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6107/JKHA.2010.21.6.143

The Proposal of Development Types and Housing Forms for Urban Residential Area, Considering Urban Site Conditions - A Case Study of Gwangju City -  

Yoon, Yong-Suk (중앙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Yang, Woo-Hyun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v.21, no.6, 2010 , pp. 143-15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development method for urban residential area, considering the urban site and development conditions rather than just meeting the development limit and regulations. Gwangju Metropolitan city is investigated as a case city and the new method verifies a decision process of pertinent development types and housing forms in urban blocks.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ocess of a new development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current conditions of the residential area of Gwangju are analysed in order to find out the site characteristics and housing development situations. And the theoretical research is made to set up the development goals and objectives, regarding current trends and future paradigms of residential development. Next, the suitable development sites are selected, and their site characteristics and relevant development types for the future are compared and matched with a close analysis. Finally some pertinent housing forms for each development site are suggested, which fit well in terms of urban context and are appropriate for building up sustainable city in the future.
Keywords
Urban Residential Area; Development Type; Site Condition; Housing For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광주광역시 (2005). 2010 광주광역시 도시관리계획 재정비. 광주: 광주광역시청.
2 이현욱 (2007). 광주시 신시가지구의 성장과 공간구조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2), 69-87.
3 조경구 (2006). 광주시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광주.
4 통계청 (1999-2008). 광주광역시 통계연보. 대전: 통계청.
5 한일지도 (2007). 광주광역시 도시관리계획도, 서울.
6 www.geopis.co.kr
7 http://local.daum.net/map/index.jsp
8 양상욱 (2005). 광주시 주택지 경관 형성 방향. 산업기술연구논문집, 12, 1-53.
9 이영석 (2007). 광주 주거환경의 과거.현재.미래, 광주광역시 도시재생 심포지엄. 광주: 광주광역시청.
10 안영은 (2009). 도시 주거기능의 재생을 위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추진방안 연구 광주광역시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광주대학교, 광주.
11 오승준 (2003). 광주시 도심의 쇠퇴원인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광주: 광주시도심활성화추진단.
12 김현웅 (2001). 도시성장에 따른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광주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광주.
13 설성현 (1999). 생태도시를 위한 토지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광주.
14 박준필 (2008). 도심지 전면재개발 개선방안. 광주: 광주발전연구원.
15 송태갑 (2003). 광주시 도심가로경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금남로, 충장로, 예술의 거리를 중심으로. 광주: 광주전남발전연구원.
16 송태갑 (2005). 광주시 정주환경에 대한 만족도 분석. 광주: 광주전남발전연구원.
17 광주광역시 (2006). 2010 광주광역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광주: 광주광역시청.
18 김명호 (2003). 도심 주거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주상복합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광주.
19 광주광역시.국토연구원 (2003). 광주광역시 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 광주: 광주광역시청.
20 광주발전연구원 (2009. 6). 2020주택종합계획-7개 세부 학술과제 연구진 회의. 광주: 광주발전연구원.
21 김화무 (2001). 광주시 중심지 설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광주대학교, 광주.
22 광주광역시 (2004). 2020 광주광역시 도시기본계획. 광주: 광주광역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