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device

검색결과 2,248건 처리시간 0.035초

스마트 3축 힘센서 설계 (Design of Smart Three-Axis Force Sensor)

  • 이경준;김현민;김갑순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26-232
    • /
    • 2016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of a smart three-axis force sensor for measuring forces Fx, Fy and Fz. The smart three-axis force sensor is composed of a three-axis force sensor, a force-measuring device, housing and a cover, where the three-axis force sensor and the force-measuring device are inside the housing and the cover. The measuring device measures forces Fx, Fy and Fz from the three-axis force sensor, and calculates the resultant force using the measured forces, and then sends the resultant force and forces to a PC or other controller using RS-485 communication. The repeatability error and the non-linearity error of the smart three-axis force sensor are less than 0.03%, and the interference error of the sensor is less than 0.87%. It is thought that the sensor can be used for measuring forces in a robot, automatic systems and so on.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폰 보안 취약성 분석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User Oriented Vulnerability Analysis Application on Smart Phone)

  • 조식완;장원준;이형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7-12
    • /
    • 2012
  • 최근 안드로이드 기반 상용 스마트워크 단말이 개발/보급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앱이 개발되어 사용 중에 있으나 앱을 통해 사용자도 모르게 다양한 형태의 공격이 급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능동적 대응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 상용 스마트워크 단말의 사용자 환경을 중심으로 공격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탐지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보안 취약성 분석 및 대응기법인 경우 기존 방식보다 간편하고 최소화된 메모리 구조를 이용하여 단말내 이상현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면서도 효율적으로 스마트워크 단말의 공격에 대한 능동적 대응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 기기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on Smart Devices)

  • 박성계;이동건;이상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217-229
    • /
    • 2011
  • 기존의 IT 기기는 강화된 컴퓨팅 기능과 플랫폼 채택, 차세대 네트워킹을 통해 스마트 기기로의 급속한 진화가 이뤄지고 있다. IT 기기의 스마트화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초기 수용단계에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플로우 개념을 도입하여 스마트기기 사용자들의 이용의도에 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차원적인 이용자 특성 변인이 플로우와 지각된 유용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변인들 간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논문의 결과에 의하면 스마트 기기시장을 선점하고 싶은 기업은 마케팅 전략 수립이나 콘텐츠를 개발할 때 잠재적 사용자들의 특성을 고려하도록 요구된다.

스마트폰 곡면 강화유리의 불량품 검사장치 설계 (Design for a Defective Product Inspection Device for the Curved Glass used in Smart-phones)

  • 김한솔;이경준;정동연;이연형;박재현;김갑순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794-800
    • /
    • 2015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for a defective product inspection device for the curved glass used in smart-phone. Cameras are used as inspection devices to find cracks in LCDs (Liquid Crystal Displays), PDPs (Plasma Display Panels), etc. The devices used to inspect the curved glass used in smart-phone consist of a camera, two back-light apparatus, an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and an image processing program. Camera image calibration was performed to smooth an image taken with the camera, and as a result, the average error was less than 0.12 pixels. And the image of a smart-phone's curved glass taken with the camera was processed using the produced program. As a result, the program could correctly extract the cracks on the curved glass. Thus, it is thought that the designed inspection device can successful detect cracks in curved tempered glass.

A Study on SSDP protocol based IoT / IoL Device Discovery Algorithm for Energy Harvesting Interworking Smart Home

  • Lee, Jonghyeok;Han, Jungdo;Cha, Ja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2호
    • /
    • pp.7-12
    • /
    • 2018
  • The spread of IoT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that connects objects based on wired / wireless networks is accelerating, and IoT-based smart home technology that constitutes a super connected network connecting sensors and home appliances existing inside and outside the home is getting popular. In addition, demand for alternative energy technologies such as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rapid increase of consumption of energy resources. Recently, small solar power systems for general households as well as large solar power systems for installation in large buildings are being introduced, but they are effectively implemented due to limitations of small solar panels and lack of power management technology.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smart home structure and IoT / IoL device discovery algorithm for energy harvesting system based o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efficient smart home system for device control.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가청, 비가청 신호 기반 피난방향 탐지 기법 연구 (Study on the direction detection based on audible and non-audible signals using smart devices)

  • Hyun, Byeongchun;Yun, Younguk;Park, Yohan;Kim, Youngo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51-5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재난 발생 시 지향성 스피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피난 방향 탐지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연기, 소음 등의 원인으로 출구 방향조차 알 수 없는 최악의 재난 환경에서 지향성 스피커로부터 송출되는 가청 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안내 방송을 스마트 디바이스로 수신함으로써, 피난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는 기법이다.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평가는 대형 실내공간에서 제조사가 다른 3종류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스피커로부터 송출되는 소리 신호의 방향을 탐지하여 스피커가 설치된 출구 방향을 탐지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거리별 신호 세기와 주파수 특성을 통한 신호검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가 스피커로부터 최대 20m까지 떨어져 있더라도 신호의 송출 방향 탐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스마트 디바이스로 8kHz와 20kHz 신호 검출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술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N-Screen 환경 기반의 이러닝 시스템 설계 방안 (Design of e-Learning System in N-Screen Environment)

  • 신유진;서동수;홍승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45-53
    • /
    • 2012
  • 지능형 모바일 및 가전기기의 등장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뿐 아니라 교육용 콘텐츠의 이용량을 증대시켰다. 특히 이동성을 강조한 단말 기기인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의 보급 및 지능화된 스마트 TV의 등장은 다양한 단말 환경에서 편리하게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고, 언제 어디서나 이용자가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현재 이용되고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들은 단말 제조사 및 모바일 OS 공급자의 정책이 통일되지 않아 다양한 환경 내에서의 콘텐츠의 재사용이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NeS(N-Screen e-learning System)를 제안하고자 한다. NeS는 이용자 학습 관리, 교육 콘텐츠 관리의 교육 관련 시스템과 콘텐츠 변환과 양방향 처리로 이루어지는 N-Screen 대응 콘텐츠 전송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NeS에서는 새로운 웹 표준으로 각광받고 있는 HTML 5 언어를 이용해 각종 기기간의 상호호환성을 보장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NeS를 통해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각종 기기 및 다양한 OS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콘텐츠의 OSMU를 실현할 수 있고, 콘텐츠의 연속성을 보장하여 보다 편리하게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아웃도어 웨어 기능성 요구에 따른 스마트 아웃도어 재킷 설계시안 (Draft Proposal of Smart Outdoor Wear upon the Outdoor Wear Functionality Demand)

  • 백경자;이정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46-455
    • /
    • 2014
  • This study revealed the results related to the functionality of outdoor wear required when man and women in their 30s to 50s engage in outdoor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proposed composition draft for a smart outdoor jacket with main functions of GPS device and light-emitting device using solar cell and EL. Absorption and release of sweat, functionality regarding rain and wind, and lightweightness, etc. from material functionalities of outdoor wear were found to be important. From function required in clothing for outdoor activity, location tracking, night glow, and lighting functions were found to be most important. For results investigating the necessity of the jacket's location tracking function and lighting function using solar cell, high scores of 3.9~4.0 were given. Purchase intentions for smart outdoor jacket with location tracking and lighting functions devised by this study were fairly positive and most responses indicated that the appropriate purchase price was between 200,000 to 300,000 won while possible problems of this smart outdoor jacket were listed in the order of washing inconvenience, high price, device weight, and discomfort in movement. The draft proposal to integrate with wearable devices for smart outdoor jacket prototype is as follows: Solar cell has been attached to the upper arm but placed inside a transparent pocket which has been detachable for washing convenience while the solar cell and controller have been integrated into a single unit. Using frequent movement exhibited by the arms, EL has been attached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raglan sleeve for easy spotting when used as an emergency signal or for night lighting function during outdoor activity. GPS has been attached on the left sleeve so that the person can bend the left arm inward and operate the GPS screen with the right hand while walking or running outdoors.

사물 인터넷 환경을 위한 스마트 비디오 디바이스의 에너지 제어 모델 (An Energy Control Model of Smart Video Devices for the Internet of Things)

  • 정재원;이명진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6-7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저전력 동작과 에너지 하비스팅이 가능한 스마트 비디오 디바이스의 구조와 에너지 제어모델을 제안한다. 스마트 비디오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이미지 센서, 비디오 코덱, 네트워크 제어기 모듈들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에너지 제어 모델은 이미지 센싱, 비디오 부호화, 전송 시 에너지 소비량 출력과 태양전지를 통한 하비스팅 에너지 입력을 이용하여 에너지 버퍼인 배터리 입출력 관계로 정의된다. 화면률, 양자화 계수, 프로세서 동작 주파수를 에너지 레벨과 기능 블록들의 에너지 소비 제어 계수로 사용한다. 제안하는 에너지 제어 모델은 스마트폰 기반으로 에너지 제어 계수들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측정을 통해 검증되었으며, 에너지 하비스팅 기능을 이용한 지속 가능한 스마트 비디오 디바이스 설계에 활용될 수 있다.

진동대 실험을 통한 신개념 스마트 수동제진장치의 제진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New Smart Passive Control Device using Shaking Table Test)

  • 장동두;정형조;문석준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27-3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지진이나 강풍과 같은 동적하중으로부터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MR 감쇠기 기반의 스마트수동시스템의 제진성능을 파악하였다. 스마트 수동시스템은 MR 감쇠기와 MR 감쇠기의 전력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자기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 EMI)장치를 결합시킨 시스템이다. EMI 장치는 영구자석과 코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MR감쇠기와 같이 구조물에 설치되어 구조물의 상대변위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Faraday의 전자기유도법칙에 따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감쇠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MR 감쇠기에 제공하게 된다. 스마트 수동 제어시스템은 기존의 MR 감쇠기 기반 반능동 제진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센서, 제어기, 전원공급장치 등의 피드백 제어시스템을 EMI 장치로 대체함으로써 훨씬 간편하고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6층 규모의 철골 구조물을 대상으로 다양한 역사지진 하중에 대한 진동대 실험을 통해 스마트 수동 제어시스템의 제진성능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