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capital building of the youth

  • 투고 : 2018.07.03
  • 심사 : 2018.08.23
  • 발행 : 2018.08.31

초록

본 연구는 청년층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청년층의 사회적 자본 축적과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의 중학교 3학년 코호트, 12차년도 자료에 대하여 통상최소자승회귀모형(Ordinary least squre) 및 분위회귀모형(Quantile regression)을 활용하여 사회적 자본의 구성 요소 중 '신뢰'와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각각 분석하였다. 사회적 자본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혼 여부, 아버지와 본인의 학력, 자산규모, 자존감 및 경제상황에 대한 만족도, 도서 구입 비용, SNS 사용 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자본의 또 다른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성 여부, 자녀 유무, 특별시 거주 여부, 취업 여부, 자산 규모 및 행복감, 도서 구입 비용, SNS 사용 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뢰와 네트워크의 축적 수준에 따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은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청년들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심리적인 만족감을 높이는 한편, 문화적인 측면에서의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이와 함께 사회적 자본의 보유 수준에 따라 적합한 맞춤형 사회적 자본 축적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capital of youth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policies related to development of the social capital of them. To this end, we utilized the OLS regression model and the quantile regression model exploiting the 12th year dataset of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KEEP). First, this study shows that the effect on trust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unterpart when the case is a) unmarried, b) with the high level of education, c) with a large asset, d) with high self-respect and the satisfaction for financial situation, and e) social media user.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monthly average income, the lower the trust level. In addition, when the cases are grouped into 25 quantile, 50 quantile, and 75 quantile according to the level of trust, it is revealed empirically that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capital formation are somewhat different. Second,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effect is higher in a specific condition. The effect is higher compared to the counterpart when the case is a) male, b) with children, c) metropolitan city resident, d) non-employee, e) with a large asset, f) with high level of happiness, g) with high expense of purchasing books, and h) social media user.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re are no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belonging to the 25th quantile of social capital.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support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of Korean youth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ir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to provide cultural support or policie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a tailored social capital accumulation program is need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capital, and the support for this ne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ocial capital of young peopl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