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phone

검색결과 3,012건 처리시간 0.027초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부모양육태도 및 적응유연성과의 관계 -G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ITs Relationship with Smartphone Addiction, Parenting Attitudes and Resilience on Adolescents -A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 city-)

  • 김경하;노소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82-590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부모양육태도 및 적응유연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자료는 G 광역시 중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적 통계, 독립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Scheff{\acute{e}}$ 사후검증, Pearson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부모양육태도와 적응유연과의 사이에서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는 성별, 스마트폰 사용시간, 부모 양육태도, 적응유연성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21.9% 설명하고 있으며, 이 중 부모양육태도(${\beta}=-.241$, p<.001)가 가장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성별, 스마트폰 사용시간, 적응유연성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이 부모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적응유연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의과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척도와 사회심리학적 요인들과의 관계 (Association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sociopsychological aspects in medical school students)

  • 김혜인;천성희;강화정;이근미;정승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55-61
    • /
    • 2017
  • Background: Smartphone addiction, academic stress and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are increasing gradually;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se factors in medical schoo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ssociation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sociopsychological aspects in medical school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31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tud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in March 2017. Gender, school grade, type of residence, and smartphone usage patterns of the students were surveyed. The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and each Korean version scale were used to assess sociopsychological aspects such as loneliness, stress and anxiety. Results: There was a direct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loneliness, stress of negative perception, anxiety and smartphone addiction scales. There was also a negative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stress of positive percep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scales. There was a higher level of anxiety among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Additionally, there was a higher level of stress associated with negative perception and anxiety among medical students in the first grade than other students. Moreover there was a higher level of loneliness, stress of negative perception and anxiety among students who live with friends than students who live with their own family. Conclusion: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sociopsychological aspects significantly correlated. Moreover, the results suggest that female medical students in the first grade who have been separated from their family need more attention and management of loneliness, stress and anxiety to avoid smartphone addiction.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이용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 중재 효과 (Impact of Adolescent Life Stress and Smartphone Use on Academic Impairment: Focusing on the Effect of Parent Involvement on Adolescents' Smartphone Use)

  • 박남수;오하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90-599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일상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이용 및 중독이 학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부모의 중재 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13~18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 전반에 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오락적 목적의 스마트폰 이용 및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청소년의 학업 장애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간 갈등, 학업, 미래에 대한 압박감 차원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학업장애를 이끈다는 것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부모의 중재는 그 유형에 따라 스마트폰 이용 및 중독, 학업장애 요인에 대해 서로 다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용시간을 제한할수록 오락적 이용이 증가하고, 이용하는 앱을 제한할수록 정보적 이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적 형태의 부모 중재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폰 이용이 증가하며, 앱을 추천하는 방식의 부모 중재는 스마트폰 중독지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군사학과 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llitary lesson students' self-control and stress coping behavior are related to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 정순철;이영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3_1호
    • /
    • pp.63-7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군사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자기통제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결과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기간이 1일 기준 사용시간이 1시간 이상자가 95.3%로 스마트폰이 개인 일상생활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수준의 차이도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스마트폰 중독 간에도 유의미한 결과로 나왔다. 결론적으로 스마트폰 사용기간과 사용시간에 대하여 자기통제력이 필요하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문제 지향적 대처방식이 요구된다는 것을 실증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를 논의 하였으며, 추후 연구과제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일 중소도시 소아청소년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중독 수준에 따른 심리사회적 취약요인의 차이 (Differences of Psychosocial Vulnerability Factors between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Groups Consist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 Small to Medium-Sized City)

  • 전영순;김태호;신용태;조성우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7권3호
    • /
    • pp.188-195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and psychosocial facto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vulnerability factors for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41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resent use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 as well as using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other psychological scale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psychosocial factors between the high risk, potential risk, and general user groups of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high risk (N=33), potential risk (N=203), and general user (N=805) groups with regard to their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level.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the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cademic performance, parents, use of internet and smartphone, loneliness,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eer relationshi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s related to various psychosocial vulnerability factors.

세대간 스마트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뉴실버 세대와 넷 세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tergenerational Smartphone Use: Focusing on the New Silver Generation and the Net Generation)

  • 이충훈;정재욱;이중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3권4호
    • /
    • pp.49-74
    • /
    • 2014
  • The introduction of smartphone caused the most revolutionary change in the domestic telecommunications market after the digital revolution. However, due to the saturation of the local market, it is expected to post negative growth in 2016 and the sales of national communication carriers is in stasis. Thus, the smartphone industry is starting to shift its marketing efforts to secure the silver generation who still has room for increase in the rate of smartphone usage. As the silver generation has physical limitations and differences in needs, the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e smartphone utilization is not appropriate. This study suggests the new silver generation, who has high income level and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younger generation, as the new customer segment for smartphone. We analyze the effects of the major variables of UTAUT on smartphone use, as well as examine how these relationships differ between the new silver and the net generation. We verified the hypotheses using a survey with 309 smartphone users. The research findings supported the hypotheses regarding the effects of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facilitating conditions on smartphone use, but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on the effect of social influence. The result of the group comparisons showed that both generation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on innovativeness and cognitive absorption,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on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use is stronger in conjunction with the new silver generation.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in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경기 시흥안산지역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 수준에 따른 식태도, 식행동 및 스마트폰 사용관련 식습관 (Dietary Attitudes, Dietary Behaviors, and Smartphone Usage-relate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Risk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iheung and Ansan Areas)

  • 한소희;박소현;이은영;장경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37-445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behaviors, smartphone usage-related dietary habits,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of high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risk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Subjects were 286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Siheung and Ansan area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PSS v. 20.0. Based on scores of S-scale (smartphone overdependence scale for adolescents), subjects who used smartphone were classified into an overdependence group (ODG, n=52) and a normal group (NG, n=234). The ODG showed a significantly longer usage time than NG on both weekdays and weekends (p<0.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cores of nutrition knowledge between the ODG and NG. Average total scores of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in the OD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NG (p<0.001). There were higher risks of ODG for skipping meals (OR=8.3, 95% CI=4.027-17.099), changing eating speed (OR=4.4, 95% CI=2.209-8.822), and changing meal amount due to smartphone usage (OR=2.9 95% CI=1.233-6.623). Therefore,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ensure proper dietary behaviors and habits among smartphone overdepende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어플리케이션 사용기록 프로그램 제작 및 이를 이용한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사용행태 분석 (Producing of Application Usage Recording Program and Analyzing Smartphone Application Usage of High School Student with the program)

  • 정지윤;김명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17-423
    • /
    • 2016
  • 최근 미디어의 발달과 휴대폰의 보급률의 증가로 인해 전 연령대에 걸쳐 스마트폰 보급이 빠르게 확산되었다. 한국 고등학생의 경우 스마트폰의 보유율이 90.2%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 행태에 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질적인 사용 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3개월간 로그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였다. 피험자들의 사전조사 결과와 로그 데이터 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이용시간과 주중과 주말의 일일 평균 어플리케이션 이용 횟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시험기간과 시험시간 전후의 어플리케이션 이용 횟수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수도권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행태는 주중과 주말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험기간에 영향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스마트폰 환경을 위한 미들웨어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iddleware for Smartphone Environments)

  • 김경주;문상호;유영중;박성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97-604
    • /
    • 2011
  • 현재 제공되고 있는 다양한 스마트폰 플랫폼은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환경에 미들웨어를 도입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미들웨어의 도입은 서버 시스템과 스마트폰 플랫폼의 상호 운용성을 높여 효율적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러므로 급속하게 확장하는 스마트폰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미들웨어 개발은 필수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스마트폰 플랫폼 환경에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개발하고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미들웨어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그리고 구현된 스마트폰 미들웨어의 성능 및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대학환경의 스마트폰 응용과 캠퍼스 트위터를 개발하였다.

스마트폰 신제품 구매에서 브랜드 충성도와 전환비용의 역할 (The Roles of Brand Loyalty and Switching Costs in the Purchase of a New Smartphone)

  • 이웅규;박진훈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1호
    • /
    • pp.183-200
    • /
    • 2016
  • 목적 많은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을 바꾸고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새로운 스마트폰으로 바꾸는 대신 기존에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을 계속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다. 브랜드 충성도와 전환비용은 기존의 스마트폰을 계속 사용하는 경향을 결정하는 요인이다.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기한다. "새로운 스마트폰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브랜드 충성도와 전환비용의 역할은 무엇인가?" 방법론 기존 브랜드를 계속 사용하려는 경향을 고려하여 새로운 스마트폰 구매의도를 설명하기 위한 여섯 개의 가설을 제안했다. 연구모형은 17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LG의 G4 스마트폰을 구매의도에 대해 실증적 검증을 하였다. PLS에 의해 자료 분석을 한 결과 모든 가설이 통계적으로 지지받았다. 결과 첫째, 기존 스마트폰에 대한 브랜드 충성도와 전환비용은 새로운 스마트폰 구매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브랜드 충성도는 전환비용과 상대적 이점의 관계에서 조절변수 역할을 한다. 셋째, 지각된 심미성과 가격 가치도 스마트폰 구매에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