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gan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9초

슬로건에 사용된 주제어의 유형과 사례 분석: 전문대학교를 중심으로 (Types and Cases Analysis of College Slogan Key-Word)

  • 최석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1-412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 전문대학교에서 대학의 특성과 가치를 간결하게 알릴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슬로건(slogan)에 사용된 주제어의 유형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2005년 슬로건과 비교하여 주제어의 변화 추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윤리적 슬로건 티셔츠의 선택 기준과 착용에 따른 태도변화 (Attributes Importance and Wearing Effect of Ethical Slogan T-shirts)

  • 손형진;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65-479
    • /
    • 2016
  • Some groups do ethical activities (such as ethical slogan t-shirt campaigns) only to complete the requirements for ethical duty; consequently, some people question the effectiveness of those products. The attributes of ethical slogan t-shirts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to reduce skepticism when planning a campaign. Researchers can also suggest a new purpose for ethical t-shirts using an ethical message. In study 1, we conduct a conjoint analysis that suggests realistic multi-attribute choice decisions. The suggested multi-attributes wear design aesthetic (high/low), price (high/low), where we donate (close/far), and the size of firm (big/small). In addition, participatio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eco-friendly attitudes to confirm differences in choices between two groups. Study 1 showed that price i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but design aesthetic also remains important. In addition, a group that has a high eco-friendly attitude thought "where we donate" was more important than other groups. In study 2, a pre-post approach investigated wearers' attitude changes. We also divided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and one group wear high level design aesthetic t-shirts (and vice-versa) to measure the attitude change difference. As a result of study 2, the wearers partially changed their eco-friendly attitudes. The group that wore high design aesthetic t-shirts showed a greater difference than other groups. Through this study, we conclude that customers seriously considered the design aesthetic. Finally, wearing ethical slogan t-shirts can change the attitudes of wearers.

스마트폰 탑재기술과 마케팅전략 연구: TV광고를 중심으로 (Analysis on Smart-Phone Technology and Marketing Strategy: Focused on TV Commercial Advertisement)

  • 이로운;한정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9-15
    • /
    • 2017
  •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efficient TV commercial marketing strategy at the market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the smart-phones' TV commercial especially 'iPhone series' and 'galaxy S series'. As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hardwares, slogans and TV commercial for the target smart-phones, TV commercial is the way of the expression for the technology through the meaning of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value is defined by reclassifying the expression technique of each scene of TV commercial into nouns and adjectives. Setting a slogan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making memorable motto or phrase for the consumer and it decide the image of the product. So the correct configuration of the slogan is a keystone that is important for creating a TV commercial and has a profound impact on product image formation.

  • PDF

도서관 주간 표어의 내용 및 구조 분석 (Analysis of Content and Structure of Library Week Slogans)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53-80
    • /
    • 2020
  • 도서관 주간은 1964년에 설정된 이래 2020년까지 56년 동안 이어지면서 도서관 분야의 가장 크고 중요한 활동으로 자리 잡았다. 따라서 한국도서관협회는 도서관 주간 홍보에 활용하기 위한 표어를 공모 및 선정하여 포스터 제작 등에 활용하는데, 본 연구는 그 내용과 효과에 대해 분석하여 브랜딩 전략 차원에서 보다 효율적인 표어를 개발 및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도서관 주간 공식 표어로 선정된 116개의 내용을 박영준(2001)이 제안한 언어적 기법과 핵심 단어에 따라 분석했는데, 그 결과 '한글 문자'로만 이루어진 것이 103개(88.79%)였고, 문자 구조 유형은 '문장형'이 46개(39.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표어에 포함된 핵심 단어를 분석한 결과 '도서관'이 포함된 것이 111개(96.52%)로 가장 많았다. 따라서 도서관 주간 표어는 '도서관'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한글 문자'로 이루어진 '문장형'이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경관계획에서 제시된 경관 미래상의 현황 분석 (An Analysis on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Korea)

  • 주신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0-92
    • /
    • 2016
  • 본 연구는 경관계획 내용 중 경관 미래상의 작성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향후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지자체 경관향상을 위한 실용적인 경관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관 미래상을 작성하고 있는 실무자 대상 인터뷰를 통하여 미래상 작성 방법을 조사하였고, 수도권 32개 지자체에 수립된 경관계획을 조사하여 경관 미래상의 작성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경관 미래상과 유사한 목적과 형태로 작성되고 있는 도시계획 상의 도시 미래상과 지자체 비전을 담고 있는 도시 슬로건을 함께 조사하여 경관 미래상과 작성 경향 및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경관 미래상의 작성 방향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관 미래상은 주로 경관계획 수립을 위해 기본구상 작성에 앞서 조사한 경관자원현황과 관련 상위 계획의 미래상 및 목표를 참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관계획의 세부 내용 간 일치성과 관련 계획 간의 정합성을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방법을 경관계획 수립 지침에 구체적으로 언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재 경관 미래상은 도시 슬로건과 유사하게 구호 형태로 작성되고 있으나, 경관 미래상은 홍보의 수단이나 응용되어 활용되지 않으므로 일괄적으로 작성되고 있는 구호형 경관 미래상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경관 미래상과 도시 미래상, 도시 슬로건의 내용적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경관 미래상은 도시 슬로건에 비해 도시 미래상과 내용적 일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상위계획과의 정합성을 고려하여 작성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 분석 결과라 판단된다. 다만 향후 이러한 정합성이 유지 및 증진될 수 있도록 경관계획수립지침에서 경관 미래상 작성과 관련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New Zealand National Brand expressed in Fashion Design

  • Yum, Hae J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6호
    • /
    • pp.115-130
    • /
    • 2018
  • This study looked at how New Zealand's national brand is expressed in fashion design. In other wor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ffer a research methodology about the process that the conceptual national brand materializes through design. The method used in this research was the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and research reports for New Zealand national branding. A direct market survey on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s in each travel destination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17 to February 2018. New Zealand announced its slogan for the national brand '100% pure New Zealand' in 1999, and in 2003 it announced the slogan 'new thinking New Zealand' with the value of 'newness' and 'innovation'. It also has 'Maori branding'. The study found that the three slogans had a consistent link from keywords to associated visual images. The above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reminiscent visual images extracted from the website contents of the fashion brand. Then, using a t-shirt as an item, the t-shirt corresponding to each group was classified, and the design element analyzed. As a result, the four groups showed images of 'New Zealand ecology image', 'ethnic & Kiwiana image', 'nostalgic travel image' and 'pop image'.

동화 목재 리노베이션 (Dongwha Creative Renovation)

  • 김개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01-204
    • /
    • 2005
  • In this building, we never use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s such as disassembly, destruction and newly construction to ensure the eco-friendly building and to decrease of waste disposal. We make customers feel newly by using minimum materials, pursuing the 'Best Design Using Lower Material' slogan and remodeling the building partially. The line is the most informal type one which is lack of intention. This line formation is harmonized with self-efficiency and completeness that are not required for unnecessary things, and simple unification which has not alternatives or obstacles.

  • PDF

New molecular biomarkers at post-genomics era

  • Song, Chang-Woo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31
    • /
    • 2003
  • Magic technologies and smart biomarkers at the Omics Age! This slogan is not only for the pharmaceutical companies as the speedy and cost-reduced development of global drug, but for all of the toxicologists and biologist. Biomarker refers to a variety of physiologic, pathologic, or anatomic measurements that are thought to relate to some aspect of normal or pathological processes (Temple 1995; Lesko and Atkinson 2001).(omitted)

  • PDF

동계올림픽 통합 아이덴티티의 시각적 구성요소와 특성 연구 - 밴쿠버, 소치, 평창 동계올림픽 사례중심으로 (A Study of the Visual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Identity of Winter Olympics - Focused on the Cases of the Vancouver, Sochi, and Pyeongchang Winter Olympics)

  • 이영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55-162
    • /
    • 2018
  • 동계올림픽의 통합 아이덴티티 디자인 정립을 위해 영향을 미치는 시각적 구성요소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2010년 이후 열린 밴쿠버, 소치, 평창 동계올림픽으로 한정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시각적 구성요소의 특징을 살펴보고, 2차 조사에서는 디자인의 특성인 일관성, 가변성, 확장성, 연계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동계올림픽의 통합 아이덴티티는 시각적 구성요소들의 통합적인 인식을 주는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사용에 따라 가변성을 보였다. 또한 서로간의 연계적인 이미지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변화 속에서도 적용매체에 따라 유연하게 활용되는 확장성은 엠블럼과 슬로건에서 미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이 향후 올림픽 엠블럼 디자인 제작에 효과적인 통합 아이덴티티 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