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2초

생마늘과 무취마늘의 휘발성 향기 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between Fresh and Odorless Garlic)

  • 이재곤;도재호;성현순;이종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5호
    • /
    • pp.451-454
    • /
    • 1997
  • An attempt was made in this study to analyz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resh and odorless garlic (Allium sativum L.), Essential oils in fresh garlic and odorless garlic were isolated by a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SDE) method using n-pentane/diethy ether as solvent. A total of 21 and 22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GC/MS from the essential oils of fresh garlic and odorless garlic, respectively. Diall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and methyl allyl disulfide were found to be major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fresh garlic and odorless garlic. By the preparation of ordorless garlic, 77.5% of diallyl trisulfide, 15.0% of diallyl disulfde, 72% of methyl allyl disulfide, and 78.4% of allyl thiol components in fresh garlic were lost. Eleven compounds including 2-vinyl-4H-1,3-dithiin, eugenol and 2-methoxy-4-vinyl-phenol were identified in odorless garlic, but not m fresh garlic.

  • PDF

한국산 털목이버섯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Auricularia polytricha (Mont.) sacc. Mushroom)

  • 이재곤;도재호;성현순;이종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46-548
    • /
    • 1995
  • 건조 털목이버섯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SDE 방법으로 정유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30개의 휘발성 향기성분중 acid 11종류, alcohol 10종류, aldehyde 5종류, ketone 3종류, 기타 1종류였다. 건조된 털목이 버섯의 주요 향기성분은 hexadecanoic acid(16.74%), benzeneethanol(7.77%), pentadadecanoic acid(7.59%), dihydro-5-pentyl-2(3H)-furanone(4.28%), tetradecanoic acid(3.37%), pentanoic acid(3.68%), 1-octen-3-ol(1.26%)등이 확인되었다.

  • PDF

한국 재래식 간장의 특징적 향기성분 (Characteristic volatil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 지원대;이은주;김성영;김종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346-350
    • /
    • 1992
  • 한국 재래식 간장의 많은 휘발성 향기성분 중에서 특징적인 향기성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속 수증기 증류 추출장치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고 재래식 간장향을 나타내는 중성획분을 분획하여 농축하였다. 이를 GC-관능검사에 의해 각 peak성분의 방향성을 조사하고, 이 각 peak성분을 fraction collector APP-5가 부착된 preparative GC로 분획포집한 후, 이를 GC/MS로 분석 동정하였다. 그 결과 GC-관능검사에서 불쾌취를 나타내는 향기성분으로는 3-methyl-1-butanol을, 간장향을 나타내는 향기성분으로는 dimethyl trisulfide, benzeneacetaldehyde, benzeneethanol을 각각 동정하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the Changes in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Dried Leeks (Allium tuberosum R.) following ${\gamma}$-Irradiation

  • Yang, Su-Hyeong;Shim, Sung-Lye;No, Ki-Mi;Gyawalli, Rajendra;Seo, Hye-Young;Song, Hyun-Pa;Kim, Kyong-S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341-346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amma}$-irradiation on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dried leeks (Alliums tuberosum R.). Volatile compounds of dried leeks were extracted using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Forty-one, 51, 45, and 42 compound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in control, 1, 3, and 10 kGy irradiated samples, respectively. The constituents of flavor compounds in irradiated dried leeks were similar to non-irradiated samples. However, the intensities of the peaks were clearly different between them. Sulfur-containing compounds were detected as dominant compounds in all samples and their amounts decreased after ${\gamma}$-irradiation. ${\gamma}$-Irradiation reduced the total concentrati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leeks by 23.19, 15.09, and 30.23% at 1, 3, and 10 kGy doses, respectively.

산지별 마늘의 향기 항산화활성과 열처리 효과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ma on Garlic Harvested in Different Cultivation Areas)

  • 정지영;우관식;황인국;윤향식;이연리;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637-1642
    • /
    • 2007
  • 생마늘과 열처리에 따른 마늘의 향기 특성과 향기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고자 국내산 한지형 마늘 3종(단양, 서산, 의성마늘)과 난지형 마늘 3종(남해, 남도, 대서마늘), 중국산 마늘에 대하여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SDE) 방법으로 향기 성분을 추출하여 GC/MS로 동정하고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생마늘의 주요 향기성분은 allyl methyl sulfide, methyl-2-propen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2-ethylidene-1,3-dithiane, methyl-2-propenyl trisulfide, di-2-propenyl trisulfide 및 2-vinyl- 4H-1,3-dithiin 등으로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diallyl disulfide, methyl-2-propenyl trisulfide 및 di-2-propenyl trisulfide 등은 중국산 마늘보다 한지형 마늘이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향기성분은 열처리시 2-propanone, allyl mercaptan, methyl formic acid, 2-methyl butanal 2-methyl thiophene, methyl pyrazine, 2,2-dimethyl-1,3-dithiane 및 2-propenyl propyl disulfide 등이 새롭게 생성되었으며, allyl methyl sulfide, allyl alcohol 및 allyl sulfide 등의 분자량이 작은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산지별 생마늘의 향기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단양, 남해 및 중국산은 각각 20.07, 34.62 및 9.71%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고, 열처리 후에는 각각 79.90, 93.59 및 77.26%로 증가하였다.

수증기 증류시 분산매의 조성이 냉이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강도 및 정유 회수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persion Medium on Intensity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Recovery of Essential Oil from Capsella bursa-pastoris by Steam Distillation)

  • 최향숙;이미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27-833
    • /
    • 1996
  • 연속증류추출(SDE) 장치를 이용하여 냉이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할 때 분산매의 조성(pH, 당 및 염)에 따른 향기성분의 강도 및 회수율을 조사하였다. 분산매의 pH를 3, 5, 7및 9로 하여, 각 pH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패턴 및 냉이로부터의 휘발성 향기성분 추출에 가장 적합한 pH를 조사한 결과 분산매의 pH가 7일 때 총 51종의 가장 다양한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냉이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할 때 중성 pH 부근에서 수증기 증류하는 것이 향기성분의 구성 및 회수율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냉이를 수증기 증류할 때 분산매의 sucrose 농도가 10%, 20% 및 40%로 증가함에 따라 획득된 정유량은 각각 18.1 mg, 29.0 mg 및 33.4 mg으로 40% sucrose용액에 의하여 증류할 때 정유 회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sucrose 농도가 증가할수록 확인된 휘발성 향기성분의 종류가 다양하였으며 10%, 20% 및 40% socrose 용액으로 증류할 때 각각 27종, 32종 및 38종이 확인되었다. 냉이의 수증기 증류시 분산매의 surcros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향기를 구성하는 휘발성 성분의 수는 더욱 다양하였으나 양적인 측면에서는 각 성분마다 다른 양상을 보였다. 2%, 8% 및 15% NaCl용액으로 냉이를 수증기 증류하여 얻어진 정유의 함량은 각각 33.0 mg, 12.5 mg 및 22.4 mg으로 2% NaCl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정유의 회수율이 가장 좋았으나 15% NaCl용액으로 증류할 때 가장 많은 수인 22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 및 확인되었다.

  • PDF

어성초의 화학적 특성과 휘발성 향기성분 추출물의 항균효과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of Volatile Flavor Concentrate from Houttyunia cordata Thunb)

  • 신성의;서두석;정길록;차월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7-301
    • /
    • 2006
  • SDE연속추출장치로 추출, 농축한 어성초 휘발성 향기성분 추출물이 15종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어성초의 추출물은 주로 Vibrio와 Bacillus속의 세균들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S. aureus와 epidermidis, S. dysenteriae, C. xerosis, L. monocytogenes에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하지만 E. coli, S. typhi, E. cloaceae, Y. enterocolitica와 같은 세균들은 어성초 휘발성 향기성분 농축물에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성초의 잎과 줄기에 대한 일반성분 중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은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조섬유는 줄기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잎에서 9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고, 줄기에서는 8종의 유리아미노산이 총 8.81 mg/l00 g 으로 더욱 많이 검출되었다.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 잎과 줄기에 linolenic acid (C18:3), linoleic acid (C18:2), palmitic acid (C16:0)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무기성분 중 잎과 줄기에서 K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Ca, P, Mg, Fe, Zn, Cu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GC Olfactometry를 이용한 새우의 휘발성성분 특성평가 (Flavor Characteristics of Volatile Compounds from Shrimp by GC Olfactometry (GCO))

  • 이미정;이신조;조지은;정은주;김명찬;김경환;이양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53-957
    • /
    • 2002
  • 새우를 육과 껍질 부분을 분리하지 않는 것과 폐기되고 있는 껍질부분만을 모아 SDE 장치를 이용해서 휘발성 성분을 조사해 본 결과, 각각 26개와 46개의 성분이 분리된 것을 알수 있었다. 휘발성 성분의 양에서도 껍질 부분을 처리한 시료에서 훨씬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시료를 마쇄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추출율을 살펴보면 SSW의 경우에는 눈에 띄게 휘발성 성분의 양이 늘어난 것을 알 수가 있었다.. GC-MSD로 분리.동정 한 결과, pyrazines이 9종, acids S종, aldehydes 3종, alcohol 4종, pyridines 2종로 나타났다. SSW를 AEDA법으로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GCO를 통해 sniffing test를 실시한 결과, 낮은 온도에서는 진한 새우 새우냄새가 지배적이었고, 온도가 올라갈수록 불쾌한 기름 냄새가 났다. GC-FID에서는 검출되지 않는 영역에서도 고소한 향이나 부드러운 향성분이 log$_3$ FD3이상의 높은 향 인지도를 나타내었다.

Analysis of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Produced during the Growth Stages of the Shiitake Mushrooms (Lentinus edodes)

  • Cho, Duk-Bong;Seo, Hye-Young;Kim, Kyong-Su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4호
    • /
    • pp.306-314
    • /
    • 2003
  • Volatile flavor components, produced during the young (P-1), immature (P-2), mature (P-3) and old (P-4) growth stages, of shiitake mushrooms (Lentinus edodes),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using a mixture of n-pentane and diethyl ether (1:1, v/v) as the extraction solvent. Analyses of the concentrates, by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GC)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129, 129, 111 and 120 components in the P-1, 2, 3 and 4 stages, respectively.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were l-octen-3-o1, 3-octanol, 3-octanone and 4-octen-3-one. Ethanol and ethyl acetate were also detected in large amounts. The characteristic volatile compounds found in shiitake mushrooms, such as dimeth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and 1, 2, 4-thiolane, were at low concentrations in all samples. The amount of l-octen-3-o1 decreased as growth progressed, but concentrations of 3-octanone increased. The amount of 4-octen-3-ol decreased from P-1 to P-3, but was at a high concentrations in P-4. The concentration of 3-octanol gradually increased and reached its highest concentration in P-3, but decreased in P-4. The C8-compounds comprised 70.91, 64.09, 64.29 and 60.01 % in the P-1, 2, 3 and 4 stages, respectively, so decreased gradually with growth. The S-compounds were found in the highest concentrations in P-3.

추출방법에 따른 제주산 애플망고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Jeju Apple Mango by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안미란;금영수;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775-783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제주산 애플망고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추출법으로 SE법, SDE법 및 SPME법을 이용하여 제주산 애플망고 시료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 분석하여 효율적인 추출방법에 대해 비교하였다. 제주산 망고의 조단백질이 $0.22{\pm}0.01$, 조지방 $0.09{\pm}0.00$, 회분이 $0.27{\pm}0.02%$였으며, 유리당 함량은 sucrose, fructose, glucose의 순으로 높았고 maltose, lactose, galac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추출법을 달리하여 SE법, SDE법 및 SPME법에서 확인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각각 51종, 59종 및 71종이었으며, 추출된 망고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각 방법에 따라 11.44%, 15.68% 및 73.54%가 추출되었고 확인된 화합물의 종류 및 추출량에서 SPME법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는 테르펜류와 그 유도체가 44.49~94.57%로 확인되어 망고의 향기성분을 판단하는 중요한 화합물의 조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출방법에 따라 관능기별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망고의 주 향기성분인 ${\delta}$-3-carene의 경우 각 추출방법에서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alpha}$-phellandrene, ${\gamma}$-terpinene, trans-${\beta}$-ocimene, ${\alpha}$-terpinolene, limonene, ${\alpha}$-pinene, furaneol 등은 망고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SPME법으로 추출 시에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