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home system

검색결과 533건 처리시간 0.024초

A Study of Power Line Communication-based Smart Outlet System Expandable at Home

  • Huh, Jun-Ho;Kim, Namjug;Seo, Kyungryong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901-909
    • /
    • 2016
  • Unprecedented attention is being given to Smart Grid, Micro Grid and Internet of Things (IoT) in the Republic of Korea recently but such systems' effect is not well experienced by the market since they require additional and costly reforms for the existing household electrical system where adaptive communication platforms are needed. As such platforms, both wireless and wire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being considered at the moment. Usually, they include WiFi, Zigbee technologies and the latter, LAN technology. However, communication speed decline due to signal attenuation and interference during wireless communications are considered to be the major problem and the extra works involving time and costs for the LAN system construction can be another demerit. Therefore, in this paper, we have introduced a Power Line Communication-based Smart Outlet System Expandable at Home to complement these disadvantages. Proposed IoT system involves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technology which is essential to constructing a Smart Grid.

계층 구조에 기반을 둔 스마트 홈 시스템를 위한 스마트 센서 프레임워크의 설계 (A Design of Smart Sensor Framework for Smart Home System Bsed on Layered Architecture)

  • 정원호;김유빈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9-59
    • /
    • 2017
  • 스마트 센싱은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인공지능의 발전과 더불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 센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스마트 센서 관련 대부분의 연구는 특정 응용 목적, 예를 들면 보안, 에너지 절약, 감시 등에 집중되고 있으며, 미래에 필요할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 센서를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는 드믄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센서의 효율적 구성을 위한 계층구조를 가진 컴포넌트 기반의 스마트 센서 프레임워크가 제안되고, 스마트 홈으로의 응용이 설계, 구현된다. 제안된 방법은 가까운 미래에 등장할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 센서를, 제안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상에서 필요한 컴포넌트의 설계 및 개발을 통해 구성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내부 혹은 외부 계층의 삽입을 통해 스마트 센서의 구성을 확대시킬 수도 있으며, 특히 외부 장치 계층과의 연결을 통해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의 설계 시, 내부 혹은 외부 모듈별 독립적인 설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소규모 스마트 홈 시스템이 설계 구현되었으며, 외부의 서버와 연결되어 다수의 스마트 홈을 수용, 관리할 수 있는 홈 클라우드까지 설계 구현되었다. 각 계층의 컴포넌트들을 개발, 추가함으로써, 스마트 카, 스마트 빌딩, 스마트 팩토리 등, 그 응용의 폭을 효율적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전화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특성 및 채널용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nd Channel Capacity of Telephone Line Communication System)

  • 노재성;장태화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33-238
    • /
    • 2009
  • 디지털 통신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서 인터넷 기술과 스마트 홈 가전기기의 확산은 고속/고품질 홈 네트워크에 대한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홈 네트워크에서 가전기기와 컴퓨팅 기기가 증가함에 따라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트래픽은 증가할 것이 명백하다. 다양한 홈 네트워크 기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얻기 위하여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길 원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정내에서 이더넷이나 유무선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지털 가전기기를 위한 TLC(Telephone Line Carrier) 시스템을 소개한다. 미래의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TLC 기반의 스마트 홈 네트워크의 주된 목적은 저가격, 쉬운 설치, 고성능, 넓은 영역을 만드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 네트워크를 위한 전화선로 통신시스템의 채널용량을 송신전력, OFDM 반송파의 수, 채널손실, 잡음손실에 따라서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지능형 스마트 홈네트워크를 위한 IoT기반 자동조절시스템 설계 (A Design of IoT based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Intelligent Smart Home Network)

  • 심정연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21-25
    • /
    • 2015
  • 사물인터넷(IoT)는 지능형 스마트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매우 중요한 핵심기술이며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스마트폰, 클라우드 컴퓨팅 등과 연계되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자율 신경계에 의한 내부 조절 시스템을 연구하여 그의 핵심 메커니즘을 지능형 스마트 홈 네트워크를 위한 IoT 기반 자동조절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응용하였다. 구성된 기기들이 연결되어 상호작용함으로써 온도, 습도, 조도가 자율적으로 조절되는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하여 조절과정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지능형 홈을 위한 사용자 식별 및 출입 감지 시스템 (User Identification and Entrance/Exit Detection System for Smart Home)

  • 이선우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48-253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 sensing system for smart home which can detect an location transition events such as entrance/exit of a member and identify the user in a group at the same time. The proposed system is compose of two sub-systems;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a database server system. The wireless sensing system is designed as a star network where each of sensing modules with ultrasonic sensors and a Bluetooth RF module connect to a central receiver called Bluetooth access point. We propose a method to discriminate a user by measuring the height of the user. The differences in the height of users is a key feature for discrimination. At the same time, the each sensing module can recognize whether the user goes into or out a room by using two ultrasonic sensors. The server subsystem is a sort of data logging system which read the detected event from the access point and then write it into a database system. The database system could provide the location transition information to wide range of context-aware applications for smart home easily and conveniently. We evaluate the developed method with experiments for three subjects in a family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developed system into a real house.

Real-Time Tracking of Human Location and Motion using Cameras in a Ubiquitous Smart Home

  • Shin, Dong-Kyoo;Shin, Dong-Il;Nguyen, Quoc Cuong;Park, Se-Yo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3권1호
    • /
    • pp.84-95
    • /
    • 2009
  • The ubiquitous smart home is the home of the future, which exploits context information from both the human and the home environment, providing an automatic home service for the human. Human location and motion are the most important contexts in the ubiquitous smart home. In this paper, we present a real-time human tracker that predicts human location and motion for the ubiquitous smart home. The system uses four network cameras for real-time human tracking. This paper explains the architecture of the real-time human tracker, and proposes an algorithm for predicting human location and motion. To detect human location, three kinds of images are used: $IMAGE_1$ - empty room image, $IMAGE_2$ - image of furniture and home appliances, $IMAGE_3$ - image of $IMAGE_2$ and the human. The real-time human tracker decides which specific furniture or home appliance the human is associated with, via analysis of three images, and predicts human motion using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The performance experiment of the human's location, which uses three images, lasted an average of 0.037 seconds. The SVM feature of human motion recognition is decided from the pixel number by the array line of the moving object. We evaluated each motion 1,000 times. The average accuracy of all types of motion was 86.5%.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스마트 홈 전용 규칙기반 추론 시스템 (Implementation of Rule-based Inference System on Microcontroller for Smart Home)

  • 구본재;신원용;양성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50-852
    • /
    • 2014
  • 최근, 사물 지능 통신, 즉 M2M 의 개발이 스마트 홈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사물 지능형 통신에서의 센서노드들의 역할은 정보를 수집하여 상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역할에만 그쳤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물 지능형 통신에서의 센서노드들의 제한적인 역할을 개선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에서의 추론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센서노드 레벨에서 기본적인 상황인식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며 이를 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기반의 스마트 홈 전용 규칙기반 추론 시스템의 개발을 제안한다.

  • PDF

재실감지 센서와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 시스템 (Energy Saving System using Occupancy Sensors and Smart Plugs)

  • 정경권;서춘원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0호
    • /
    • pp.161-16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첨단 주택에서 가전기기 에너지 절약을 위한 재실 기반 에너지 절약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센싱 시스템과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센싱 시스템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 센서를 장착한 무선 센싱 노드와 CT센서를 이용하여 전류 사용량을 측정하고 무선으로 전달하는 스마트 플러그로 구성된다.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하고, 방과 문에 설치한 재실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거주자의 재실 유무를 확인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부재 공간의 불필요한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스위치를 끔으로서 절약한다. 실험 결과 재실 기반으로 전기 에너지를 절약한다면 약 34%를 절약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딥 러닝 기반 스마트 IoT 홈 데이터 분석 및 기기 제어 알고리즘 (Smart IoT Home Data Analysis and Device Control Algorithm Using Deep Learning)

  • 이상형;이해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7권4호
    • /
    • pp.103-110
    • /
    • 2018
  • Internet of Things(IoT)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IoT 기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IoT 센서가 다양해지고 가격이 낮아지고 있어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및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스마트 IoT 홈 시스템은 IoT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대표적인 활용 사례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IoT 홈 시스템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관 기기의 제어를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스마트 IoT 홈 시스템의 센서에서 수집한 내부 환경 측정 데이터, 기기 제어 엑츄에이터에서 수집한 데이터 및 사용자의 판단 데이터를 학습하여 현재 홈 내부 상태를 분석하고 기기 제어 방법을 결정한다. 특히 기존 기술들과 다르게 최신 딥 러닝 기반의 심층 신경망을 도입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여 홈 내부 상태를 판단하고 최적의 홈 내부 환경 유지를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실험에서는 실제 장기간 측정한 데이터와 추론 결과를 비교하여 제안한 방법의 판별 성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