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ulation skill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Influence of Clinical Competency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 김동옥;변성원;이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85-92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핵심기본간호술의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G시에 소재한 4년제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3, 4학년 학생 190명으로 일반적 특성 및 임상실습 특성, 핵심기본간호술 경험 정도와 수행자신감을 설문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행경험한 핵심기본간호술의 수는 5개 이하가 51.1%였으며, 관찰경험한 핵심기본간호술의 수는 11개 이상 78.4%였다. 일반적 특성, 임상실습 만족도와 핵심기본간호술 경험 정도에 따른 수행자신감은 남자, 연령과 학년이 증가할수록,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높아졌으며, 특히 수행경험한 핵심기본간호술의 수가 증가할수록 높아졌다(p<0.001). 하지만 수행자신감은 관찰경험한 핵심기본간호술의 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463). 간호대학생의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학년, 임상실습 만족도와 수행경험한 핵심기본간호술의 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교육과정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다양한 핵심기본간호술을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는 것이 중요하고, 보안책으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을 위한 정맥주사용 가상학습 시뮬레이터와 마네킨 팔 모형을 병합한 정맥주사 실습교육의 효과 (Educational Effects of a Virtual IV Simulator and a Mannequin Arm Model Combined Training in Teaching Intravenous Cannulation for Nursing Students)

  • 김윤지;김진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31-141
    • /
    • 2020
  • 본 연구는 정맥주사용 가상학습 시뮬레이터와 마네킨 팔 모형을 병합한 정맥주사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수행자신감, 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유사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일 대학 기본간호학을 수강하는 2학년 간호대학생으로 총 93명이 모집되었으며 참여자는 병합교육군 46명, 마네킨군 47명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3월 18일부터 3월 29일까지였다. 동일한 기간동안 실험군은 정맥주사용 가상학습 시뮬레이터와 마네킨 팔 모형을 이용한 병합교육을 각 기자재 별로 15분씩, 총 30분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마네킨 팔 모형만을 이용한 교육을 총 30분간 실시하였다. 실험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지식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F=2.52, p=.116), 수행자신감(t=2.14, p=.035)과 간호수행능력(t=5.34, p<.001)은 병합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마네킨 팔 모형만을 이용하여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정맥주사용 가상학습 시뮬레이터와 마네킨 팔 모형을 병합한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수행자신감과 간호수행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응급구조학 교육의 나아갈 방향 -신임 119구급대원의 출동경험을 바탕으로- (Direction of Emergency Rescue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New 119 Paramedics for National Health Promotion)

  • 김정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07-220
    • /
    • 2021
  • 본 연구는 신임 119구급대원의 출동경험을 바탕으로 응급구조학 교육의 현장 적용 및 효용성을 파악한 후 대학교육의 한계점과 개선점 및 발전방향을 도출해내고자 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응급구조학과를 졸업한 119 구급대원으로 구급활동을 시작한 지 3년 이내의 신임구급 대원 6명이다. 내러티브 인터뷰(narrative interview)방식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한 후 현상학적 방법 중 하나인 Colaizzi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의미있는 진술에서 82개의 구성된 의미가 도출되었다. 구성된 의미로 부터 23개의 theme, 4개의 theme cluster, 2개의 category가 확인되었다. 4개의 주제모음은 '대학교육의 효용성', '대학교육의 한계점', '교육방법론에서의 개선방향', '교육내용에서의 개선방향'으로 신임구급대원들은 대학교육이 전반적으로는 도움이 되었으나 소방 현장보다는 병원 쪽에 치우친 이론교육이 주입식 강의로 이루어진 한계점을 지적하였다. 이에 신임대원들은 사례중심의 학습, 현장사례리뷰, 역할극방식 교육, 시뮬레이션 교육의 확대와 함께 실습위주로 장비를 활용한 술기교육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신임대원들은 대학교육과 현장사이에서 이론과 실제사이의 괴리감을 토로하며 소방현장에 맞는 교육의 도입을 제안하고 다양한 시각을 위한 다양한 지도를 언급하였다. 응급구조학 대학교육은 전반적으로 도움이 되었으나 제한점이 동시에 관찰되므로 교육방법론과 교육내용의 개선을 통해 발전해가야 한다.

하천 유량 예측 시스템 개선을 위한 강우 예측 자료의 적용성 평가: 플로리다 템파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Assessing the Benefits of Incorporating Rainfall Forecasts into Monthly Flow Forecast System of Tampa Bay Water, Florida)

  • 황세운;마티네즈 크리스;아세파 터루소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4호
    • /
    • pp.127-135
    • /
    • 2012
  •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 시스템을 위한 수문 예측은 안정적인 장단기 용수 공급에 있어 중요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는 다양한 기후 정보를 이용한 시스템의 평가가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플로리다 템파 지역의 연간 월 강우와 하천 유량 예측을 위해 본 시험지역에 운용되고 있는 유량 모의 시스템 (flow modeling system, FMS)을 소개하고, 관측된 강우 자료를 '최적 예측 강우 시나리오 (the best rainfall forecast)'로 가정하여 FMS의 기후 예측 정보에 대한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기본적으로 FMS에 의해 예측된 월 강우량 앙상블의 중앙값이 관측 강우량을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 예측 모델 입력자료로 사용되는 초기 월 강우량은 2개월까지의 예측에 간섭하며 이 후 예측치는 동일한 범주로 수렴하여 관측자료로 부터 추정된 통계치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측 모델이 최대 2개월간의 예측 효용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월 강우량 앙상블을 이용하여 예측된 하천 유량 앙상블은 4-6개월까지의 예측 효용성을 보였다. 예측된 강우량 대신 실제 관측 월강우 시계열 자료를 유량 예측을 위한 강우 입력자료로 적용한 결과, 예측된 유량의 범주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예측의 불확실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시험 지역에 대한 신뢰도 높은 강우 예측 자료의 확보가 기존의 수문 예측 시스템 개선에 기여할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남한에서 낙뢰발생시 근접 고층기상관측 자료를 이용한 안정도 지수 분석 (Analysis of Stability Indexes for Lightning by Using Upper Air Observation Data over South Korea)

  • 엄효식;서명석
    • 대기
    • /
    • 제20권4호
    • /
    • pp.467-482
    • /
    • 2010
  • 수치모델 및 자료동화 기법이 급격히 발달하고 여러 가지 물리 역학적 과정이 개선되며, 이를 운영하는 컴퓨팅 시스템이 발달함에 따라 수치예보 기술 및 성능이 개선되었지만, 낙뢰와 같이 주로 중규모 시스템에 동반되어 발생하거나, 수십 km 이내의 국지적인 악기상에 동반된 경우 아직까지는 수치모델의 예측성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낮은 낙뢰 탐지 및 예측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상 및 고층, 원격 탐사된 자료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낙뢰 탐지 및 예보에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한반도의 대기상태가 점차 하층에서의 온난화와 습윤화로 인하여 불안정화되고 있는 상태에서 최근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지침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낙뢰현상의 탐지 가능성 및 예측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상청 신낙뢰관측 시스템에서 관측된 낙뢰 자료와 우리나라 5개 고층 관측소 (오산, 광주, 포항, 제주, 백령도)에서 관측된 고층기상관측자료를 분석하여 낙뢰 발생시 안정도 지수와 환경변수의 객관적인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안정도 지수 및 대기환경변수는 CAPE, SSI, LI, KI, LCLT, MLMR, TPW 그리고 바람시어 등이다. 낙뢰와 고층기상관측 자료사이의 대응(match-up) 자료 선정기준으로는 레윈존데의 실제적인 비양 및 관측시간을 기준으로 -2hr~+1 hr 사이 그리고 고층기상관측소를 기준으로 100 km 이내에 낙뢰가 발생한 경우로 하였다. 장소 및 시간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낙뢰가 발생했을 때의 대류권 하층의 기온과 혼합비는 평시에 비해 약 1 K, $1{\sim}2gkg^{-1}$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각 안정도 지수와 환경변수를 낙뢰 발생시와 비발생시로 구분하여 지수들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변수에 따라 분리수준이 높은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많은 중첩이 나타나고 있어 특정 안정도 지수만을 이용하여 낙뢰탐지가 쉽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낙뢰 발생시와 비발생시에 값들의 분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수들를 이용하여 낙뢰탐지에 최적인 임계값을 산출하였다. 낙뢰와 같이 현상의 유무로 구분되는 이진변수의 탐지수준 분석에는 주로 분할표가 이용된다. 여기서 안정도 지수별 낙뢰탐지 최적의 임계값은 분할표로부터 도출되는 POD, FAR, ACC, CSI, HSS 등 다양한 평가측도 중에서 낙뢰와 같이 발생빈도가 적은 현상의 분석에 적합한 HSS를 최대로 하는 값으로 도출하였다. Table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지역에서 HSS의 값이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각 안정도 지수 및 환경변수의 개수 및 임계값이 지역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자료를 현업에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사례와 낙뢰-고층기상관측자료 대응(match-up) 자료 선정기준의 정교화 등이 필요하다. 또한 낙뢰, 집중호우와 같은 악기상의 현황과 발달과정에 대해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는 위성, 레이더 등 원격탐사자료와의 종합적인 활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