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media data

검색결과 1,219건 처리시간 0.029초

소셜 미디어 상 고객피드백을 위한 감성분석 (The Sensitivity Analysis for Customer Feedback on Social Media)

  • 송은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80-786
    • /
    • 2015
  • SNS 등과 같은 소셜 미디어는 실시간으로 자발적인 고객의 의견들을 대거 포함하고 있어 최근 기업들은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 소셜 미디어상의 빅 데이터를 분석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객피드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사이트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띄어쓰기와 철자 오류가 많아 기존의 형태소 분석기로는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없다. 또한 온라인 상의 문장은 짧다는 특징이 있어 상호 정보량, 카이제곱 통계량 등과 같은 기존의 의미 선택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문장 내 선택 할 수 있는 의미의 부재로 인해 정확한 감성 분류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초/중성 및 어절 패턴 사전을 이용해서 보정할 수 있는 모듈과 문장 내 품사의 우선순위를 이용한 의미 선택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태소 분석기에서 추출된 품사 정보를 기반으로 용언과 체언을 분리해서 분석 해당 품사에 종속적인 속성 DB 구축 한 후 학습에 의해 누적된 속성 DB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긍/부정 감성을 추출한다.

Evaluating the Usage of Social Medias in the Kingdom of Saudi Arabia: Methodological Limitations and Adjustments

  • Alghamdi, Dee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호
    • /
    • pp.305-311
    • /
    • 2022
  • This research aimed to provide a profound description of the practices of social media users in the Kingdom of Saudi Arabia (KSA), specifically the users of Facebook® (FB) and Snapchat® (SC), the reasons for these practices, decisions made, and the people involved. Such research would be of significant help to designers and policymakers of social media applications in understanding user practices when using social media applications and the reasons for such practices in the KSA. This better comprehension would be of significant help in improving current applications and creating new ones.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there was a clear preference for SC over FB in the KSA. Most participants with SC accounts were described as very active users, accessing their accounts at least once a day compared to FB users. The users were led by this high preference for SC to create new words derived from the name of the application and use them in daily life. We showed our experience of carrying out a study in which the main objective was to collect factual empirical data from participants about their daily usage of social media applications while considering the unique cultural settings in the KSA. Mix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used to triangulate the data, increasing its trustworthiness and validity. Multiple perspectives were obtained using various data collection methods. Therefore, conclusions would not be confounded with limitations of any particular methodology or with conditions of any collection rounds. This research would constitute a valuable guide for researchers intending to use methods with male and female informants from different cultures, preparing them for potential challenges and suggesting possible solutions.

소셜미디어를 통한 우울 경향 이용자 담론 주제 분석 (An Analysis of the Discourse Topics of Users who Exhibit Symptoms of Depression on Social Media)

  • 서하림;송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07-226
    • /
    • 2019
  • 우울증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으며,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우울증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사람들이 본인의 스트레스나 감정 상태에 대해 소셜미디어에 공유한 글을 통해 그들의 심리나 정신건강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하는 맥락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연구 역시 유의미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울 경향의 이용자와 그렇지 않은 이용자들의 2016년부터 2019년 2월까지의 트위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어떤 주제적, 어휘 사용의 특성을 보이는지 보고자 하였으며, 우울 경향의 시기별로도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우울 경향 관측 날짜를 기준으로 하여 이전(before) 시기와 이후(after) 시기를 구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픽모델링, 동시출현 단어분석, 감성분석 방법을 통해 우울 경향과 비(非)우울 경향 이용자의 텍스트의 주제적 차이를 살펴보았고, 감성 반응에 따라 사용한 어휘에 대해서도 살펴봄으로써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데이터 수집 단계에서 '우울' 표현을 포함한 텍스트 데이터 수집방법을 통해 비교적 긴 기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었고, 또한 우울 경향의 여부와 시기적 구분에 따른 관심 주제에 대한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사회적 지지 과부하가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사회적 소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Overload on Social Communication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 박준석;곽기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18권4호
    • /
    • pp.137-157
    • /
    • 2017
  •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Social Network Services (SNS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the use of SNSs increases, users experience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respond to other people's messages or requests, and consequently experience an social overload, feeling too much social support for other user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overload on loneliness and SNS discontinuous usage intention.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83 SNS users and analyzed using SmartPL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mmunal orientation and the degree of use of SNS influenced the social overload, and the social overloa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oneliness and SNS discontinuous usage int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understand the social overload and loneliness in the use of SNS, and may also provide a strategic direction for SNS service providers.

소셜미디어의 ESG 감성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ESG Sentiment and Firm Performance)

  • 박수진;이상용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3호
    • /
    • pp.317-340
    • /
    • 2023
  • 경영학적 관점에서 ESG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지표를 이용하여 기업이 얼마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소셜미디어를 통해, 기업의 선행과 악행을 대중이 적극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되면서 ESG 경영에 대한 대중의 관심 또한 높아졌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성과가 소셜미디어의 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감성을 모두 포함한 종합적 ESG 감성과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각각의 감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패널회귀모델을 사용하여, 코스피 200 기업 중 143개 기업의 소셜미디어의 ESG 감성과 총자산이익률(ROA), 자기자본이익률(ROE)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데이터 수집 기간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이고, 온라인 커뮤니티, 인스타그램, 블로그, 트위터, 뉴스를 포함한 소셜미디어 채널의 감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업 성과는 종합적 ESG 감성과 각각 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감성은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을 파악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평가기관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ESG 등급이 아닌 다양한 소셜미디어 채널들을 활용하여 편향되지 않는 대중의 ESG 감성 지표를 갖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ESG 경영의 방향성을 잡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ESG 경영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과 기업에게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트위터를 이용한 이벤트 감지 시스템 (Event Detection System Using Twitter Data)

  • 박태수;정옥란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53-158
    • /
    • 2016
  • 최근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들이 늘어나면서, 각 지역에서 관심 받고 있는 사회적인 이슈나 재해 등과 같은 이벤트에 대한 정보들이 소셜 미디어 사이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빠르게 대량으로 게시되고 있으며, 사회적 파급효과도 매우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정보를 가진 트위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시간, 지역에 사용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벤트를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트위터 스트리밍 API를 이용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트윗의 키워드들의 시간에 따른 빈도수를 분석하여 정상적인 패턴과 다른 패턴을 가진 키워드를 이벤트로 추출하고, 같은 이벤트에 대한 키워드들을 군집화 하기 위해 co-occurrence 그래프를 이용하여 이벤트 감지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SOPPY : A sentiment detection tool for personal online retailing

  • Sidek, Nurliyana Jaafar;Song, Mi-Hw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9권3호
    • /
    • pp.59-69
    • /
    • 2017
  • The best 'hub' to communicate with the citizen is using social media to marketing the business. However, there has several issued and the most common issue that face in critical is a capital issue. This issue is always highlight because most of automatic sentiment detection tool for Facebook or any other social media price is expensive and they lack of technical skills in order to control the tool. Therefore, in directly they have some obstacle to get faster product's feedback from customers. Thus, the personal online retailing need to struggle to stay in market because they need to compete with successful online company such as G-market. Sentiment analysis also known as opinion mining. Aim of this research is develop the tool that allow user to automatic detect the sentiment comment on social media account. RAD model methodology is chosen since its have several phases could produce more activities and output. Soppy tool will be develop using Microsoft Visual. In order to generate an accurate sentiment detection, the functionality testing will be use to find the effectiveness of this Soppy tool. This proposed automated Soppy Tool would be able to provide a platform to measure the impact of the customer sentiment over the postings on their social media site. The results and findings from the impact measurement could then be use as a recommendation in the developing or reviewing to enhance the capability and the profit to their personal online retailing company.

Impact of Social Media Engagement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n Fashion Consumption Propensity

  • Park, Min-Sook;Moon, Min Kyung;Moon, Yunji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6호
    • /
    • pp.13-27
    • /
    • 2019
  • Social media are used as a tool which is suitable for delivering various images emotionally in the area of fashion. How deeply consumers are led by the brands to be engaged in the brands' SNS, how often they visit SNS and gain information, how much empathy they elicit from visitors with their contents and how continuously brands provide up-to-date information are the important factors to raise consumers' fashion consciousness and draw out their fashion consumption to express themselv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social media engagement and contents characteristics on fashion consumption tendency and purchase intention.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 study makes analysis centering on the 2 × 2 × 2 MANCOVA model to draw out results of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verif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 of social media engagement on purchase intention and the effect of interaction of three variables on fashion consumption propensity and purchase intention and summarizes the implications.

트위터 메시지 유형이 메시지 수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Content analysis in the impact of twitter message type on Receiver Response)

  • 문성균;유희숙;권건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3권4호
    • /
    • pp.1-24
    • /
    • 2014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wo issues related with social media messages. At first, the authors investigate that how they can categorize messages in the social media and how corporate twitters and brand twitters communicate with consumers. Secondly, after dividing messages in the social media into several groups, the authors investigate how each type of messages differ one another in terms of the consumer response. For examining these research issues, the authors gather twitter message data of global top 100 brands and categorize messages into 5 types (i.e., interactivity, diversion, information sharing, promotional, content) based on the motivation of communication and the format of the messages. Especially, the authors use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which is normally used as the qualitative approach, in order to identify the type of messages. Furthermore, the authors present interactivity type of messages can communicate better with consumers and induce more favorable responses from consumers in the social media than any other type of messages. This research can provide implications in terms of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managerial perspective.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Media in Tourism: An eWOM Approach

  • KAKIRALA, Anish Kumar;SINGH, Devinder Pa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1호
    • /
    • pp.381-391
    • /
    • 2020
  • This research article investigates the way eWOM in social media influences the formation of destination image through development of trust and satisfaction for the potential tourist. The research involved administering an 18-point questionnaire taking online reviews, tourist involvement, and eWOM, destination image components of trust and satisfaction as variables. Data was collected from 554 individuals forming a cross-section of social media users and analyzed using multi-variate techniques (Reliability, CFA, and SEM). Results indicate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ll except online review and destination trust and satisfaction. Indirect and direct effects indicate that eWOM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stination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and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stination trust and involvement. In the case of online reviews, eWOM acts as a full mediator between destination trust and destination satisfaction for the future traveler using social media. The study proposes that components of image vary depending upon the degree of involvement, volume online reviews and eWOM generated also termed as 'virality' and these in turn influence the intention to revisit or recommend a destination. The study highlights its utility for National Tourist Organizations (NTOs) and online travel intermediaries to enhance destination marketing eff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