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ultaneous treatment

검색결과 701건 처리시간 0.033초

HF-LPME를 이용한 수용액 시료 내 농약의 동시 분석 (Simultaneous Analysis of Pesticides in Aqueous Sample by HF-LPME)

  • 남장우;이강진;명승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583-590
    • /
    • 2012
  • 수용액 시료 중에 존재하는 농약 7종을 속빈 섬유(hollow fiber)를 이용한 미량 추출법으로 농약을 추출/농축 한 후 GC/MS로 동시 분석하는 방법을 최적화 하였다. 실험 인자들을 변화시키면서 농약 추출 및 농축을 위한 최적 조건으로써 유기 용매는 톨루엔을 선정하였고 시료의 교반 속도로는 1200 rpm이 최적의 추출효율을 나타내었다. 염석효과를 위해서 염화소듐의 양을 5~25%까지 첨가하여 이온세기에 의한 추출량을 비교한 결과는 15%에서 최적 추출률을 나타내었고, 최적의 추출을 위한 평형시간은 15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H에 대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 pH 5에서 최대 추출효율을 나타내었다. $5{\sim}50{\mu}g/L$의 범위의 농도 내에서 검정곡선을 작성한 결과 7종의 농약 모두 회귀 계수(Coefficient of Regression, $R^2$)는 0.995 이상으로 좋은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검출 한계(Limits of detection, LOD)는 $0.37{\sim}1.23{\mu}g/L$, 정량 한계(Limits of Quantification, LOQ)는 $1.19{\sim}3.91{\mu}g/L$ 범위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Prognostic Value of SPARC Expression in Unresectable NSCLC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 Kurtul, Neslihan;Eroglu, Celalettin;Unal, Dilek;Tasdemir, Erdem Arzu;Orhan, Okan;Zararsiz, Gokmen;Baran, Munevver;Kaplan, Bunyamin;Kontas, Olg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0호
    • /
    • pp.8911-8916
    • /
    • 2014
  • Backgroun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dictive/prognostic value of the secreted protein, acidic and rich in cysteine (SPARC) in cases of unresectable,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84 patients with Stage IIIA-B non-small cell lung cancer, undergoing simultaneous chemoradiotherapy including radiotherapy at a dose of 66 Gy and weekly docataxel ($20mg/m^2$) and cisplatin ($20mg/m^2$). SPARC expression was studied in biopsy material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and correlations with treatment responses or survival were evaluated. Results: Median overall survival was $16{\pm}2.73$ (11.55-20.46) months for low expression vs $7{\pm}1.79$ months (7.92-16.08) months for high expression (p=0.039), while median local control was $13{\pm}2.31$ (8.48-17.5) months for low expression vs $6{\pm}0.85$ (4.34-7.66) months for high expression (p=0.045) and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was $10{\pm}2.31$ (5.48-14.5) months for low expression vs $6{\pm}1.10$ (3.85-8.15) months for high expression (p=0.022). In both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high SPARC expression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shorter overall survival (p=0.003, p=0.007, respectively), local control (p=0.008, p=0.036)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p=0.004, p=0.029) when compared to low SPARC express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high and low SPARC expression groups regarding age, sex, T stage, N stage, histopathology and stage-related patient characteristics. Conclusions: High SPARC expression was identified as a poor prognostic factor in cases with locally advanced NSCLC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A 19-9 방사면역측정법의 기본적 검토 및 악성종양환자에서의 혈청 CA 19-9치의 임상적 의의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CA 19-9 Radioimmunoassay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CA 19-9 Assay in Patients with Malignancy)

  • 김상은;송영기;조보연;김노경;고창순;이문호;홍성운;홍기석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9-126
    • /
    • 1985
  • To evaluat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CA 19-9 radioimmunoassay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CA 19-9 assay in patients with malignancy, serum CA 19-9 levels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using monoclonal antibody in 135 normal controls, 81 patients with various untreated malignancy, 9 patients of postoperative colon cancer without recurrence and 20 patients with benign gastrointestinal diseases, who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984 to March, 198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A 19-9 radioimmunoassay was simple to perform and can be completed in one work day. And the between-assay reproducibility and the assay recovery were both excellent. 2) The mean serum CA 19-9 level in 135 normal controls was $8.4{\pm}4.2U/mL$. Normal upper limit of serum CA 19-9 was defined as 21.0 U/mL. 4 out of 135(3.0%) normal controls showed elevated CA 19-9 levels above the normal upper limit. 3) One out of 20(5.0%) patients with benign gastrointestinal diseases showed elevated serum CA 19-9 level above the normal upper limit. 4) In 81 patients with various' untreated malignancy, 41 patients(50.6%) showed elevated serum CA 19-9 levels. 66.7% of 18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100% of 2 patients with pancreatic cancer, 100% of 3 patients with common bile duct cancer, 47.1% of 17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28.6% of 28 patients with hepatoma and 60.0% of 5 other gastrointestinal tract cancers showed elevated serum CA 19-9 levels. 5) The sensitivities of serum CA 19-9 related to resectability in colorectal and stomach cancer were 33.3% in resectable colorectal cancer, 83.3% in unresectable colorectal cancer, 41.7% in resectable stomach cancer, 60.0% in unresectable stomach cancer respectively. 6) The sensitivity of serum CA 19-9 in 9 patients of postoperative colorectal cancer without recurrence were 33.3% and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untreated colorectal cancer, 66.7% (p<0.05). 7)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serum CA 19-9 and serum CEA levels increased sensitivities. From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serum CA 19-9 radioimmunoassay is simple to perform and reproducible, and is a useful indicator reflecting tumor extent and responses to the treatment in patients with malignancy.

  • PDF

상악동 거상술 시 Waters' Projection의 유용성에 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Availability of Waters' Projection in Sinus Elevation Procedures)

  • 서미현;김성민;하지영;이정근;명훈;이종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5권2호
    • /
    • pp.88-93
    • /
    • 2013
  • Purpose: Maxillary sinus elevation has been widely used to enable insertion of endosseous implants in severely resorbed maxilla. Maxillary sinusitis after this procedure was considered to be the major drawback, therefore, preoperative evaluation of paranasal sinus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order to evaluate the condition of the sinus, we used Waters' projection. In this study, asymptomatic patients were evaluated by Waters' view, and compared to timing to assess the sinus cavity. Methods: The retrospective study was based on 14 patients who were performed sinus elevation surgery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These patients did not show any signs of maxillary sinusitis. These patients were taken Waters' view at preoperative, postoperative 1 day, 3 months, 6 months. In Waters' view, presence of air fluid level, radiopacity of sinus wall, or radiopacity of entire maxillary sinus were evaluated. The density, and sinus dimension changes were assessed using Adobe Photoshop CS5$^{(R)}$ (Adobe Systems Inc., San Jose, CA, USA). Results: Findings of Waters views in patients with clear maxillary sinus at preoperative time were followed by elevated sinus floor with transplanted bone, mucosal swelling, and air fluid level. At postoperative 3 months, and 6 months, the radiographic findings were similar to preoperative state. By contrast, patients with preoperative mucosal swelling, or haziness in sinus cavity showed radiopacity entire sinus in Waters' view. In cases of the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simultaneous treatment to mucosal swelling, good status of sinus cavity were found. Conclusion: Although Waters' projections provide the limited information, and is less sensitive method compared with computed tomography, it is simple, easy, and economical method to assess of maxillary sinus. We suggest using Waters' view as radiographic routine tool for evaluation of sinus condition, especially in the sinus elevation surgery.

길항세균 Bacillus sp. KBC1004를 이용한 고추탄저병의 생물학적 방제제 개발 (Development of Biofungicide Using Bacillus sp. KBC1004 for the Control of Anthracnose of Red Pepper)

  • 강훈석;강재곤;박정찬;이영의;정윤우;김정준;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21권3호
    • /
    • pp.208-214
    • /
    • 2015
  • 고추 재배토양에서 분리한 세균 중에서 고추탄저병균의 균사생장을 강하게 억제하며 분생포자의 발아를 현저히 억제하는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 균의 형태적 생리적 실험과 16S rRNA 분석결과를 토대로 Bacillus sp KBC1004로 명명하였다. KBC1004를 동결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원제로 하여 탄수화물과 증량제를 포함하는 수화제형($2{\times}10^8cfu/g$)으로 제조하였을 때 상온에서 2년 이상 안정된 밀도를 유지하였다. 수화제 형태의 KBC1004가 활성화 되어 탄저병균 분생포자의 발아를 억제하려면 최소 24시간이 경과되어야 하였고 실내에서 고추 열매를 이용하여 탄저병의 발병 억제력을 조사한 결과도 24시간 전에 KBC1004 수화제를 살포하고 병원균을 접종하였을 때 효과적인 병 방제가 이루어졌다. 고추포장에서 KBC1004 수화제를 500배로 희석하여 탄저병이 발생하는 6월 말부터 4회 처리하고 10일 경과 후 이병과율을 조사한 결과 화학농약의 방제가가 86.3%이였을 때 80.3%의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강원지역 폐옥수수대로부터 바이오에탄올 생산 : 효소 당화부터 발효까지 (Bioethanol Production from Wasted Corn Stalk from Gangwon Province : from Enzymatic Hydrolysis to Fermentation)

  • 최재민;최석순;염승호
    • 공업화학
    • /
    • 제23권3호
    • /
    • pp.326-332
    • /
    • 2012
  • 다양한 전처리 방법 중에서 묽은 황산법으로 전처리한 폐옥수수대가 효소적 당화 공정을 거쳤을 때 가장 높은 포도당 수율을 보였다. 이 효소적 당화공정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효소량, 고액비, 반응시간 모두 당화효율과 비례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효소량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로 파악되었으며 최적 조건에서 76.1%의 당화 효율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분리당화 발효공정에서, Saccharomyces cerevisiae는 효소 당화를 거쳐 얻은 포도당의 80%이상을 에탄올 수율 37%, 생산성 0.42 $g/L{\cdot}hr$로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였다. 동시당화 발효공정에서는 전처리된 시료가 가진 글루칸 59.5%가 0.20 $g/L{\cdot}hr$의 생산성으로 에탄올로 전환되었다. 두 공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폐옥수수대 1 kg 당 바이오에탄올 양은 88 g 정도로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당화 발효공정과 동시당화 발효공정을 통해 강원도 폐옥수수대로부터 생산할 수 있는 바이오에탄올은 수거율 50% 기준으로 약 190만 리터로 예측되었다.

랫드에서 스트레스에 의한 위궤양이 위발암화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Stress-Induced Gastric Ulcer on Gastric Carcinogenesis in Rats treated with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 이종권;김형진;이영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7-40
    • /
    • 1991
  • 랫드에서 속박 및 침수 스트레스에 의한 위궤양이 MNNG(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의 위발암과정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 하였다. 1 군은 시험시작 8시간 전에 스트레스를 가한 후 MNNG를 투여하였으며, 2군은 MNNG를 음수 투여한 후 MNNG에 의한 위발암 기간 중 촉진기간이라고 알려진 3~12주 사이에 매주 발암 물질과 함께 스트레스를 1회 가하였다. 3군은 양성 대조군으로서 MNNG만을 투여하였고, 4군은 음성 대조군으로 발암제를 처치하지 않았다. 전군 공히 20주에 부검하여 acidine-biotin peroxidase complex(ABC) 방법으로 면역조직 화학적 염색을 한 수 PAPG({Pepsinogen isozyme 1 Altered Pyloric Gland)에 대한 통계 분석을 하였으며, 각 군간의 체중 변화와 병리 변화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암 물질을 투여한 1·2·3군이 비투여군(4군)에 비해 증체율이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p<0.05), 그러나 발암 물질 투여군간의 체중변화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2. MNNG 투여와 함께 스트레스를 가한 군이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고 MNNG만을 투여한 군에 비하여 Pg 1 변이 유문선(PAPG)의 수가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 (p<0.01). 3. 위발암 과정 중 촉진기간에 스트레스를 가한 군이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고 MNNG만을 투여한 군에 비해 점막 과형성(mucosal hyperplasia) 발생이 유의성있게 증가되었다. (P<0.05)

  • PDF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알코올 음료내 휘발성 및 비휘발성 유기산의 신속한 스크리닝 (Rapid Gas Chromatographic Screening of Alcoholic Beverages for Volatile and Nonvolatile Organic Acids)

  • 김정한;김경례;채정영;박형국;최경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2-166
    • /
    • 1994
  •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한 profiling과 신속한 동정을 여러 알코올 음료(적포도주, 백포도주, 맥주, 브랜디)속에 존재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유기산의 동시분석에 적용하여 보았다. 흡착제로 Chromorb P와 용출용매로 diethyl ethe를 사용하는 고체상추출법을 이용하여 알코올 음료로부터 유기산을 분리한 후, triethylammonium염으로 만들었다. 그 후 유기산을 tert.-butyldimethylsilyl 유도체로 만들어 극성이 다른 DB-5와 DB-1701 두 컬럼으로 동시분석하였다. 두 컬럼에서 분리된 유기산 피크들을 dual capillary column system의 retention index (RI) library 탐색과 면적비(AR) 비교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었으며 이들을 GC-MS로 확인하였다. 알코올 음료들의 유기산 분석결과, fatty acid, dioc acid, hydroxy acid, aromatic acid 등 29가지의 유기산이 동정되었고 각 음료의 증류에 따라 특징적인 유기산 GC profile을 나타내었다. 각 음료의 GC profile의 유기산 조성만을 단순화시킨 RI spectra로 표현한 결과, 각 음료의 유기산 패턴의 분별이 매우 용이하였으며, Direct comparison법을 시도해 본 결과, 998 ppt의 match quality값을 나타내어 임의의 시료가 적포도주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기관 식도루가 없는 식도폐쇄증 환자의 치료경험 (Esophageal Atresia without Tracheoesophageal Fistula - Report of 6 Cases -)

  • 김성민;최승훈;김성훈;권인규;한석주;오정탁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157-164
    • /
    • 2005
  • 1990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 소아외과에서 기관식도루가 없는 식도폐쇄증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받은 6예의 환자의 수술전후 임상상을 검토하였다. 이들의 빈도는 같은 기간동안 수술받은 식도폐쇄증 환자의 약 15 %였으며, 이들 6예 모두에서 단계적인 수술로 상부식도와 하부식도를 연결하는 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으며(위전위법 3명, 대장전위법 1명, 자가식도 단단문합 2명), 수술 후 추적관찰시 양호한 소견을 보였다. 식도의 부우지 확장을 수차례 시행한 후 식도단단문합이 가능한 환자는 이 방법이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자가식도의 1차적인 단단문합이 성공하기 위한 수술전식도 부우지확장의 적절한 횟수와 정도에 대한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타 장기를 이용한 식도재건술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수술직후의 폐렴, 문합부 누출이나 식도 협착, 위식도 역류증상 등에 대하여서도 그 빈도를 줄일 수 있는 수술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vidence for the Association of Ce11u1ar Iron Loss in Nitric Oxide-induced Apoptosis of HL-60 Cells: Involvement of p38 Kinase, c-Jun N-terminal Kinase, Cytochrome C Release, and Caspases Pathways

  • Choi, Suck-Chei;Kim, Beom-Su;Yoon, Kwon-Ha;Song, Moon-Young;Oh, Hyun-Mee;Han, Weon-Cheol;Kim, Tae-Hyeon;Kim, Eun-Cheol;Jun, Chang Du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6권2호
    • /
    • pp.171-180
    • /
    • 2002
  • Nitric oxide has high affinity for iron, and thus it can cause intracellular iron loss. We tested the idea that intracellular iron can be the primary target of NO toxicity by comparing the signaling mechanisms involved in cell death caused by iron depletion and that caused by NO. Treatment of HL-60 cells with a NO donor, S-nitroso-N-acetyl-DL-penicillamine (SNAP), decreased the intracellular iron level rapidly as that observed with the iron chelator deferoxamine (DFO). Iron chelators such as DFO and mimosine could induce death of human leukemic HL-60 cells by a mechanism requiring activation of p38 kinase, c-Jun N-terminal kinase, caspase-3 and caspase-8. DFO and SNAP also caused release of cytochrome c from mitochondria. Inhibition of p38 kinase by a selective inhibitor, SB203580, abolished the NO and DFO-induced cell death, release of cytochrome c, and activation of caspase-3 and caspase-8, thus indicating that p38 kinase lies upstream in the cell death processes. In a parallel situation, the cells that are sensitive to NO showed similar sensitivity to DFO. Moreover, simultaneous addition of ferric citrate, an iron-containing compound, inhibited the SNAP and DFO-induced activation of caspases and also blocked the NO-mediated cell cycle arrest at $G_1$ phase. Collectively, our data implicate that the NO-induced cell death of tumor cells including HL-60 cells is mediated by depletion of iron and further suggest that activation of p38 kinase lies upstream of cytochrome c release and caspase activation involved in this apoptotic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