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ohesion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초

퇴직한 남편과 그 부인의 탄력성과 적응분석 (Resilience and Adjustment of Retired Husbands and Wives)

  • 김명자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6호
    • /
    • pp.117-127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resilience on the adjustment of retired husbands and their wives. Data was collected from 174 retired husbands and their wiv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 score, percentile, paired-t tests and regression analys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djustments between retired husbands and their wives. 2. Individual resilience,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resilience had a strong impact on the adjustment of retired husbands and their wives. Self-esteem, acceptance of retirement, communication between the couple, family cohesion, and retirement poli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the husbands' adjustment. 3. As for the adjustment of the wives, self-esteem, communication between the couple, family cohesion, acceptance of husbands' retirement and religious activit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In summary,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in the adjustment of retired husbands and their wives.

중국 대학생의 그릿과 훈련 만족도의 관계에서 코치의 리더십 행동과 집단 응집력의 이중매개효과 (Dual Mediating Effects of Coach Leadership Behavior and Group Cohesion between Grit and Training Satisfaction in Chinese College Students)

  • 애용량;이가남;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223-230
    • /
    • 2024
  •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코치의 리더십행동과 집단응집력이 그릿과 훈련만족도의 관계에서 이중 매개하는지를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중국 광동지역 한 대학교에서 유의표집한 대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이중매개효과 분석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 코치 리더십 행동, 집단응집력 및 훈련만족도는 모두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코치의 리더십 행동과 집단응집력은 그릿과 훈련만족도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훈련만족도 증진을 위하여 그릿만이 아니라 코치의 리더십행동과 집단응집력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Police Officers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Job Satisfaction)

  • 신승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14-321
    • /
    • 2009
  •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들의 조직환경 및 직무특성, 보상유형 등의 제반요인들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특히 우리나라 경찰의 지배적인 조직문화의 유형은 무엇이고 어떠한 보상유형이 경찰조직 및 경찰관개인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파악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해 실증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로 첫째, 직무흥미, 사회인정, 조직응집, 경제적 보상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직무만족 영향요인 중 직무흥미, 사회인정, 조직응집, 경제적 보상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수록 직무만족도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은 직무만족도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찰의 조직과 인사정책에 관한 정책적 제언의 함의점을 도출해 보면,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의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적 보상과 경제적 보상에 대한 대책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사회적 보상요인의 각 요인인 직무흥미, 사회안정, 조직응집, 근무환경, 경제적 보상 등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며, 경제적 보상요인 중 승진 및 징계 등에 관한 공정한 인사정책의 시행이 필요할 것이다.

Interactive Morphological Analysis to Improve Accuracy of Keyword Extraction Based on Cohesion Scoring

  • Yu, Yang Woo;Kim, Hyeon Gy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145-153
    • /
    • 2020
  • 최근 소셜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키워드 분석은 고객 관점의 의견이나 불만 사항을 추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전 연구에서는 키워드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응집도 점수를 활용한 방법을 제안하였으나, 리뷰의 수가 적을 경우 오류율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응집도 점수 기반 알고리즘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에 대해 간소화된 형태소 분석 단계를 후처리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키워드 추출의 정확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은 입력 데이터가 주어질 때마다 필요한 형태소 분석 규칙을 점증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전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분석의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대화형 규칙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여 분석 규칙 추가에 드는 노력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온라인에서 수집된 실제 리뷰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제안 방법을 적용할 경우 오류율이 기존 10%에서 1%로 개선되는 동시에, 5,000개의 리뷰 처리에 450ms가 소요되어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한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대처, 가족응집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K시와 Y시에 거주하는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tress Management and Family Cohesion on Middle-aged Women's Happiness Utilizing the SPSS Program - Focusing on middle-aged women living in Cities K and Y -)

  • 신소정;고재욱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37-143
    • /
    • 2018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대체와 가족응집력이 행복감과의 관계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와 Y시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0세 이하의 중년여성 32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과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령은 40세 49세가 59.3%, 기혼이 82.7%(267명), 학력은 고졸 이하가 63.2%(204명), 종교는 77.6%(250명)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 가족응집력, 행복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 가족 응집력 및 행복감의 관계는 모두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여성의 행복감에 가족응집력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트레스 대처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량은 28.2%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중년여성의 행복한 삶의 질 함양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Evaluation of Coordination of Emergency Response Team through the Social Network Analysis. Case Study: Oil and Gas Refinery

  • Mohammadfam, Iraj;Bastani, Susan;Esaghi, Mahbobeh;Golmohamadi, Rostam;Saee, Al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1호
    • /
    • pp.30-34
    • /
    • 2015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hesions status of the coordination within response teams in the emergency response team (ERT) in a refinery. Methods: For this study, cohesion indicators of social network analysis (SNA; density, degree centrality, reciprocity, and transitivity) were utilized to examine the coordination of the response teams as a whole network. The ERT of this research, which was a case study, included seven teams consisting of 152 members. The requir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using the UCINET 6.0 Social Network Analysis Program. Results: The results reported a relatively low number of triple connections, poor coordination with key members, and a high level of mutual relations in the network with low density, all implying that there were low cohesions of coordination in the ERT.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SNA provided a quantitative and logical approach for the examination of the coordination status among response teams and it also provided a main opportunity for managers and planners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ed status. The research concluded that fundamental efforts were needed to improve the presented situations.

지역사회 기반 참여연구 방법론 (The Methodology 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 정민수;정유경;장사랑;조병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3-104
    • /
    • 2008
  • Objectives: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BPR) is a kind of health promotion approach to increase social cohesion and sense of community, which has built the collaborated partnership in all phases. This has the co-ownership of research objectives and knowledges produced by residents, and the outcome was taken to enhance community empowerment. This study performed to embody CBPR, which had regulated collective health status approached by social epidemiology. Methods: Reference review had been exercised focused on CBPR books and papers published since 1990. Our interests were aimed at its paradigm and methodological issues. Particularly, we problematized its feasibility in the social and behavioral foundations of pubic health. Results: According to the review, CBPR shared critical understanding and decision-making related to their community development including health status. Therefore, it was strength-based approach in spite of scientific dichotomy. CBPR created social cohesion and community empowerment with all participants, because it sublated contradiction between subjectivism and objectivism. Conclusions: The success of CBPR needs what we so called trust, democracy, collaboration, devotion, and consensus of equity. Despite these factors, CBPR may be a methodological transition to prepare some intervention of health inequality. This is because it does emphasize a mixture of theory and praxis to manage vulnerable people in community.

청소년 연구의 동향 : 2010년~2018년의 '청소년학연구'지를 중심으로 (The Trends of Youth Research: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in 2010-2018)

  • 장신재;이원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07-314
    • /
    • 2019
  • 본 논문은 2010년부터 2018년 동안 청소년학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청소년 관련 연구의 지식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논문의 초록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활용하여 NetMiner 프로그램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의 중심성(Centrality)분석 및 응집성(Cohesion)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결 정도 중심성 분석에서 '관계'가 가장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고, 학교와 청소년이 그 다음으로 높았으며, 부모, 폭력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매개 중심성도 '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청소년, 학교, 필요, 교육, 부모, 아동, 학대/정서(같은 수준), 기관, 지역, 휴대폰/예방/복지(같은 수준), 초등, 애착, 자살, 중독, 사회, 폭력, 자녀, 봉사, 지원/정책/재학/교사(같은 수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응집성 분석 결과, 학교생활과 정책, 중독, 부모 & 또래 관계, 시민 교육 & 복지지원, 정서와 사고, 대학, 학대 & 자살로 총7개의 하위 주제로 구분되었다.

고등학생의 소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Influencing Factors on Alien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 이은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5-52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alien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Method: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550 students of academic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n G cit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 The scores of alienation among students in financially lower middle class and lower clas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pper middle class students, resulting in significant differences(F=6.87, p=.00). A sense of alienation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s of responding parenting style(r=-.32), family cohesion(r=-.33), school attachment(r=-.51), academic performance(r=-.34), peer relationships(r=-.38), self-control(r=-.43), and social skills(r=-.33).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alien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was school attachment and the variance explained was 26%. A combination of school attachment, self control, peer relationships, family cohesion, demanding parenting style, and academic performance account for 40% of the variance in alien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 attachment, self control, peer relationships, family cohesion, demanding parenting style, and academic performance a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alien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nursing strategy is needed to manage these revealed factors.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과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전남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Variables 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Focusing on The High School Students in Jeonnam)

  • 정연호;류점숙;신효식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5-158
    • /
    • 2005
  • 본 연구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의 차이와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의 차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변인에 따른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청소년들에게 가족내에서 바람직한 의사소통과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남지역 고등학생 425명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적 변인에 따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차이는 부개방형은 출생순위에 따라, 부문제형은 성별, 출생순위, 가족형태에 따라, 모개방형은 성별에 따라, 모문제형은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학생이 부모와 문제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었으며 여학생이 어머니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었다. 또한 장자가 부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적게 하고 막내인 경우에 부모와 문제형 의사소통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가족인 경우에 부와의 문제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었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 응집성과 적응성을 살펴보면 가족 응집성은 성별과 생활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여학생인 경우, 가정의 생활정도가 높은 경우에 가족 응집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가족 적응성은 성별 출생순위, 생활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학생인 경우, 독자인 경우, 가정의 생활정도가 높은 경우에 가족 적응성이 더 높은 것으로 지각되었다. 셋째, 가족 응집성은 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생활정도, 성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와 개방적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생활정도가 부유할수록, 여학생이 가족 응집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적응성은 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부와의 문제형 의사소통, 생활정도 성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와 개방적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아버지와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을 하지 않을수록, 생활정도가 부유할수록, 여학생일수록 가족 적응성을 높게 지각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