소노미를 통해 줄곧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수집, 모니터하며 다른 이용자와의 효율적인 공유와 검색을 위해 끊임없이 탐험하는 정보채집자(information forager)로 이해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념적 틀은 이용자와 폭소노미의 역동적이고 복잡한 상호작용 현상을 포괄적으로 조망함으로써, 향후 폭소노미를 비롯한 웹 정보서비스의 유용화 연구 설계에 보다 체계적인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브라우저 북마크 분류를 키워드로 사용하는 웹페이지 공유를 위한 협동적 URL 태깅 방식 (A Collaborative URL Tagging Scheme using Browser Bookmark Categories as Keyword Support for Webpage Sharing)

  • 니코 엔카나시온;양현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911-1916
    • /
    • 2013
  • 소셜 태깅 시스템이 직면한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태그의 양적 증가와 다양성에 대한 대처방안이다. 구조화된 주석 시스템과는 반대로 태그는 사용자에게 웹 콘텐츠에 주석을 달고 조직화하는 비구조적, 개방적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정의 태그, URL 키워드, 그리고 분류 폴더 이름을 주요 구성 요소로 하는 폭소노미 기반의 URL 추천 방식을 제안한다. 이 방식은 더욱 개선되어 브라우저의 확장 기능으로 구성될 경우 사용자에게 특정 URL을 분류하는 최상의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딜리셔스에서 유사태그 추출에 관한 연구 (Mining Semantically Similar Tags from Delicious)

  • 이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7-147
    • /
    • 2009
  • 자연언어에서 유사어의 처리는 사람과 컴퓨터간의 의사소통에 적지 않은 장애가 되어왔고, 이는 사용자의 임의적 단어사용에 기반을 두고 있는 웹 2.0 애플리케이션, 특히 소셜태깅 분야에 있어서 그 장애의 정도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한 대표적인 웹 2.0 애플리케이션에서 자동 유사어 추출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소셜북마킹 애플리케이션인 딜리셔스를 기반으로, 유사태그를 추출하는 방법(FolkSim)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한 방법의 평가를 위하여, 문서유사도의 측정을 위해서 쓰여진 고전적 벡터모델에 의거한 유사태그를 추출하는 방법(CosSim)과 그 결과들을 서로 비교분석하여 보았다. 몇 가지 면에서 FolkSim가 더 나은 결과 산출해내는 증거들이 관찰되어졌다. 또한, FolkSim 방법에 의한 유사태그가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에 대비하여, 그 대안 또한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