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3초

세척 수 및 보관온도가 세척 식용란 품질과 안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shing and Storage Temperature on Quality and Safety of Washed Shell Eggs)

  • 최범근;민지현;윤기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8-87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washing waters on the quality and safety characteristics of eggs during storage. Eggs were washed with tap water, 100 ppm of sodium hypochlorite, or 30 ppm of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and stored at $10^{\circ}C$ and $20^{\circ}C$. Effects of various washing waters on reduction of Salmonella Enteritidis and aerobic plate counts and survival of S. Enteritidis on egg shells were also analyzed at $10^{\circ}C$ and $20^{\circ}C$ for 25 days. As an index of quality, haugh unit, weight reduction, and pHs of egg white and egg yolk were measured. Reduction percentages of haugh unit and weight were higher at $20^{\circ}C$ than at $10^{\circ}C$. Egg qualities were less affected by tap water,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and sodium hypochlorite, regardless of storage temperature. The greatest reductions in aerobic plate counts and S. Enteritidis were observed with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The level of S. Enteritidis on egg shells gradually decreased during 20 days of storage at both $10^{\circ}C$ and $20^{\circ}C$, whereas S. Enteritidis survived longer at $20^{\circ}C$ than at $10^{\circ}C$. S. Enteritidis was not detected in eggs at $10^{\circ}C$, 2.13 log CFU/g of S. Enteritidis was detected in eggs washed with sodium hypochlorite after 20 days of storage at $20^{\circ}C$, indicating that S. Enteritidis penetrated into the egg shell during storage at $20^{\circ}C$. In conclusion,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increased microbial reduction and least affected quality of washed eggs. Thus,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can be recommended for washing of graded eggs, at retail markets.

Synergistic Effect of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and Ultrasound at Mild Heat Temperature in Microbial Reduction and Shelf-Life Extension of Fresh-Cut Bell Pepper

  • Luo, Ke;Oh, Deo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9호
    • /
    • pp.1502-1509
    • /
    • 201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combined treatments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SAEW), ultrasound (US), or mild heat (60℃)) on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in fresh-cut bell pepper, and the shelf-life and sensory quality (color and texture) were followed during storage at 4℃ and 25℃. An additional 0.65, 1.72, and 2.70 log CFU/g reduction was achieved by heat treatments at 60℃ for 1 min for DW, SAEW, and SAEW+US,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type of pathogen, the combined treatment (SAEW+US+60℃) achieved a significantly (p < 0.05) longer lag time in all treatment groups. This combined treatment also prolonged the shelf-life of bell pepper up to 8 days and 30 h for the storage at 4℃ and 25℃, respectively.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lor and hardness of treated (SAEW+US+60℃) bell pepper from that of control during the storage. This new hurdle approach is thus expected to improve the microbial safety of bell peppers during storage and distribution.

전기분해수 처리에 따른 콩나물의 저장 중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of Soybean Sprouts Washed with Electrolyzed Water during Storage)

  • 유재열;장금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86-59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수도수(TW) 및 전기분해수인 차아염소산 나트륨수(SHEW) 및 미산성차아염소산수(SAEW)를 이용한 세척방법이 $4^{\circ}C$$25^{\circ}C$에서 콩나물의 저장 중 일반세균수와 pH 그리고 중량감소율 및 색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콩나물의 저장 중 일반세균수는 무세척 콩나물에 비해 TW 세척한 경우 0.6 log CFU/g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고, SHEW 및 SAEW 세척한 경우 2.0 log CFU/g 이상의 높은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모든 처리구에서 일반세균수와 중량감소율은 증가하였고 pH는 감소하였으며, 색도는 L값의 경우 감소하였고 b값의 경우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무세척 및 TW로 세척한 콩나물에 비하여 SHEW 및 SAEW로 세척한 콩나물의 일반세균수 및 중량감소율의 증가 및 pH 감소 그리고 색도 변화는 천천히 진행되었다. 따라서 SHEW와 SAEW와 같은 전기분해수 세척 방법은 콩나물의 초기 일반세균수를 감소시켜 콩나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저장 미생물 생육 및 품질 변화를 억제시켜 콩나물의 품질 유지 및 저장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기분해수 세척방법을 이용한 신선초 녹즙의 저장 특성 (Storage Attribute of Angelica keiskei Juice Treated with Various Electrolyzed Water)

  • 박여진;유재열;장금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846-185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증류수 및 전기분해수인 차아염소산나트륨수와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신선초 세척방법이 녹즙의 저장 중의 일반세균수, pH, 색도, polyphenol 함량, 전자공여능 및 총 항산화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녹즙의 저장기간 중 일반세균수는 증류수 세척 방법에서 저장 24시간 만에 식품공전에서 기준치로 제시한 $10^5$ CFU/mL보다 높은 균수를 보인 반면 전기분해수 세척방법에서 저장 4일이 지나도 $10^5$ CFU/mL 이하의 균수가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저장기간 동안 녹즙의 pH 및 색도는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일정범위에서 유지되었으며, 녹즙의 항산화성은 polyphenol 함량, 전자공여능 및 총 항산화력 모두 세척방법 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녹즙의 저장 중 전기분해수에 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신선초에 대한 전기분해수 세척 방법이 녹즙의 미생물학적 위험은 감소시키면서 품질에는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결과라고 생각되며, 이는 전기분해수 세척 방법이 녹즙의 품질 및 저장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신선 채소류에 대한 살균 유효성 (Disinfection efficacy of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SlAEW) against some fresh vegetables)

  • 박기재;임정호;정희용;정문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12-319
    • /
    • 2017
  • 신선 농산물의 비가열 살균에 사용되는 살균소독제는 처리시간과 살균소독제의 농도에 비선형적인 감균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적정 농도와 적정 시간에 대한 고려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희석염산(6%, v/v)을 원료로 생성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slightly acidic electrolzyed water, SlAEW)($20{\pm}1^{\circ}C$에서의 유효염소 30 ppm, ORP $562{\pm}23mV$, pH 6.4)로 4종의 채소류(상추, 깻잎, 치콘 및 케일)에 대한 미생물 저감 특성을 분석하여 비가열 살균공정설계에 필요한 살균효과를 평가하였다. SlAEW에 30분간 3회 침지하면서 핵심인자인 유효염소와 미생물군수 및 잔류 미생물군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총균수 감소는 1차 침지 초기 10분간 이루어졌으며 4종의 채소류에 생존하는 3 log CFU/g의 총균수가 침지를 통해 감소시킬 수 있는 한계값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SlAEW에 10분간 침지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는 균수는 평균적으로 약 2 log CFU/g이었다. 초기 10분후의 감소된 유효염소는 상추, 깻잎, 치콘 및 케일에 대해 각각 2.2 ppm, 2.0 ppm, 1.7 ppm 및 2.5 ppm이었고 감소된 유효염소량의 약 50-80%가 초기 10분내에 감소되었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와 미가열 병용 처리를 통한 원료 전처리 및 김치 저장 중 품질 확보 (Quality Enhancement of Kimchi by Pre-Treatment with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and Mild Heating during Storage)

  • 박중현;김하나;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69-276
    • /
    • 2016
  • 본 연구는 김치의 원 부재료와 절임배추에 부착된 미생물을 저감화하기 위하여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살균 최적화 조건을 탐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제조된 김치를 $4^{\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는 동안 나타나는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배추는 대조구에 비하여 $40^{\circ}C$에서 30 ppm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로 20분간 침지하였을 때 1.75 log CFU/g, 무채는 같은 조건에서 5분간 침지 시 1.68 log CFU/g, 파는 10분 침지 시 1.03 log CFU/g으로 각각 가장 높은 살균 효능을 나타내었다. 한편 10% 소금으로 절임한 배추를 세척할 때 $40^{\circ}C$에서 30 ppm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로 세척 시 2.91 log CFU/g 저감 효과를 나타내 수도수로 세척할 때 보다 1 log CFU/g 높은 살균 효능을 나타내었다. 반면 위생처리된 절임배추에 고춧가루, 젓갈 등 양념으로 제조된 김치에서는 이들 양념에 오염된 높은 농도의 총균수로 인하여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초기 총균수의 차이는 없었으나 대장균군은 $40^{\circ}C$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김치를 $4^{\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는 동안 미생물과 이화학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 총균수는 저장 1주 후에 약 9 log CFU/g 증식하였으나, 대장균군은 완전히 사멸하였고 젖산균은 7.66~8.18 log CFU/g까지 증식하였다.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3주까지는 총균수와 젖산균 모두 약 9 log CFU/g까지 유지하였으나 4주째에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김치의 pH와 산도는 저장 2주째 pH 4.34~4.49, 산도 0.55~0.66%로 가장 좋은 품질지표를 나타냈으며 이후부터는 품질 저하가 서서히 나타났다. 경도도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나 처리구 간 경도 변화에 대한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김치 제조 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활용은 품질과 안전성 확보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산성 전해수로 처리한 생식원료의 저장 중 미생물 저감 효과 및 색도 변화 (Effect of Microbial Inhibition and Change of Chromaticity on the Raw Materials of Saengsik Treated with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during Storage)

  • 김광희;박보금;김하나;박중현;박명수;박지용;송경빈;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830-184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생식 원료(현미, 보리, 당근, 감자, 신선초, 케일)를 미산성 전해수(SAEW)로 처리한 후 미생물 저감효과와 색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돗물(TW)과 차아염소산나트륨수(NaOCl), SAEW 처리 간의 미생물 저감 효과와 색도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저장온도(4, 10, 15, 20, 25, $30^{\circ}C$)와 저장기간(5, 10, 15, 20, 25, 30일) 동안 유통기한 연구로서 생식 원료를 저장한 후 변화를 확인하였다. 일반세균수는 생식원료 중 당근에서 가장 효과적인 저감효과를 나타냈으며 SAEW 처리가 NaOCl 처리보다 1.75 log CFU/g 더 감소하였다. 대장균군수는 보리에서 SAEW의 처리가 NaOCl 처리보다 1.54 log CFU/g 더 감소하여 생식 원료 중 가장 효과적인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신선초와 케일에서 SAEW 처리는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값을 저하시켜 품질의 변화를 유지시킨 반면, 그 밖의 생식원료에서는 SAEW와 NaOCl 처리구간 효능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SAEW와 NaOCl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냈으며, 결과적으로 생식원료에 SAEW의 처리는 미생물학적으로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수를 저감화시켜 저장기간 연장과 색도의 불변 효과를 나타냈으며 다른 품질의 변화 없이 생식의 원료를 효과적으로 위생처리가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와 초음파를 처리한 당근에서 저장 중 Bacillus cereus 균의 생육 예측모델 (Predictive Modeling of Bacillus cereus on Carrot Treated with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and Ultrasonication at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 김선영;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296-1303
    • /
    • 2014
  • 최근 과채류나 즉석섭취식품과 같은 비가열처리식품 중 당근에 존재하는 B. cereus 균은 토양세균의 일종으로 내열성 포자를 생성하여 다른 식중독 균보다 어느 표면이든 잘 들러붙어 세척과 소독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식품위생 및 품질에 민감히 대처하기 위해 비가열 세척 처리기술과 미생물의 생육을 수학적으로 기술하여 예측함으로써 위해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예측 미생물학을 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해 비가열 세척 처리 방법 중 초음파와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하여 병용 처리한 후 최적조건으로 병용 처리한 당근을 시간과 온도에 따른 생육 변화를 통해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와 초음파를 병용 처리하여 B. cereus 균 저감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초음파 단독 처리 시 400 W/L, $40^{\circ}C$, 3분 조건에서 2.87 log CFU/g의 살균 효과를 나타내 가장 좋은 최적조건을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B. cereus 균을 접종한 당근에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와 병용 처리를 하였을 때 3.1 log CFU/g의 저감화를 나타내었다. 최적조건으로 병용 처리한 당근을 각각 다른 온도(5, 10, 15, 20, 25, 30, $34^{\circ}C$)에서 저장 중의 B. cereus 균 생육 변화와 예측모델을 개발한 결과, modified Gompertz model은 B. cereus 균 생육 변화를 예측하는 데 매우 적합($R^2$은 0.9918~0.9992)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SGR값은 증가하였고 LT값은 감소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차 모델을 개발하여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예측값과 측정값이 모두 정확하게 일치하게 되면 1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는 Bias factor($B_f$)와 Accuracy factor($A_f$)가 SGR은 1.00, 1.03, LT는 1.02, 1.05로 각각 나타나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의 의미는 초음파와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하여 당근에서 B. cereus의 저감화 기술 및 저장 중 생육 변화를 실시간으로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예측모델을 개발하여 식품의 가공 및 저장 중의 품질 변화 원인을 규명하고 품질 저하를 위생적으로 안전한 저장 및 유통 기술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A study on the needs to improve Korea abattoir's critical control point of HACCP system

  • Kim, Seongjoon;Choi, Kwanghoon;Myung, Donghoon;Chung, Hangsung;Kim, Sukwon;Choe, Nonghoo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105-108
    • /
    • 2020
  • These days abattoirs' hygiene of Korea is regulated by Haz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Although 20 years have been left since first HACCP was adjusted in Korea, 12% of abattoirs got inconsistence on evaluations. Food poisoning caused by bacteria feces like pathogenic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has not decreased. These bacteria on meat cross-contaminate at the abattoir. Therefore, field verification of abattoir's critical control point (CCP) and experiments to find alternative ways of the CCP were conducted. The aerobic bacteria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high-pressure water based washing process set as CCP in most abattoirs. Four parts of cattle carcasses were selected to apply sponge-swab method. The effects were < 1 log reduction which is not significant. Lactic acid (LC), chlorine dioxide (ClO2) and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SAEW) were used to measure the effect of reducing bacteria on beef by the different time. LC has 1.24-2.02 log reduction for aerobic bacteria. ClO2 has 1.44-1.96 log reduction for aerobic bacteria. SAEW has 1.1-1.91 log reduction for aerobic bacteri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oncentrations (p < 0.05). This study presents legitimacy for hygiene improvement of CCP by field verification. In addition, chemical disinfectants that can be mechanically applied have better reduction effects of high-pressure wa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