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apital level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24초

청년층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capital building of the youth)

  • 김영식;신철균;문찬주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4호
    • /
    • pp.45-66
    • /
    • 2018
  • 본 연구는 청년층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청년층의 사회적 자본 축적과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의 중학교 3학년 코호트, 12차년도 자료에 대하여 통상최소자승회귀모형(Ordinary least squre) 및 분위회귀모형(Quantile regression)을 활용하여 사회적 자본의 구성 요소 중 '신뢰'와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각각 분석하였다. 사회적 자본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혼 여부, 아버지와 본인의 학력, 자산규모, 자존감 및 경제상황에 대한 만족도, 도서 구입 비용, SNS 사용 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자본의 또 다른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성 여부, 자녀 유무, 특별시 거주 여부, 취업 여부, 자산 규모 및 행복감, 도서 구입 비용, SNS 사용 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뢰와 네트워크의 축적 수준에 따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은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청년들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심리적인 만족감을 높이는 한편, 문화적인 측면에서의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이와 함께 사회적 자본의 보유 수준에 따라 적합한 맞춤형 사회적 자본 축적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행정구역(동.읍.면)에 따른 개인 수준의 사회적 자본과 지각된 건강수준 (Self-rated Health and Individual Level Social Capital Across the Administrative Sections)

  • 이진향;팽기영;김장락;정백근;박기수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9-70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easure the level of individual social capital, and to reveal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capital and self-rated health status and how the administrative section(dong, eup, and myeon) might modify the relationship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Gyeongsangnam-Do health survey (2008). The study subjects were 6,500 adults randomly sampled from 20 counties. Trained interviewers conducted the interviews in the interviewees' house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association of social capital with self-rated health was analyzed using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proportion of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the highest at eup region and the lowest at myeon, The significant social capital associated with self-rated good health were both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in the subgroups of dong. The significant social capital associated with self-rated good health were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in the subgroups of eup. The significant social capital associated with self-rated good health was trust in the subgroups of myeon.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at self-rated good health was associated with social capital measured by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and the direction is different in the administrative section. But, health policy encouraging social capital to improve health should be considered.

북한이탈주민의 디지털정보화수준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on Daily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 조성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5-72
    • /
    • 2023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이들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에 참여한 679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북한이탈주민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사회적 자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과 함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공공도서관 이용을 통한 사회자본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on of Social Capital Through the Use of Public Libraries)

  • 이승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9-5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이 사회자본을 형성하는데 미치는 영향 및 사회자본의 형성에 있어 수행하는 역할 등을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의 이용은 주로 개인적인 정보활동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회적인 수준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 교류나 신뢰 형성으로 이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의 정보활동이 다른 사람들과의 정보의 공유나 의견 교환으로 연결되면, 이는 공공도서관을 매개로 한 사회적 관계의 형성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이 나타났으며, 도서관 이용자들을 사회적인 차원에서의 호혜적인 활동으로 유도할 수 있는 잠재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면, 공공도서관은 사회구성원들의 정보활동뿐만 아니라 사회자본의 형성이라는 사회적인 책무를 고려한 사회적 기관으로서의 기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ormalizing the Role of Social Capital on Individuals' Continuous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from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 Guo, Yu;Li, Yiwei;Ito, Naoya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90-102
    • /
    • 2014
  • By integrating useful insights from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ocial capital theory, we aim to develop a model for better understanding people's behaviors related to the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SNSs) and formalize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individuals' continuous SNS use. Propositions that emphasize the triadic interactive relationships among environmental, personal, and behavioral factors were highlighted in this study.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following: (1) the causation between SNS use and individuals' perceived social capital might be mutual; social capital may not only be the result of media selectivity, but could also be an essential stimulus initiating the start of using SNSs; (2) the influences of SNSs use on the generation of individuals' online social capital might be conditional upon particular patterns of use; (3) both the level of dependence on SNSs and the differentiated patterns of SNSs use vary according to individuals' perceived offline social capital and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for instance, personality or self-construal, and social anxiety.

조직 내 민주성이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 리더십의 조절효과 (The Impact of Workplace Democracy on Social Capital: The Moderating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 이의연;송관철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7호
    • /
    • pp.59-69
    • /
    • 2019
  • Purpose - Unlike in the past, individualistic thought is more dominant than groupism where members prioritize organizations. Such changes run counter to the direction of the survival of the companies, which calls for companies to explore strategies to address thems. As one of the solutions, many people highlights social capital. However, since mos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there is not enough prior factor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So the current situation require researches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achieve the purpose, the literature and the empirical studies were combined. Deriving workplace democracy and servant leadership as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rough the literature, and this factors have modeled assumptions about the impact on social capital, and have established hypotheses to verify them. The survey which i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questionnaires are derived base on the variables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survey was conducted 447 respondents in Korea. Results -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workplace democracy is positively functioning with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t means that the democracy functions as a universal element to enhance the quality of social capital at the workplace. The evidence also shows that the positive impacts of the servant leadership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the survey shows that groups with high level servant leadership had a higher impact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an those with low levels leadership. Conclusions - At present, the social capital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for the companies pursuing high performance workplaces. We found that the workplace democracy and the servant leadership affect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t means that to increase the employees' sense of community and solidarity, it is need to form democratic environment with the servant leadership.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workplace democracy and the servant leadership can present strategic implications that can increase the social capital.

A mediating role of social capital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reputation: Perception of local university on CSR of KHNP

  • JOO, Jae-Hun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3호
    • /
    • pp.63-71
    • /
    • 2020
  • Purpose: Most of all studies regard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ve been dealing with its direct performance. Many previous studies provided the evidence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directly affect firms' competitiveness or corporate reputation.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regarding the role of social capital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firms' competitiveness.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a mediating role of social capital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reput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tegrat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ocial capital, and corporate reputation was proposed with three hypotheses. Questionnaire including 15 question items for three concepts was designed. Data for testing hypotheses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and staff who had experienced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Korea Hydro & Nuclear Co. Ltd. SPSS and SmartPLS were used to analyze data. Results: All three hypotheses were support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1.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capital as well as corporate reputation. Social capital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reputation. Conclusions: The present paper identified a missing link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reputation by validating an indirect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rporate reputation through social capital. The present study contributes to finding the indirect link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reputation. Implications for academics and practitioners. The research model can be ex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its performance. The present study sheds light on identification of a new role of social capital. Managers of firms have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fact that investment recover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sults from social capital and corporate reputation in long-term rather than short-term.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s an insight that managers can enhance customer loyalty. The process link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 corporate reputation through social capital implies that firms can realize spiritual marketing delivering authentic storytelling throug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 present study has a limitation for generalizing of research results because the sampling came from a case of firm.

농촌지역개발사업 참여주민의 사회적 자본 인식유형 연구 -Woolcock의 사회적 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ypes of Social Capital Perception of Residents Participating in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s -Focused on Woolcock's Social Capital Theory-)

  • 전미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9권1호
    • /
    • pp.1-18
    • /
    • 2022
  • The government is in the process of pursuing various resident-driven rural development projects for rural development.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promoting various software projects to enhance social capital in order to effectively involve residents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However, residents' participa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is still passive, while passive residents' involvement creates various problems such as conflicts among residents in the process of project implementation and poor operation after project implementa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a basis for inducing voluntary community participa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by disclosing the intention of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s internal solidarity with social capital and connection with external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195 rural residents, three group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capital awareness. While individualist groups with low integration and social capital were 25.1%, they were more integrated, but the average family-oriented group was 42.5%, and social-development groups with high integration and linked social capital were 32.3%.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the social capital of the resident commun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both the internal solidarity (integrity) and the external community connection (connectivity) in the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Social Capital on Their Quality of Lif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 이미라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4호
    • /
    • pp.413-443
    • /
    • 2011
  •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전국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자활센터를 대상으로 센터의 유형과 지역유형을 구분한 후 비례할당 표집을 실시하였고, 1,185부를 최종 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면, 네트워크와 규범이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간관계로부터 형성되는 비물질적인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둘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살펴보면, 사회적 자본이 직무만족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활사업에 대한 만족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자활사업 참여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인하여 여타의 임금노동시장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했던 사회적 자본이 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셋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정적 영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직무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와 관련한 가설 중 전이모델(spillover model)을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는 사람은 일반적인 삶에서도 만족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고, 사회적 자본의 순기능적인 측면을 보완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한국 노년층의 사회자본에 대한 인식 유형화 및 영향요인 (Factors and Categorization of Perception toward Social Capital for Korean Older Adults)

  • 홍석호;황선영;김순은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707-726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들의 개인수준에서 사회자본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유형을 분류하고 이러한 차별화된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2014년 전국거주 만 65세 이상 1,060명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노인문제 및 지역사회자본 조사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K-평균 군집분석과 다항명목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변수인 사회자본은 신뢰, 규범, 네트워크, 사회참여로 측정하였고 영향요인으로는 인구학적, 사회계층적, 정치종교적, 그리고 주거환경적 변수들을 선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사회자본 인식에 대한 3가지 유형(사회자본 잠재형, 사회자본 단절형, 사회자본 풍족형)이 발견되었다. 3가지 유형들은 서로 다른 외재적 특징(나이, 교육, 생활수준, 주택소유, 정치성향, 종교, 거주지역, 주거형태)을 가지고 있었다. 사회자본 잠재형과 비교하여 나이가 젊을수록, 정치 성향이 진보적일수록, 종교가 없다고 응답할수록, 농어촌에 거주하지 않을수록 사회자본 단절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반면, 여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연립과 다세대 주택에 거주하지 않을수록,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기독교를 믿을수록, 농어촌에 거주하지 않을수록 사회자본 풍족형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