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forest watershed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6초

산림 소유역에서 강우-유출에 따른 부유토사 발생 특성 분석 (Analysis of Suspended Solid Generation with Rainfall-Runoff Events in a Small Forest Watershed)

  • 김재훈;최형태;임홍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617-1627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in small forest watershed, Hwacheon, Gangwondo. For five rainfall events from July 2013 to August 2013, rainfall, discharge, and suspended solid load has been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st flush effect was observed for suspended solid in each rainfall event, sediment rating curve was obtained with $y=30.029x^{1.573}$ at rising limb and $y=12.902x^{1.8827}$ at falling limb, and EMC (event mean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 was calculated to 9.4 mg/L. EMC was compared to the values from the watershed that has various land use types and EMC from forest watershed was much lower that from the crop, paddy or low covered forest watershed.

산림소유역에서 MUSLE 유출에너지인자 계수값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n MUSLE Runoff Energy Coefficient in Small Forest Watershed)

  • 김재훈;최형태;임홍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91-200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oefficient and exponent of runoff energy in MUSLE for small forest watershed, Hwachoen watershed in Gangwon-do. For 15 rainfall events, runoff volume, peak discharge and sediment yield were measured and these data were used to calculate coefficient and exponent of runoff energ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LS{\bullet}K{\bullet}C{\bullet}P$ factors of MUSLE were affected by slope steepness. The coefficient and exponent of runoff energy were validated with coefficient of efficiency of 0.92 and these values were suggested to 0.002 and 0.81 respectively. The comparison of the coefficients and exponents between Hwacheon and other forest watersheds showed that these values would reflect the effect of forest management within watershed.

샛강 생태복원을 위한 해외 사례 연구의 고찰 (An Analytical Study of Foreign Researches and Examples on Ecological Restoration for the Small Stream)

  • 권태호;박재현;김동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26-37
    • /
    • 2004
  • Most domestic small rivers and streams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managed by concrete structures. The environmental functions of the river and stream are disappearing and urban streams play only the role of drainage systems. Also, the researches to restore natural streams are something yet to develop and not established the restoration for ecological functions of a small stream. Therefore the researches are required to develop ecological engineering system for watershed management system to handle various pollutants with restoration for ecological functions of a small stream. To develop this, the ecological engineering system for watershed management system could be developed with ecological conservation. In addition, ecological engineering system for watershed management system should be prior to conserve the habitat of biological resources and water conservation and applied to the original shape of streams. Also, it should be designed to restore the micro-topography of stream, the habitat of plant population in watershed. It is needed to develop the integrated researches to restore a small stream ecosystem.

감수곡선을 이용한 산림소유역 유출특성의 시계열 변화 평가 (Analysis of Secular Changes in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Small Forested Watershed using a Baseflow Recession Curve)

  • 이익수;이헌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383-391
    • /
    • 2014
  • 본 연구는 주지하수 감수곡선을 이용하여 산림소유역의 유출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03년부터 2011년까지 9년간 관측한 강우-유출량 자료를 이용하여 수문곡선 감수부의 시계열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림소유역에서는 직접유출 감수계수가 기저유출의 감수계수 값보다 작았다. 또한 산림소유역에서의 직접유출량은 대유역에 비해 상당히 적은 양을 보였으며, 기저유출량은 차이가 크지 않았다. 시험유역에서 주지하수 감수곡선의 회귀식과 감수계수는 각각 $y=0.7528e^{-0.022x}$($R^2=0.8938$, 범위는 0.3 mm~0.8 mm), K = 0.978로 산출되었다. 주지하수 감수곡선과 연유출량과는 관련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출량이 많으면 주지하수 감수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지고, 유출량이 줄어들면 감수곡선의 기울기가 급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를 거듭할수록 주지하수 감수곡선의 기 울기가 완만해지는 경향이 나타나, 점차 기저유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시험유역에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산림의 홍수조절기능 및 수원함양기능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지소유역에서 임지이용이 토사유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est Land Use on Soil Runoff in Small Watershed)

  • 마호섭;강원석;강은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220-225
    • /
    • 2012
  • 산지소유역에 있어서 밤나무림, 소나무림, 개벌조림지로 이용되고 있는 산림을 대상으로 임분별 유출토사량과 토사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구명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임분별 유출토사량 변화를 살펴보면 개벌조림지, 밤나무림, 소나무림 순으로 나타나 임분별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임분별 유출토사량과 누적강우량간 선형회귀식의 설명력($R^2$)은 밤나무림 70%, 소나무림 60%, 개벌조림지 60%로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임분별 유출토사량과 환경인자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경사, 임상, 토양경도, 유역면적, 유로길이는 유의수준 1%, 누적강우량은 유의수준 5%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피복율은 유의수준 1%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산지소유역에서 임지이용에 따른 유출토사량의 발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피복율, 누적강우량 및 임상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중회귀식은 Y = 31.250 - 1.140(피복율) + 0.413(누적강우량) + 20.829(임상)으로 추정되었다. 산림지역에 있어서 유출토사량의 증가는 하류의 하천 및 호소의 수질 등 계류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사방조림과 사방댐 및 골막이 등 적절한 사방구조물 도입을 통한 토사유실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삼림환경(森林環境)이 수자원(水資源) 함양(涵養)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Influences of Forest Environment on the Water Yield in Small Forested Watersheds)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283-291
    • /
    • 1993
  • 이 연구는 삼림(森林)의 이수기능(理水機能) 및 환경보전(環境保全) 영향효과(影響效果)를 수량적(數量的)으로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농생대 부속 남부연습림(전남 광양군 옥룡면 추산리)내 북문골소유역(小流域)과 바람골소유역(小流域)의 2개 삼림소유역(森林小流域)에 자기우량계(自記雨量計), 직사각형 웨어 및 자기수위계(自記水位計)등의 삼림수문관측시설(森林水文觀測施設)을 설치하여 1991년 5월 11일부터 1992년 12월 31일까지 각 유역(流域)의 유출량(流出量), 유출유형(流出類型) 등의 개별(個別) 수문인자(水文因子)를 측정(測定) 분석(分析)하였다. 또한 1991년 5월부터 10월까지 수관차단(樹冠遮斷) 손실량(損失量),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 및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 등 개별 수문현상을 정량적(定量的)으로 측정(測定) 분석(分析)하여 삼림(森林)의 이수기능(理水機能)을 수량화(數量化)하여 기초수문자료를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기간동안 추산지역의 강우량은 1991년 5월부터 12월까지는 1,306.6mm, 1992년 1월부터 12월까지는 1,143.4mm이었다. 총강우량에 대한 수관차단율(樹冠遮斷率)은 소나무림에서 27.0%, 테다소나무림에서 24.3%였다. 삼림소유역(森林小流域)의 유출율(流出率)은 북문골소유역에서는 48.87, 바람골소유역에서는 41.19%이었다.

  • PDF

THE WATERSHED MANAGEMENT AND ASSESSMENT USING GIS BASED ON HYDROLOGICAL AND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 Lee, Ju-Young;Hopkins, James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9-20
    • /
    • 2006
  • The watersheds are functional geographical areas that integrate a variety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ocesses and human impacts on landscapes. Geographical assessments using GIS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dependence of resources and ecological/environmental components in watersheds. They are useful methodology for viable long term natural resource management. This paper performs through the using hydrological analyses, landscape ecological analyses, remote sensing, and GIS. Indicators are items or measures that represent key components of the small watersheds, and they are developed to be evaluated. Some indicators are described that they represent watershed condition and trend as well as focus on physical, biolog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mall watershed. Also, ecological functions such as stability, resilience, and sensitivity are inferred from them. The model implemented in GIS allows to reflect the ecological and hydrological functioning of watershed. Methodology from image analysis,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spatial interpolation, and numerical process modeling are integrated within GIS to provide assessment for eco-logical/environmental condition. Results are described from the small watershed of Gwynns Falls in Baltimore County and Baltimore City, Maryland, an area of about 66.5 square miles. The small watershed within Gwynns Falls watershed are subject to a number of land-use. But it is predominantly urban, with significantly lesser amounts of forest and agriculture. The increasing urbanization is ass-coiated with ecological/environmental impacts and citizen conflicts.

  • PDF

공유림 분포패턴을 고려한 유역단위 산림기능평가 (Evaluation of Forest Functions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Communal Forests at the Watershed Level)

  • 권순덕;장광민;설아라;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1호
    • /
    • pp.71-7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공유림의 기능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효율적인 평가단위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능평가 단위로써 대유역, 중유역 그리고 소유역 단위의 평가방법을 고려하였다. 공유림의 경우 소유주체가 일원화 되지 않고 각 시 군의 행정권이 분산화 되어있으며, 산림의 규모가 영세한 특징이 있어 지번 단위의 평가방법은 공유림의 기능평가 단위로 적합하지 않다. 이에 따라 공유림 기능평가에 적합한 평가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집수량 기준에 따라 소 중 대유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하여 산림기능평가를 수행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각 평가단위에 따른 기능평가 결과에서는 유역단위 기능 구분 시 공유림의 소규모 산지들을 일정 규모 이상의 산지로 집단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각 평단단위 별로는 소유역 단위에서 중 대유역 단위로 갈수록 산림의 기능이 지나치게 단순화 되는 경향이 나타나 소유역 단위의 기능구분이 공유림의 산림기능평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순환(循環)모델에 의한 산지소유역(山地小流域)의 유출특성(流出特性) 분석(分析) - 팔공산유역(八空山流域)을 대상(對象)으로 - (Analysis of Runoff Characteristics for a Small Forested Watershed Using HYCYMODEL - At a watershed in Mt. Palgong -)

  • 박재철;이헌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564-575
    • /
    • 2000
  • 본 연구는 팔공산 산지소유역을 대상으로 기존의 물순환모델을 적용하여 산지 소유역에서의 장기유출특성을 구명하고자 설시하였다. 시험유역에서 1998년도와 1999년도의 5월에서 9월까지의 실측 강우량과 유출량의 수문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의 적합도 및 장기유출특성을 분석한 결과, 시험유역에서의 수위-유량 관계식 $Q=11.148H^{2.5867}$ ($R^2=0.9956$)를 산출하였고. 1998년 5월~9월의 유출율은 57.7%, 1999년 5월~9월의 유출율은 87.1%로 나타나 강우강도의 차이와 98년도 가을에 실시한 간벌의 영향으로 유출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물순환모델을 적용하여 15개의 매개변수값을 결정하였으며, 이들 매개변수로 장기수문곡선을 재현한 결과, 모델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순환모델로 계산한 간별 전후의 유출성분의 분석에 의하면 간벌 후에 직접유출 성분과 기저유출 성분이 각각 4%, 7% 정도 증가하고, 증발산량은 약 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물순환모델의 직접유출에 관계하는 매개변수인 $D_{50}$$K_h$, 기저유출에 관계하는 매개변수인 $K_u$를 이용하여 간벌의 영향과 모암의 풍화 정도 등 산림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낙동강중류의 토지피복형태를 고려한 유역별 수질오염도 분석 (An Analysis on Water Pollution Degree by the Watershed considering Landcover Types in the Mid-Nakdong River)

  • 이우성;정성관;박경훈;유주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49-35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water pollution degree in the Mid-Nakdong River watershed regarding to landcover types using GIS method. As a result of landcover classification, rate of urban appeared highly on Daegu Metropolitan city. Also, rate of agriculture showed highly in the riparian zones of the Nakdong and Guemho River and rate of forest appeared highly in the borders of the study area. To identify the groups of watershed with similar landcover patterns using the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the fifty sub-watersheds were grouped in three clusters, 'Urban watershed', 'Agriculture watershed', 'Forest watershed'. The proportion of urban area in each cluste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ater pollution degree. Otherwise, the proportion of agriculture in the Agriculture watershed ha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water pollution degre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environmental capacity of water duality considering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atershed ecosystem and expand water duality monitoring systems to small st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