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i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37초

Association between dietary branched-chain amino acid intake and skeletal muscle mass index among Korean adults: Interaction with obesity

  • Chae, Minjeong;Park, Hyoung Su;Park, Ky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2호
    • /
    • pp.203-212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The branched-chain amino acids (BCAA), including isoleucine, leucine, and valine, promote muscle protein synthesis. However, obesity may interfere with protein synthesis by dysregulating mitochondrial function in the muscl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ntake levels of BCAA and skeletal muscle mass index (SMI) in middle-aged participants, and the effect of obesity/abdominal obesity on this association. SUBJECTS/METHODS: The data of 3,966 men and women aged 50-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analyzed. Intake levels of energy-adjusted dietary amino acids were obtained using a 24-hour dietary recall. SMI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by body weight (kg) and multiplying the result by 100%. Multivariable general linear models were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of dietary BCAA intake levels with SMI. RESULTS: The beneficial effects of energy-adjusted dietary BCAA intakes on SMI were greater in the non-obesity/non-abdominal obesity groups; however,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observed in the obesity/abdominal obesity groups (P > 0.05). CONCLUSIONS: Healthy weight and sufficient intake of dietary BCAA are recommended to maintain muscle mas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Natural Remaining Teeth and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in Korean Older Adults

  • Kim, Sunyoung;Min, Jin-Young;Lee, Hong Soo;Kwon, Kung-Rock;Yoo, Jinho;Won, Chang Won
    •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194-199
    • /
    • 2018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remaining natural teeth (NRT) and the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index (SMI) in older adult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the 2008-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s. The participants were 2,378 older participants (984 men and 1,394 women) aged over 65 years. Survey dentists conducted oral health examinations, and ASM was measure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Results: The participants with $NRT{\geq}20$ had more ASM and SMI than those with NRT<20 in both sexes. SMI was correlated with NRT in men (r=0.018, p<0.001) and in women (r=-0.007, p<0.001).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RT and SMI remained significant in men even after adjusting for age, marital status, income,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protein intake, energy intake, calcium intake, body mass index, fasting blood glucose level, medications, and prostheses (${\beta}=0.011$, p=0.001). In women, the correlation disappeared after adjustment for smoking, alcohol, physical activity, protein intake, energy intake, calcium intake, marital status, income, fasting basal glucose, medication administration, and prosthese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NRT and SMI in those ${\geq}65$ years of age in Korea. The relationship persisted in men, but not in women, even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역 공분산 행렬의 Cholesky 분할에 근거한 적응 빔 형성 및 검출 알고리즘 (Adaptive Beamforming and Detection Algorithms Based on the cholesky Decomposition of the Inverse Covariance Matrix)

  • 박영철;차일환;윤대희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2권2E호
    • /
    • pp.47-62
    • /
    • 1993
  • SMI 방법은 수치적인 불안정성과 아울러 많은 계산량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역 공분산 행렬의 Cholesky 분할을 이용하여 SMI 방법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적응 빔 형상과 검출이 하나의 구조로 실현되며 이에 피룡한 역 공분산 행렬의 Cholesky factor는 secondary 입력으로부터 GS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추정한다. 제안한 구조의 중요한 특징은 공분산 행렬과 Cholesky factor를 직접 구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며, 또한 GS 프로세서의 장점을 이용한 systolic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인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모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의 성능과 SMI 방법의 성능을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nonhomogeneous 환경에서 동작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아울러 계산량이 많은 GS 구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lattice-GS 구조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SMiShing 어플리케이션 탐지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iShing Application Detection Technique)

  • 장현수;손태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16-419
    • /
    • 2014
  • 스미싱(SMiShing) 공격은 문자메시지(SMS)를 이용하여 정보를 유출하거나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일컫는다. 본 논문에서는 공격자의 공격유형에 따라 스미싱을 "직접 정보 유출", "파밍/피싱 사이트 유도", "악성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유도"로 분류하였고 스미싱 공격의 시나리오를 통해 스미싱 공격을 표현하였다. 그 후 스미싱 방지 기술 동향을 파악을 위한 기존의 대응 기법들을 조사를 하고 기존의 스미싱 탐지 기법인 URL 검사와 APK 파일 분석 기법을 접목시킨 스미싱 탐지 모델을 제안한다.

난임 여성의 정서조절기술 향상을 위한 심상 중심 음악감상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Imagery-Focused Music Listening Program to Improve Emotion Regulation Among Infertile Women)

  • 노윤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7권2호
    • /
    • pp.29-5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 여성의 정서조절기술 향상을 위한 심상 중심 음악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난임 여성의 정서적 어려움과 이에 대한 대처방식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난임 여성의 정서적 필요에 개입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확립하였다. 또한, 지지적 음악심상기법(Supportive Music and Imagery, 이하 SMI)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중재의 핵심 요소들을 분석했다. 확인된 이론적 기반 및 도출된 핵심 요소를 토대로 본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음악과 심상 전문가 4인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은 후 수정 및 보완되었다. 연구 결과, 개발된 본 프로그램은 긍정 정서 자원의 발견-강화-확립의 체계적 구성을 통해 난임 여성의 긍정적 정서 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후 긍정 정서 자원을 규명하고 확립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정서유도 및 조절과 관련하여 기능할 수 있는 음악요소의 특성이 분석된 음악 자원 역시 제시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각 개인이 심상 중심 음악감상을 통해 내적자원을 발견하도록 지지함으로써 난임으로 인한 부적 정서에 대처하고 긍정 정서 자원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는 처음으로 적용된 본 프로그램은 기존의 SMI를 특정 대상군의 필요에 맞게 응용·확장한 것으로 기존의 일반적 SMI 적용에서 한발 나아가 새로운 시도를 한 것에 학술적 의의가 있다.

초경시기와 골성숙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ARCHE AND THE BONE MATURITY OF MALOCCUSION GROUP)

  • 장연희;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5-423
    • /
    • 1995
  • 초경 발현시기와 초경시의 골성숙단계 및 초경후 경과기간에 따른 골성숙단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정교합자 70명의 수완부방사선사진을 연구재료로 하여 본 연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경시의 연령은 $12.04{\pm}0.82$세였다. 2. 초경후 경과기간과 골성숙단계간에는 깊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초경시의 수완부골성숙단계는 대부분 제 5 중절골의 골단이 골간을 둘러싸고 있거나(SMI 7), 제 3 말절골의 골단과 골간이 융합되어 있는 상태(SMI 8)에 해당하였다. 4. 골성숙단계에 따른 초경후 경과기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요골의 융합은 초경 후 2년에 시작되었다. 이상의 결과, 환자의 내원시 수완부방사선사진 없이도 간단한 문진을 통해 초경유무 또는 그 경과기 간을 파악함으로써 골령을 예측할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 얻어진 골령을 통해 악안면골격성장의 진행단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그 임상적 실용가능성을 다소 인정할 수 있었다.

  • PDF

Styrenic Polymers연구(1),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의 이미드화와 열적 성질 (Studies on the Styrenic Polymers(1), Imidization of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s) and Their Thermal Properties)

  • 안태완;박이순;이상수;김기현
    • 공업화학
    • /
    • 제3권1호
    • /
    • pp.179-187
    • /
    • 1992
  •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 SMA를 DMF 용매에 약 10%(w/w) 용액으로 한 다음 aniline, p-toluidine 및 p-chloroaniline 등으로 maleic anhydride 반복 단위를 imide화 하였다. 이미드화에 있어서 환화 탈수제(cyclodehydration agents)를 사용하였으며 최적 반응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a) 반응온도 : $80^{\circ}C$ (b) 환화 탈수제의 몰비 : SMA내 anhydride/acetic anhydride/sodium acetate/triethyl amino = 1.0/2.0/0.2/1.1. 생성된 imide-modified SMA (SMI) 시료들은 이미드화도가 증가됨에 따라 $T_g$가 증가하였으나 그 변화 정도는 크지 않았다. SMI의 $T_g$는 이미드화에 사용된 아민의 종류에 따라 aniline < p-toluidine < p-chloroaniline의 순으로 $T_g$가 증가하였다.

  • PDF

성장기 아동의 상악 견치를 이용한 골격적 성숙도 평가 (Skeletal Maturity Evaluation using Maxillary Canine Development in Growing Children)

  • 유현경;라지영;이제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47-254
    • /
    • 2019
  • 이 연구는 성장기 아동의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상악 견치의 치아 성숙도와 골격적 성숙도를 평가하고, 상악 견치의 치아 성숙도와 골격적 성숙도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치아 성숙도는 Demirjian index (DI)를 이용하였고, 골격적 성숙도는 cervical vertebral maturation stages (CVMS)와 skeletal maturity indicators (SMI)를 이용하여 각각 경추골 성숙도와 수완부골 성숙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남녀 모두 상악 견치의 DI와 CVMS 및 SMI 사이에서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 = 0.000). 이 연구를 통하여 상악 견치를 이용한 치아 성숙도 평가는 성장기 아동의 골격적 성숙도를 평가하는 보조적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different voxel sizes on the accuracy of CBCT measurements of trabecular bone microstructure: A comparative micro-CT study

  • Tayman, Mahmure Ayse;Kamburoglu, Kivanc;Ocak, Mert;Ozen, Dogukan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2권2호
    • /
    • pp.171-179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ccuracy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CBCT) images obtained using different voxel sizes in measuring trabecular bone microstructure in comparison to micro-CT.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human skull bones containing posterior-mandibular alveolar bone regions were analyzed. CBCT images were obtained at voxel sizes of 0.075mm(high: HI) and 0.2mm(standard: Std), while microCT imaging used voxel sizes of 0.06 mm (HI) and 0.12 mm (Std).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CTAn software with the standardized automatic global threshold metho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evaluate the consistency and agreement of paired measurements for bone volume (BV), percent bone volume (BV/TV), bone surface (BS), trabecular thickness (TbTh), trabecular separation (TbSp), trabecular number (TbN), trabecular pattern factor(TbPf), and structure model index (SMI). Results: When compared to micro-CT, CBCT images had higher BV, BV/TV, and TbTh values, while micro-CT images had lower BS, TbSp, TbN, TbPf, and SMI values (P<0.05). The BV, BV/BT, TbTh, and TbSp variables were higher with Std voxels, whereas the BS, TbPf, and SMI variables were higher with HI voxels for both imaging methods. For each imaging modality and voxel size evaluated, BV, BS, and TbT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TbN, TbPf, and SMI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aging methods(P<0.05). The consistency and absolute agreement between micro-CT and CBCT were excellent for all variable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high-resolution CBCT imaging for quantitative bone morphometry assessment.

Emerging evidence that ginseng components improve cognition in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early Alzheimer's disease dementia

  • Rami Lee;Ji-Hun Kim;Won-Woo Kim;Sung-Hee Hwang;Sun-Hye Choi;Jong-Hoon Kim;Ik-Hyun Cho;Manho Kim;Seung-Yeol Nah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8권3호
    • /
    • pp.245-252
    • /
    • 2024
  • Ginseng i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use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as a tonic. Recent scientific cohort studies on life prolongation with ginseng consumption support this record, as those who consumed ginseng for more than 5 years had reduced mortality and cognitive decline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Clinical studies have also shown that acute or long-term intake of ginseng total extract improves acute working memory performance or cognitive function in healthy individuals and those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SMI),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or early Alzheimer's disease (AD) dementia who are taking AD medication(s). Ginseng contains various components ranging from classical ginsenosides and polysaccharides to more recently described gintonin. However, it is unclear which ginseng component(s) might be the main candidate that contribute to memory or cognitive improvements or prevent cognitive decline in older individuals. This review describes recent clinical contributors to ginseng components in clinical tests and introduces emerging evidence that ginseng components could be novel candidates for cognitive improvement in older individuals, as ginseng components improve SMI cognition and exhibits add-on effects when coadministered with early AD dementia drugs. The mechanism behind the beneficial effects of ginseng components and how it improves cognition are presented. Additionally, this review shows how ginseng components can contribute to SMI, MCI, or early AD dementia when used as a supplementary food and/or medicine, and proposes a novel combination therapy of current AD medicines with ginseng compon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