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maturity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 아동의 측모두부 수평 기준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rizontal Reference Planes in Lateral Cephalogram in Korean Children)

  • 김경호;최광철;이지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1-265
    • /
    • 1999
  • 환자의 진단이나 치료계획 수립 및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현재까지 여러 가지 수평 기준선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정확성과 재현성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기존의 연구도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수평 기준선을 사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후의 상태를 평가하는 성인 환자와는 다르게 성장기 아동에서는 발육단계에 따라 수평 기준선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수평 기준선의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 아동의 골성숙도와 부정교합군 및 성별에 따른 Sella-Nasion (SN) 평면과 Frankfort-Horizontal(FH)평면이 이루는 각도와 FH평면과 다른 수평면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교정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는 성장기 남녀 아동 540명을 대상으로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과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SMA(Skeletal Maturity Assessment)를 이용하여 골성숙도에 따라 SMI 1-4를 A군, SMI 5-7을 B군, SMI 8-11을 C군으로 분류하고, 측모두부규격 방사선 사진 계측결과 부정교합 분류에 따라 골격성 I급 부정교합군, 골격성 II급 부정교합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군의 세 군으로 분류한 후 10개의 항목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N 평면과 FH 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골성숙도와 부정교합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SN 평면과 FH 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남자는 $8.27^{\circ}{\pm}2.31^{\circ}$, 여자는 $8.59^{\circ}{\pm}2.24^{\circ}$, 전체에서는 $8.42^{\circ}{\pm}2.28^{\circ}$였다. 3. FH 평면과 구개평면이 이루는 각은 골성숙도, 부정교합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교적 일정하였다. ($1.09^{\circ}{\pm}3.21^{\circ}$).

  • PDF

소아기에 있어 키성장과 비만도, 골성숙도와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Height Growth, Obesity and Bone maturity in Childhood)

  • 최상락;김윤영;장은진;구진숙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4-33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of short stature through a clinical review of factors related to childhood height growth. So we can find the way to meet the needs of the heightism which is widely spread among modern people. Methods: Among 160 patients who came to Andong B oriental clinic for the purpose of growth therapy, 112 children whose height was smaller than other normal children were analyzed. When the children first came to the clinic, we checked their height and weight. The parents' height was record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index and height growth was examined through growth plate test and Inbody test. We want to identify the genetic factors related to parental factors based on the data of the parent height. Results: For short stature children, weight was often normal or low. Whe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genetic factors and child growth, we found that they were more influenced by father's height rather than mother's.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keletal maturity and the five viscera. There was no apparent correlation between skeletal maturity and the five viscera but we found that there was some degree of relevance. Conclusions: For short stature children, the weight was often normal or low and parental genetic factors were more influenced by father than by mother. In the case of bone maturity it did not show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five viscera.

골격성 II급 소아·청소년의 상기도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CBCT 연구 (Factors Influencing Upper Airway Dimensions in Skeletal Class II Children and Adolescents: A CBCT Study)

  • 김병화;이제우;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1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골격성 2급 부정교합 소아·청소년의 상기도 공간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총 67명의 골격성 2급 소아·청소년의 CBCT영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기도 부피와 최소 단면적은 3차원 CBCT 영상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악안면 형태와 골 성숙도는 2차원 두부방사선사진을 통해 평가하였다. 상기도 부피 및 최소 단면적과 다양한 변수들간의 연관성이 분석되었다. 상기도 공간은 최대 성장기 이전의 환자에서 가장 작았으며, 연령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기도 부피는 전안면 고경 및 연령과, 최소 단면적은 하악 폭경 및 연령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골격성 2급 소아·청소년의 상기도 공간은 연령, 골 성숙도, 세 평면에서의 악안면 형태와 유의한 연관성을 가졌다.

부정교합자(不正咬合者)의 사춘기성장(思春期成長)과 성적(性的) 성숙간(成熟間)의 상호관계(相互關係)에 관(關)한 누년적(累年的) 연구(硏究) (A LONGITUDINAL STUDY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PUBERTAL GROWTH AND SEXUAL MATURITY IN MALOCCLUSION)

  • 장기영;이동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9-111
    • /
    • 1989
  • To study the sexual maturity at puberty and interrelation between pubertal growth peak and sexual maturity, 68 malocclusions (female 44, male 24) were longitudinally studied for 4 years and cross-sectional samples of 210 malocclusions were studied together. The pubertal growth peak was determined by stature increment and sexual maturity was studied using developmental stages of pubic hair and breast, menarche in female and those of pubic hair in mal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ean age at menarche was 12.8 years and it was 11.8 months later than PHV. 2. At pubertal growth peak, developmental stage 2 (54.2%) and 3 (29.2%) of pubic hair were most in male, and stage 1 (72.7%) and 2 (20.5%) were most in female. 3. At pubertal growth peak, the developmental stage 2 (50%) of breast was most and the stage 3 (43.2%) was next. 4. In interrelation between skeletal growth and sexual maturity, PHV had most high correlation with menarche and stage 3 of breast, and menarche had most high correlation with stage 3 of breast. 5. Appearance of remarkable sexual maturity suggested that the PHV was passed already.

  • PDF

초경시기와 골성숙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ARCHE AND THE BONE MATURITY OF MALOCCUSION GROUP)

  • 장연희;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5-423
    • /
    • 1995
  • 초경 발현시기와 초경시의 골성숙단계 및 초경후 경과기간에 따른 골성숙단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정교합자 70명의 수완부방사선사진을 연구재료로 하여 본 연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경시의 연령은 $12.04{\pm}0.82$세였다. 2. 초경후 경과기간과 골성숙단계간에는 깊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초경시의 수완부골성숙단계는 대부분 제 5 중절골의 골단이 골간을 둘러싸고 있거나(SMI 7), 제 3 말절골의 골단과 골간이 융합되어 있는 상태(SMI 8)에 해당하였다. 4. 골성숙단계에 따른 초경후 경과기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요골의 융합은 초경 후 2년에 시작되었다. 이상의 결과, 환자의 내원시 수완부방사선사진 없이도 간단한 문진을 통해 초경유무 또는 그 경과기 간을 파악함으로써 골령을 예측할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 얻어진 골령을 통해 악안면골격성장의 진행단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그 임상적 실용가능성을 다소 인정할 수 있었다.

  • PDF

골 연령이 미성숙한 골육종 환자에서 사지 보존술 후의 하지부동에 대한 고찰 (A Clinical Study of Leg Length Discrepancy after a Limb-Sparing Operation in a Skeletally-Immature Osteosarcoma Patient)

  • 김재도;문용식;이덕희;조명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2-29
    • /
    • 1998
  • A limb-sparing operation has a definitive role in the treatment of osteosarcoma in the lower extremity of skeletally-immature patients. After a limb-sparing operation, leg length discrepancy remains as a major disability that should be correct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methods of tumor resection and proper timing of leg length equalization in skeletally immature osteosarcoma patients. From September 1990 to January 1998, we reviewed eight osteosarcoma patients in an immature skeletal age. There were 4 males and 4 females, and their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50.37 months (range : 25 to 88 months). Mean skeletal age was 8 years (range : 8 months to 11 years).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thods of tumor resection ; intercalary resection in 1 case, transepiphyseal resection in 1, intra-articular resection in 5, and extra-articular resection in 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leg lengthening was begun when a patient's leg length discrepancy reached 4-5cm. 2. The age of final lengthening with permanent reconstruction was 14 years in males and 12 years in females (about 2 years before skeletal maturity). 3. When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with a temporary spacer, the site of lengthening Was in the soft tissue, not in bone, and then a permanant reconstruction was done. 4. Reconstruction with a biologic spacer to preserve the joint function was a reasonable method for equalization of leg length. In conclusion, the appropriate choice of reconstructive method and the age at which to correct the leg length discrepancy in a skeletally-immature osteosarcoma patients are important factors for maintaining leg length at full maturity.

  • PDF

혼합치열기 정상교합아동의 수완부골과 경추골의 성숙도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CORRELATION ON HAND-WRIST WITH CERVICAL VERTEBRAE FOR SKELETAL MATURATION IN MIXED DENTITION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 김명국;양규호;최남기;김선미;김지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7-243
    • /
    • 2011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소아환자의 골격성숙도 평가를 위해 경추골과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의 상호연관도를 연구하는 것이다. 성적인 특징, 연령, 치아 발육, 신장, 체중과 골격성장은 성장 단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청소년기 전이나 청소년기 동안 성장잠재력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6~18세 아동을 대상으로 측면 두부 방사선 사진과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골격성숙 단계를 비교 평가하였다. 1. 일반연령은 Skeletal Maturity Indicators(SMI)와 Cervical Vertebrae Maturation(CVM)에 비하여 적절한 골격성숙도 표시자가 되지 못하였다. 2. SMI와 CVM의 골격성숙도는 여자의 경우 남자에 비해 더 빨랐다. 3. SMI 1, 2는 CVM 1, SMI 3, 4는 CVM 2, SMI 5, 6은 CVM 3에 해당하는 연관관계가 나타났다. 4. SMI와 CVM에 대한 측정자의 재현성 및 신뢰도는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CVM도 SMI와 같이 교정치료에 있어 골격성숙도를 평가하는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성장기 아동의 수완부 골 성숙도를 이용한 정중구개봉합 성숙도 평가 (Assessment of Midpalatal Suture Maturation by Skeletal Maturity on Hand Wrist Radiographs)

  • 유다열;김동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1-41
    • /
    • 2021
  • 연구의 목적은 7세부터 15세 사이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중구개봉합의 성숙도와 SMI 및 MP3 방법으로 평가된 골 성숙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수완부 골 성숙도와 중지의 중절골 성숙도가 정중구개봉합 성숙 단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번 연구 대상은 무작위로 선택된 7세부터 15세 사이 남자 132명과 여자 135명으로 교정 치료 전 교정 진단을 위해 촬영 되었던 CBCT 수평면 영상 이용하여 정중구개봉합의 성숙도를 5단계로 평가하였고 수완부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 성숙도를 평가하였다. 정중구개봉합 성숙도와 SMI 방법으로 평가된 골 성숙도는0.905, MP3 방법으로 평가된 골 성숙도는 0.830으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중구개봉합 성숙도와 연령의 상관관계는 0.868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번 후향적 연구를 통해 골 성숙도 평가를 위한 SMI와 MP3 방법은 정중구개봉합 성숙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이 증명 되었으며 SMI 방법이 MP3 방법보다 더 나은 신뢰성을 보였다. 따라서 정중구개봉합 성숙도 평가가 필요한 모든 소아환자들을 대상으로 CBCT촬영하는 것은 불필요할 수 있으며 CBCT와 대체 가능한 SMI 와 MP3 방법은 최소의 방사선 피폭으로 간단하게 성장기 아동의 악정형 장치의 최적의 치료 시기 결정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소아청소년기 정상 교합 아동에서 경추골 및 수완부골 성숙도에 대한 하악골 성장의 연관성 (STATISTICAL CORRELATION ANALYSIS OF CVM, SMI AND MANDIBULAR LENGTH WITH NORMAL OCCLUSION IN GROWING CHILDREN)

  • 김수영;양규호;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57-365
    • /
    • 2012
  • 교정치료에는 치아를 움직이는 치열교정치료와 골격적인 이동을 도모하는 악정형 치료가 있다. 소아청소년기 아동에서 특히 악정형 치료를 위해서는 골 성숙도와 성장 잠재력의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6~13세 정상 교합 아동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사진과 수완부골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발달 단계를 평가하고 하악골 성장량을 비교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SMI와 CVM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 < 0.05). 수완부골 성숙도가 증가할수록 Ar-Go, Co-Go, N-Go, S-Gn, N-Me, Co-Gn, Go-Me, Go-Gn이 증가하였고, 경추골 성숙도가 증가할수록 Ar-Go, Co-Go, N-Go, S-Gn, N-Me, Co-Gn, Go-Me, Go-Gn이 증가하였다. 또한 Ar-Go, Co-Go, N-Go, S-Gn, N-Me, Co-Gn, Go-Me, Go-Gn은 경추 및 수완부골 성숙도와 각각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p < 0.05). 이상의 결과로 하악골 성장은 경추 및 수완부골 성숙도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한국 재래닭의 부화 후 성장단계별 넙다리뼈와 정강뼈 성장에 관한 연구 (The growth stage study on the femur and tibia of Korean native chicken after hatching)

  • 태현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81-188
    • /
    • 2015
  • Skeletal development of chicken has been widely discussed in industrial forums and various research reports. However, these studies were emphasis on the commercial chicken strains for improve egg and meat production whereas the skeletal quiet remains as a potential weak link related to facilitating in the physical support of heavier carcasses at ever younger ages. For that, the study of standardization of skeletal development is important but it was rarely reported in Korean native chicken (KNC). The study was investigated the skeletal characteristics of KNC for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We studied in KNC at 2, 14, 28, 42, 56, 70, 84, 98, 112, 126, 147, 168, 196, 224, 336 and 448 days after hatch (male and female, n=13 for each group). We measured the body weight (BW), and after sacrifice measured organs and remove muscle from femur & tibia and measured bone weight. Data were analyzed by ANOVA,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f SAS 9.1. We analyzed the data of BW, femur & tibia and made growth curve also. The BW was significantly increased up to 147 days after hatch (male, $1,927.88{\pm}68.92g$; female, $1,456.00{\pm}50.11g$), and then increased gradually. At 336 days, these growth was stop (male, $2,467.00{\pm}42.84g$; female, $1,568.71{\pm}62.62g$). The growth of femur & tibia length and width was stop on 98~126 days after hatch. At 98 days, we measured the length and width of femur & tibia in male were $132.39{\pm}3.18mm$ & $25.98{\pm}0.59mm$ whereas in female at 112 days the length of femur & tibia was $116.40{\pm}1.55mm$ and at 126 days width was $21.41{\pm}0.38mm$. Our study suggests that the growth of male KNC was classified pre-puberty (0~98 days), puberty (98~336 days) and maturity (after 336 days), meanwhile female was shown similar trend however puberty period of KNC was 112 or 126 days after ha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