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te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4,769건 처리시간 0.03초

난지도 하수슬러지 매립지의 슬러지 성상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Sludge Landfill Site in Nanjido)

  • 남궁완;황선숙;김철수;윤범한;류범수
    • 유기물자원화
    • /
    • 제4권2호
    • /
    • pp.47-53
    • /
    • 1996
  • 난지도 하수슬러지 매립지 내 슬러지의 적정 처리방안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슬러지의 매립량 및 성상을 조사하였다. 보링시험을 통하여 매립지의 깊이를 측정하였고 슬러지성상분석을 위한 시료를 채취하였다. 주요 분석내용은 슬러지의 화학적 특성, 중금속함량 그리고 용출시험이었다. 조사결과 슬러지 매립지는 평균 15m 깊이에 약 5만 평방미터 넓이로 총 매립량은 60만톤 정도로 추정되었다. 슬러지의 성상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하수슬러지에 비하여 상당히 안정화된 슬러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금속 함량 시험에서 구리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일반폐기물기준을 만족하였으며, 외국의 퇴비내 중금속허용기준치와 비교한 결과 대부분 기준치 이내이었다. 슬러지의 용출시험결과 난지도 하수슬러지매립장의 슬러지는 일반폐기물로 분류되었다.

  • PDF

WOLSONG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CENTER: PROGRESS AND CHALLENGES

  • Park, Jin-Beak;Jung, Hae-Ryong;Lee, Eun-Young;Kim, Chang-Lak;Kim, Geon-Young;Kim, Kyung-Su;Koh, Yong-Kwon;Park, Kyung-Woo;Cheong, Jae-Hak;Jeong, Chan-Woo;Choi, Jong-Soo;Kim, Kyung-De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477-492
    • /
    • 2009
  •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experiences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Wolsong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Center. These experiences have importance as a first implementation for the national LILW disposal facility in the Republic of Korea. As for the progress, it relates to the area of selected disposal site, the disposal site characteristics, waste characteristics of the disposal facility, safety assessment, and licensing process. During these experiences, we also discuss the necessity for new organization and change for a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system. Further effort for the safe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 needs to be pursued.

3MW 풍력발전시스템 개발품의 육상풍력실증단지 조성 타당성 평가를 위한 풍황 및 지형평가 연구 (Wind Analysis and Site Assessment for Test Site of 3MW Wind Power System)

  • 우상우;이기학;이상일;박종포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5.2-35.2
    • /
    • 2011
  • A wind turbine power performance test is very important to wind turbine manufacturers because a wind farm developer or planner must want to define powe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reliability of new wind turbines. Based on the IEC 61400-12-1, A wind turbine test site has to be nicely installed at flat terrain for testing. We are developing the wind power system which is IEC wind class IIa model with rated power of 3MW. KEPCO's Gochang power testing center was considered as candidates to build the test site without site calibration. This paper aim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test site by using implement site assessment result that was based on IEC 61400-12-1.

  • PDF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장 활용 계획 연구 (A Study on the Adaptive Reuse Plan for 2013 Suncheon Bay Garden Expo Site)

  • 조남훈;최정민
    • 농촌계획
    • /
    • 제20권1호
    • /
    • pp.161-173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adaptive reuse plan a take advantage of Suncheon Bay Garden Expo 2013. Detailed objectives included: to identify and foster cultural and ecological resources in Suncheon Bay and Garden Expo Site; and to search and propose characterized program in the site for efficient utilization; and to revitalize a site for the vitalizations of the region where garden culture and garden industries for strengthening local competitiveness. The study was multi-phased. The first stage included basic surveys such as site status and environmental context analysis, and questionnaires and similar case studies, and the second stage was to review the direction of preliminary planning, develop associated industries and strategies for regional revitalization and review and incorporate project details. And the third stage aim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plan from spatial plans and program plans and suggest plans to vitalize the operation of the sit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zation strategy is 'healing experience tourism', 'healing garden', 'healing herbal care' are suitable for the site and regional revitalization. Second, the dimension of 2013 Suncheon Bay Garden Expo which was distinguished into four area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garden expo site for efficient operation and maintenance. Four area are as follows: the park oriented area, the experiential tourism oriented area, the existing conservation oriented area, and the area for associated industries. Third, the practice of private and public partnerships is needed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and oper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seeking to take advantage of the Garden Expo site and set the plan by existing resources and in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in conjunction with area to envision and proposed management plan. Some problems are remained which have not been able to deal with details program and organization and financial planning programs for the operation of the site. This is for further study.

국내외 판내부 지진기록을 사용한 국내 지반의 지반운동 증폭특성 규명 및 토사지반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의 제안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Overseas Intraplate Earthquake Ground Motions in Korean Soil and Standard Horizontal Design Spectrum for Soil Sites)

  • 이진호;김정한;김재관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7호
    • /
    • pp.391-399
    • /
    • 2018
  • The site coefficients in the common requirements for seismic design codes, which were promulgated in 2017, were reevaluated and the standard design spectrum for soil sites were newly proposed in order to ensure the consistency of the standard design spectra for rock and soil sites specified in the common requirements. Using the 55 ground motions from domestic and overseas intraplate earthquakes, which were used to derive the standard design spectrum for rock sites, as rock outcropping motions, site response analyses of Korean soil were performed and its ground-motion-amplification was characterized. Then, the site coefficients for soil sites were reevaluated. Compared with the existing site coefficients, the newly proposed short-period site coefficient $F_a$ increased and the long-period site coefficient $F_v$ decreased overall. A new standard design spectrum for soil sites was proposed using the reevaluated site coefficients. When compared with the existing design spectrum, it could be seen that the proposed site coefficients and the standard design spectrum for soil sites were reasonably derived. They reflected the short-period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 and soil in Korea.

적지적수(適地適樹) 판정(判定)을 위한 Neural Network 기법(技法)의 응용(應用) (Neural Network Applications to Determining Suitable Tree Species for Site-Specific Conditions)

  • 김형호;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437-444
    • /
    • 2001
  • 이 연구는 인공신경망기법을 적용하여 적지적수를 판정할 수 있는 산림환경입지인자를 도출하고, 그들 인자 상호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적지적수 판정방법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적지적수 선정을 위한 대상수종으로 5개의 주요 침엽수종(P. densiflora for. erecta, L. leptolepis, P. koraiensis, P. densiflora, P. thunbergil)을 선정하였다. 먼저 총 1,320개소의 표준지를 대상으로 각 수종별 지위지수가 높은 순으로 40개씩 추출하여 총 200개의 표준지를 선발하였다. 각각의 자료는 해당 표준지에 대한 13개 인자의 산림입지환경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연구결과 인공신경망기법은 패턴분류에 의한 산림입지환경 조사 자료들의 전산정보처리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기법을 적지적수 판정에 필요한 패턴의 유무 분석에 응용함으로써 적지적수 판정에 거의 영향을 미칠 수 없는 패턴을 소유하고 있거나, 불규칙한 양상의 패턴으로 인해 패턴분류 과정 자체를 교란할 수 있는 자료들을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었다. 그 외에 인공신경망기법은 입지인자 구성에 따라 적지적수 판정 적합도가 77.6%에서 91.8%까지 높게 나타남으로써 산림입지환경조사 자료를 토대로 하는 적지적수 판정에 매우 높은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 PDF

4개 변전소시설 부지 인근관측소의 지반증폭 특성 및 파형에너지 수준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the Site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Seismic Wave Energy Levels at the Sites near Four Electric Substations)

  • 유성화;김준경;위성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0-51
    • /
    • 2016
  • 실제 국내에서 관측된 가속도를 이용한 스펙트럼 값이 내진설계기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고진동수 구간에서 국내 내진설계 기준이 국내 고유의 지반증폭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되어 왔다. 지반증폭 특성을 분석할 때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어 왔으며 본 연구는 현장에서 자주 적용되고 있는 지반진동의 수평/수직 스펙트럼 비율을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S파 및 레일리파를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였으나, 최근 Coda파 및 배경잡음 등에 확대 적용되어 지반의 동적인 증폭특성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제한된 연구 기간 동안 4개 변전소시설 관측소 각각 2개 지점(노두 및 시추공)에서 운영되었고 본 연구는 4개 관측소의 노두에서 동시에 관측된 3개 중규모 지진의 가속도 지반진동(S파, Coda파 및 배경잡음)을 이용하여 지반증폭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4개 관측소 각각에 대해 기존 연구결과인 시추공 지반증폭 특성과 상호 비교하였다. 또한 각각 관측소 및 지점에서 지반의 우월진동수를 이용하여 각각 지반에 대한 등급분류도 시도하였다. 각각의 지진관측소마다 저진동수 및 고진동수 특성, 관측소 고유의 우월진동수가 서로 상이하여 관측소 고유의 증폭특성을 보여주었다. 대다수 관측소는 S파, Coda파 및 배경잡음 에너지를 분석한 결과와 많은 부분이 유사함을 보여 주었다. 물론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다른 방법에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와 비교한다면 지반의 동적 특성 및 지반분류 연구에 많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국내 지반특성에 적합한 설계지반운동 결정 방법에 대한 연구 (Evaluation of Earthquake Ground Motion Considering Dynamic Site Characteristics in Korea)

  • 윤종구;김동수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3-3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국내 148개 지반에 대한 전단파속도 주상도, 기반암 깊이 및 지반의 동적변형특성을 획득하여 미국 서부해안지역의 지반특성과 비교하였고, 등가선형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은 1등급 붕괴방지수준인 0.154g를 암반노두에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국내 지반특성에 적합한 증폭계수 $F_a$$F_v$는 UBC 기준의 증폭계수와 매우 다른 경향을 보였다. 단주기 증폭계수 $F_a$의 경우 UBC 기준보다는 큰 값이 얻어졌고, 장주기 증폭계수 $F_v$는 UBC 기준보다 작은 값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지반특성을 적절히 반영할 수 있는 설계지반운동 결정방법을 개선해야할 필요를 확인하였다.

방사성폐기물의 심층 처분을 위한 부지특성조사 방법론 해외 사례 연구 (Review of Site Characterization Methodology for Deep Geological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 박경우;김경수;고용권;조영욱;지성훈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9-256
    • /
    • 2017
  • 방사성폐기물 지층 처분을 위한 부지 선정 과정에서 심층 처분장의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입력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부지특성조사를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부지특성조사를 선도하여 수행하였던 해외 사례를 분석하고, 국내에서 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해 수행해야 할 부지특성조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IAEA가 고려하는 부지특성조사 방법은 단계별 부지특성조사로 본 논문에서 소개된 해외의 경우도 이 방법을 따르고 있는데, 부지특성조사는 시기별, 조사 항목별로 다수의 지역에서 개략적인 부지의 정보를 도출하는 예비 부지특성조사와 조사 결과 선정된 지역에서 보다 자세한 부지특성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상세 부지특성조사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상세 부지특성조사 단계에서는 조사지역에 장심도 시추공을 굴착하여 심부 영역에 대한 지질 특성을 바탕으로, 수리지질, 수리-지화학, 암석역학, 열, 용질이동에 대한 특성을 도출해야 한다. 단계별 부지특성조사를 통해 도출된 부지 고유의 지질환경 특성은 부지특성모델로 구축되어야 하는데, 이를 종합하여 해석해야 비로소 조사지역의 부지특성을 이해하고, 지층 처분에 보다 유리한 부지를 최종 후보지역으로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해외 사례를 살펴본 결과, 부지특성조사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은 대략 7~8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나, 이를 계획하고 수행하는 시스템이 뒷받침 되지 않을 경우 보다 지연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 주거지의 부지여건별 개발방법과 주택형식 제안 - 광주광역시 사례 연구 - (The Proposal of Development Types and Housing Forms for Urban Residential Area, Considering Urban Site Conditions - A Case Study of Gwangju City -)

  • 윤용석;양우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43-15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development method for urban residential area, considering the urban site and development conditions rather than just meeting the development limit and regulations. Gwangju Metropolitan city is investigated as a case city and the new method verifies a decision process of pertinent development types and housing forms in urban blocks.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ocess of a new development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current conditions of the residential area of Gwangju are analysed in order to find out the site characteristics and housing development situations. And the theoretical research is made to set up the development goals and objectives, regarding current trends and future paradigms of residential development. Next, the suitable development sites are selected, and their site characteristics and relevant development types for the future are compared and matched with a close analysis. Finally some pertinent housing forms for each development site are suggested, which fit well in terms of urban context and are appropriate for building up sustainable city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