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network service (SNS)

검색결과 636건 처리시간 0.026초

소상공인의 SNS(Social Network Service)기반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5년 미만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 김현주;송용욱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4-4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보급과 인터넷의 발달로 빠르게 성장하고, 그 영향력이 확산되고 있는 SNS 기반 사회적 자본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SNS 커뮤니케이션의 활용은 SNS에서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과 그 영향력이 상상외로 넓고 빠르기 때문에 마케팅적 측면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것이다. 소상공인이 생계형 창업이 대부분이라 사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주체이며, 스마트폰의 고급화와 인터넷의 발달로 빠르게 성장하고, 그 영향력이 확산되고 있는 SNS가 소통을 위한 채널및 마케팅을 위한 채널로 인정받고 있다. SNS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앞으로도 빠른 속도로 급성장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소상공인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들은 최근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나, 본 연구에서는 5년 미만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국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중이 증대되고 있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에 대한 연구를 소상공인 대상으로 SNS기반 사회적 자본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창업을 준비 중인 소상공인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SNS 자기 노출 집단별 동질성 인식 연구 (Perceived Homophily by the Degree of Self Disclosure among SNS Users)

  • 전범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170-178
    • /
    • 2012
  • 본 연구는 SNS 자기 노출 집단에 따른 이용자 동질성 인식에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 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SNS 자기 노출 집단을 살펴본 결과, 이들은 적극적 노출 집단, 중간 노출 집단, 소극적 노출 집단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문제인 SNS 자기 노출 집단별 SNS 이용 특성을 살펴본 결과, 적극적 자기 노출 집단은 트위터 접속 회수, SNS 메시지 수신 및 발신 건수 등에서 중간 및 소극적 자기 노출 집단보다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니홈피와 블로그 등의 온라인 활동에서는 소극적 자기 노출 집단 응답자들의 평균 점수가 다른 집단 응답자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SNS 자기 노출 집단별 인구사회학적 동질성을 살펴본 결과, 국적을 제외한 지역, 성별, 연령, 직업 등에서 모두 적극적 자기 노출 집단 이용자들의 동질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된 동질성 인식 측면에서도 적극적 자기 노출 집단 응답자들은 관심 분야, 취향, 취미, 이용자들 간의 관계 등에서 모두 동질성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의견이나 생각에 대한 동질성 인식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과업수행을 위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활용에 대한 연구: 과업-매체적합성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Use of SNS(Social Network Service) for Tasks :Focus on the Task-Media Fit)

  • 박경자;박승준;장희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577-586
    • /
    • 2014
  • SNS가 사회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기업들도 SNS의 신속성, 공유성, 상호작용성 등에 관심을 갖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도 SNS의 업무적 활용에 초점을 두고 과업 지원도구인 SNS와 과업과의 적합성, 사용자특성 그리고 성과와의 관계를 실증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과업-기술적합모형을 토대로 사회적 요소, 정보기술로서 SNS의 특성 그리고 사용자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과업-매체 적합성에 직무특성, 가상능숙도, 매체특성 모두 유의한 영향관계를 가지며, SNS이용에는 가상능숙도와 SNS 특성 변수가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또한 과업-매체 적합성은 SNS이용과 업무성과에, SNS이용은 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SNS의 전략적 활용은 업무성과 향상에 도움이 되며, SNS활용 전략 수립시에 개인특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Digital Item Purchase Model in SNS Channel Applying Dynamic SNA and PVAR

  • LEE, Hee-Tae;JUNG, Bo-Hee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25-36
    • /
    • 2020
  • Purpose: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on social factors of digital item purchase in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platforms such as SNS, we aim to develop the integrated model that accounts for the dynamic and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ructure indicators and digital item purchas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PVAR model was used to capture endogenous and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item purchase and network indicators. Results: We find that there exist considerable endogenous and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item purchase and network structure variables. Not only lagged in-degree and out-degree but also in-closeness and out-closeness centrality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s on digital item purchase. Lagged clustering has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digital item purchase. Lagged purchas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just on the present in-closeness and out-closeness centrality; but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of lagged purchase on the other two degree variables and clustering coefficient. We also find that both closeness centralities have much higher carryover effect on digital item purchase and that the elasticity of both closeness centralities on the purchase of digital items is even higher than that of other network structure variables. Conclusions: In-closeness and out-closeness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mong social structure variables of this study on digital item purchase.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한 선거 여론조사 예측력 개선 방안 연구 (Prediction improvement of election polls by unstructured data analysis)

  • 박선빈;김명준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5호
    • /
    • pp.655-665
    • /
    • 2018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는 개개인의 의견을 공유하거나 소통하는 일반적인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정치적인 이슈의 전파 과정에서 타인과의 공유를 통하여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에 대한 긍정적인 홍보 등을 통해 여론을 형성 또는 확장한다. 기존의 여론 조사 결과는 응답률, 표본 수집의 방식 등과 관련하여 예측의 정확성에 대한 끊임없는 논란이 되어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비정형 데이터의 감성 분석을 통하여 여론조사의 예측력을 개선, 보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 내용은 비정형 데이터 크롤링 및 기존에 사용되던 감성 사전에 대한 추가적인 보정 과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오차의 감소를 통하여 예측력을 개선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웹 2.0 환경의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전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spects of new digital contents service based on Web 2.0)

  • 김재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52-459
    • /
    • 2007
  • 웹 2.0이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면서 인터넷 기반의 모든 시스템과 서비스 환경은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기존 웹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데이터를 일방적으로 사용자가 이용하거나 또는 가공하여 처리하는 형태를 취하였으나, 웹 2.0 환경에서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플랫폼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만의 경험과 노하우를 이용해 또 다른 새로운 정보를 창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웹 2.0의 환경에서는 서비스 제공자가 만들어 놓은 플랫폼에서 새로운 콘텐츠 제공자의 역할을 하면서 디지털 콘텐츠 시장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쏟아내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서비스는 UCC(User Created Contents)로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또한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같은 가상의 공간에서 또 다른 자아를 실현 해 나가는 형태의 서비스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세컨드라이프닷컴 등이 대표적인 사이트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본고에서는 웹 2.0 환경을 정의하고, 새로운 환경에서 나타난 다양한 서비스들을 UCC, SNS, VR(Virtual Reality) 환경에서의 콘텐츠 등의 형태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새로운 서비스의 미비점을 분석하여 미래에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개선점을 도출함으로써 WEB2.0 환경에서 등장하게 될 신규 서비스 성장 모델의 방향을 전망하였다.

기업의 위기대응전략에 대한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반응 연구 (A Study of Social Media User Response about Firms' Crisis Response Strategies)

  • 김보라;김우희;정윤혁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7-39
    • /
    • 2017
  • 기업은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 제품의 홍보와 고객관리를 위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나아가 기업의 위기상황에 대한 실시간 대응 채널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은 확장되고 있다. 특히, 기업의 예상치 못한 위기상황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전파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기업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위기대응은 효과적이다. 이러한 대응은 소비자의 기업의 이미지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는 기업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대응 사례를 태도(수용적 vs. 방어적)와 속도(빠른 대응 vs. 느린 대응)로 구분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위기 관련 트위터 버즈의 지속기간을 분석하였다. 12개의 기업 위기 대응 사례에 대한 트워터 데이터를 분석자료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기업의 위기대응 전략 수립 및 위기별 대응전략 수립에 기본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소셜네트워크의 핵심요인 분석 : 기술과 서비스 측면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for Key Factors of Social Network in aspect of Technology and Service)

  • 변태운;송승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89-108
    • /
    • 2010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는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온라인상에 구축된 친목기반형 서비스이다. 최근 이러한 서비스의 수요와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 높아진 반면 기술과 서비스적인 측면에서 접근이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하고 이용자수가 최대인 페이스북(Facebook)을 대상으로 기술과 서비스적 접근을 바탕으로 페이스북이 성공한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소셜네트워서비스를 사용한 경험이 풍부한 사용자들의 행동을 관찰 하였다. 그 결과 기술적인 측면에 해당하는 비동기적인 방식이 사교성을 향상시키고 기술의 공개성은 서비스적인 측면에서 폐쇄성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소셜 미디어가 갖는 독특한 특질이다. 이러한 요소를 고려해서 소셜 미디어를 개발할 때 성공적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가능 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NS와 쇼핑몰 통합을 위한 기능분석 (Function Analysis for SNS and Shopping Mall Integration)

  • 김미수;우원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39-244
    • /
    • 2015
  •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와 쇼핑몰을 결합하면 오프라인 거래에서처럼 단골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농산물 직거래의 예를 들면, 소비자는 자신의 SNS 홈에서 기존의 단골 관계인 생산자의 소식(파종, 농사, 수확, 신상품 등)을 타임라인에서 확인하여 필요한 상품을 원클릭(one click)으로 구매할 수 있고 생산자는 소비자에게 뉴스 및 할인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단골로 만드는 고객 관리가 가능하다. 이처럼 SNS의 인맥 마케팅 기능에 더하여 시스템은 생산자의 판매 물품을 자동 분류한 카테고리로 소비자의 SNS 홈 페이지에 쇼핑물의 기능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는 자동으로 소비자와 생산자를 단골관계로 이어준다. 구매자는 구매한 상품에 대한 추천 및 리뷰 작성을 통해 기존의 리뷰 재배포도 가능하며 서로 알지 못하는 구매자 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이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이다.

Analysis of Questionnaire Investigation on SNS Utilizing Bayesian Network

  • Aburai, Tsuyoshi;Higuchi, Yuki;Takeyasu, Kazuhiro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2권2호
    • /
    • pp.130-142
    • /
    • 2013
  •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is prevailing rapidly in Japan in recent years. The most popular ones are Facebook, mixi, and Twitter, which are utilized in various fields of life together with the convenient tool such as smart-phone. In this work, a questionnaire investigation is carried out in order to clarify the current usage condition, issues and desired functions. More than 1,000 samples are gathered. Bayesian network is utilized for this analysis. After conducting the sensitivity analysis, useful results are obtained. Differences in usage objectives and SNS sites are made clear by the attributes and preference of SNS users. They can be utilized effectively for marketing by clarifying the target customer through the sensitivity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