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home environment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26초

위협 모델링 분석 및 국제공통평가기준을 통한 스마트홈 허브의 보안요구사항에 관한 연구 (Study of Security Requirement of Smart Home Hub through Threat Modeling Analysis and Common Criteria)

  • 박재현;강수영;김승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513-528
    • /
    • 2018
  • 주거 환경에 IoT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홈 환경에서 스마트홈 허브는 다양한 IoT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편의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홈 허브는 IoT 기기들을 연결하여 활용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데이터가 오고가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데, 이 데이터에는 사용자의 생활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개인정보로써 악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정보의 악용으로 사용자의 신원 노출 등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스마트홈 허브에 대해 기존에 국내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개인정보보호 측면의 위협 모델링 기법인 LINDDUN을 사용하여 위협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위협과 대응하는 보안요구사항을 국제표준인 common criteria를 사용하여 스마트홈 허브에 대한 평가 기준을 제시한다.

고령자를 위한 스마트 홈 케어의 CCRC 사례 연구 : 중국 고령자 CCRC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mart Home Care of CCRC for the Elderly : Focus on the CCRC Community for the Elderly in China)

  • 사린;정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803-815
    • /
    • 2021
  • 전 세계의 고령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방대한 인구수를 보유한 중국의 고령화 문제는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홈 케어의 CCRC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론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스마트 홈 케어의 CCRC의 7가지 적용 요소와 중국 스마트 홈 케어의 CCRC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중국의 노후 현황과 미래 기술수요에 맞춘 스마트 홈 케어 CCRC의 7가지 적용 요소의 가치제안을 제시한다. 첫째, 생활환경 분위기를 개선하고 공간 환경의 쾌적함을 높인다. 둘째, 노인의 신체와 환경 안전을 중시한다. 셋째, 온라인 편의서비스를 제공한다. 넷째, 노인들의 신체 건강과 심리 건강을 보장한다. 다섯째, 돌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반응할 수 있는 효율을 높인다. 여섯째, 노인의 몸 상태와 주변 환경을 예측한다. 일곱째, 레저용 놀이기구를 증설한다. 이를 통해 고령자에게 안전하고 편안한 스마트 서비스 환경을 제공해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해본다.

The Influence of Regulatory Focus on Consumer Responses to Smart Home Services for Energy Management

  • Kim, Moon-Yong;Cho, Heay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3호
    • /
    • pp.221-226
    • /
    • 2020
  • Smart homes have become the state of the art in the reduction and monitoring of energy usage within a residential setting. Emerging threats such as climate change, global warming and volatility in energy prices have fuelled the interest in smart systems. Given that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has become a more significant factor for consumers, this research examines whether consumers' attitudes toward smart home services for efficient energy management differ according to their regulatory focus. Specifically, it is predicted that consumers will have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smart home services for efficient energy management when they are promotion-focused (vs. prevention-focused). The results indicate that respondents with a promotion (vs. prevention) focus reported significantly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smart home services for energy management (e.g., smart cooling/heating system, smart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 system, smart thermostats, smart plugs, and smart switches). We suggest that regulatory focus may be an effective marketing and segmentation tool in promoting smart home services for energy management and facilitating their receptiveness to the services.

S-mote: SMART Home Framework for Common Household Appliances in IoT Network

  • Park, Dong-Min;Kim, Seong-Kyu;Seo, Yeong-Seok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5권2호
    • /
    • pp.449-456
    • /
    • 2019
  • SMART home is one of the most popular applications of Internet-of-Things (IoT) technologies, which is expanding in terms of range of applications. SMART home technology provides convenience at home by connecting household appliances to a single network, control, and management. However, many general home appliances do not support the network functions yet; hence, enjoying such convenient technology could be difficult, and it could be expensive in the beginning to build the framework. In addition, even though products with SMART home technologies are purchased, the control systems could differ from device to device. Thu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MART home framework, called an S-mote that can operate all the IoT functions in a single application by adding an infrared or radio frequency module to general home appliances. The proposed framework is analyzed using four types of performance tests by five evaluator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 that the SMART home environment was implemented successfully and that it functions appropriately, without any operational issues, with various home appliances, including the latest IoT devices, and even those equipped with an infrared or radio frequency module.

사물인터넷 서비스 플랫폼 기반 스마트 홈 리모컨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Home Remote Control Based on Internet of Things Service Platform)

  • 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563-1570
    • /
    • 2018
  • 사물인터넷 기술은 다양한 제품 서비스를 통해 우리생활 곳곳에서 빠르게 현실화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 홈 분야에서의 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스마트 홈 제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는 대부분 스마트폰 앱을 사용한다. 그러나 스마트폰 앱은 지능화와 편의성을 강조하는 스마트 홈 서비스와 상반되어 스마트 홈 컨트롤러로 적절하지 않다. 지능적인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의 통합적인 제어가 가능하면서 보다 직관적인 형태의 컨트롤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홈 리모컨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스마트 홈 리모컨은 IFTTT(If This Then That) 자동화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를 구축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스마트 홈 환경에서 안전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메시지 통신 프로토콜 설계 (A Message Communication for Secure Data Communication in Smart Home Environment Based Cloud Service)

  • 박중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1-30
    • /
    • 2021
  • 사물인터넷 기술 발전으로 스마트 차,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 홈, 스마트 팜 등 다양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새로운 환경의 등장함에 따라 개인정보 또는 기업 기밀 등 중요 정보에 대한 노출 가능성, 해킹으로 인한 금전적인 피해 사례, 악의적인 공격기법으로 인한 인명피해 등 다양한 문제가 지속하여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 기반의 안전한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 데이터 보호를 위한 메시지 통신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세부 과정으로 스마트 홈 환경에서 안전한 디바이스 등록, 메시지 인증 프로토콜, 갱신프로토콜을 새롭게 설계하였다. 스마트 홈 서비스 관련 보안 요구사항을 참고하여 대표 공격기법에 대한 안정성을 검증하고, 성능을 비교분석을 수행한 결과 통신 측면 약 50%, 서명검증 측면 약 25%의 효율성을 확인했다.

미국에서 노인을 위한 "스마트홈(SmartHome)" 개념의 요소와 적용 (Elements and Application of "SmartHome" Concept for Older Adults in USA)

  • 문창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14
    • /
    • 2011
  • This paper is intended to suggest some reference materials for future elderly housing design, especially smart home, in Korea, by reviewing the elements and applications of smart home concept for older adults in USA. Research method includes collecting materials by attending the regular SmartHome$^{(R)}$ part meeting, the navigation of related homepages, and the analysis of collected materials. Current researches in Korea look initial stage and show some general principles without practical concept & technologies of elderly facilities. SeniorSmart$^{(R)}$ Center in USA started on August 2007 with the 3 parts of SmartHOME$^{(R)}$, SmartWHEELS$^{(R)}$ and SmartBRAIN$^{(R)}$. The Center has been doing various multi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but slowing down the planned processes due to national economic recession. The major researches of SmartHome$^{(R)}$ par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S-PFP( Continuous Scale Physical Function Performance) laboratory is being in operation to help older adults and families make the difficult decision regarding the ability and safety to live independently. Three levels of necessary laboratories from uninhabited space to senior living environment were accommodated for field research. As core technologies of SmartHome$^{(R)}$, predicting & warning system of fall risk on recognizing gait signature patterns to identify any deviation from the normal patterns of the older adults, home monitoring system which will send alerts to a specified relative and/or health care professional when vital signs of the older adults will not be within normal parameters, and Mobility & Research Clinic for evaluating, treating the older adults & multidisciplinary research are under development. SmartHome$^{(R)}$ has made collaborative research agreements for field laboratory with various retirement communities and also is continuing to work for experimental software engineering with the Fraunhofer Institute, Germany.

스마트홈 서비스 환경에서의 보안 위험 분석을 위한 위협 모델링 적용 방안 (Application of Threat Modeling for Security Risk Analysis in Smart Home Service Environment)

  • 이윤환;박상건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6권2호
    • /
    • pp.76-81
    • /
    • 2017
  • In this paper, the risk analysis of smart home services was implemented by applying threat modeling. Identified possible threats for safe deployment of smart home services and identified threats through the STRIDE model. Through the creation of the Attack Tree, the attackable risk was analyzed and the risk was measured by applying the DREAD model. The derived results can be used to protect assets and mitigate risk by preventing security vulnerabilities from compromising and identifying threats from adversely affecting services. In addition, the modeled result of the derived threat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performing the security check of the smart home service.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Residential Customer: Present Status and Limitation

  • Lee, Sunguk;Park, Byungj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84-291
    • /
    • 2018
  • As environmental pollution has become worse green technologies to replace or reduce consumption of fossil fuel get spotlight from government, industry and academia globally. It is reported that 40% of carbon dioxide emission is caused by electricity power generation. And 37% of end user electricity power is used by residential costumer in US. Smart Grid is considered as one of promising technology to alleviate severe environmental problem. In residential environment,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HEMS) can play a key role for green smart home. The HEMS can give several benefits like aslowering electric utility bill, improvement of efficiency of electric power consumption and integration of generator using renewable energy resources. However just limited functions of HEMS can be used for residential customer in real life because of lack of smart function in home appliances and optimal managing software for HEMS. This study provides comprehensive analysis for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residential customer. Simple HEMS system with real products on the market are explained and limitation of current HEMS are also discussed.

최적의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창호 플랫폼 (Smart Windows and Doors Platform for Providing Optimized Inner Environment)

  • 조용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464-469
    • /
    • 2015
  • 본 논문은 방범과 쾌적한 실내 환경 유지를 위한 창호의 상태와 실내외 환경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원격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창호시스템 플랫폼을 제안한다. 특히 보안 분야, 안전 분야, 가전기기 제어와 같은 홈서비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스마트 창호 플랫폼과 스마트 홈 플랫폼 사이 표준 API를 제안한다. 제안된 플랫폼 기반으로 언제 어디에서나 방범 및 환기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격 자동개폐 및 감시를 위한 유무선 통신인터페이스의 창호시스템 전용 게이트웨이를 개발하였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 창호의 개폐 상태 감시 및 원격제어를 위한 웹과 앱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각각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