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rection of Emergency Rescue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New 119 Paramedics for National Health Promotion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응급구조학 교육의 나아갈 방향 -신임 119구급대원의 출동경험을 바탕으로-

  • Kim, Jung-Sun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ystem, Konyang University)
  • 김정선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Received : 2020.12.23
  • Accepted : 2021.01.25
  • Published : 2021.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and utility of emergency rescue education and derive limitations, improvement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field experience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EM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six new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EMT)s within three years of starting their first-aid service in the field. After conducting in-depth narrative interview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laizzi method. The 82 formulated meanings were derived from significant statements. From formulated meanings, 23 themes, 4 theme clusters, 2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 four theme clusters were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education', 'The limitations of university educati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educational methodology'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educational contents. University education has been helpful overall, but limitations are observed at the same time, suggesting that it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methodologies (i.e. problem-based learning, field case review, education through role-playing, simulation education, strengthening skill ect.) and educational content (i.e. training tailored to the field, education focused on trauma or cardiac arrest, expansion of triage education in disaster management, reinforcement of education on-site safety, education on special patients, diverse guidance and faculty for different perspectives).

본 연구는 신임 119구급대원의 출동경험을 바탕으로 응급구조학 교육의 현장 적용 및 효용성을 파악한 후 대학교육의 한계점과 개선점 및 발전방향을 도출해내고자 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응급구조학과를 졸업한 119 구급대원으로 구급활동을 시작한 지 3년 이내의 신임구급 대원 6명이다. 내러티브 인터뷰(narrative interview)방식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한 후 현상학적 방법 중 하나인 Colaizzi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의미있는 진술에서 82개의 구성된 의미가 도출되었다. 구성된 의미로 부터 23개의 theme, 4개의 theme cluster, 2개의 category가 확인되었다. 4개의 주제모음은 '대학교육의 효용성', '대학교육의 한계점', '교육방법론에서의 개선방향', '교육내용에서의 개선방향'으로 신임구급대원들은 대학교육이 전반적으로는 도움이 되었으나 소방 현장보다는 병원 쪽에 치우친 이론교육이 주입식 강의로 이루어진 한계점을 지적하였다. 이에 신임대원들은 사례중심의 학습, 현장사례리뷰, 역할극방식 교육, 시뮬레이션 교육의 확대와 함께 실습위주로 장비를 활용한 술기교육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신임대원들은 대학교육과 현장사이에서 이론과 실제사이의 괴리감을 토로하며 소방현장에 맞는 교육의 도입을 제안하고 다양한 시각을 위한 다양한 지도를 언급하였다. 응급구조학 대학교육은 전반적으로 도움이 되었으나 제한점이 동시에 관찰되므로 교육방법론과 교육내용의 개선을 통해 발전해가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119 구급대 현황. Status of 119 paramedics.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56&tblId=TX_15602_A002&conn_path=I2, 2020.10.16.
  2. 소방인력 현황. Firefighting personnel status.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631, 2020.10.16.
  3. 이기웅, 길양숙(2018). 신입 구급대원의 현장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8(1): 591-604.
  4. 허영준(2010). DACUM기법을 활용한 경기도 소방학교 교육훈련과정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4): 201-222.
  5. 오현아, 김지혜(2019).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에 대한 질적 탐색 -학습 생애사적 접근의 내러티브 인터뷰와 질적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71(10): 165-202.
  6. 김분한, 김금자, 박인숙, 이금재, 김진경, 홍정주, 이미향, 김영희, 유인영, 이희영(1999).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Giorgi, Colaizzi, Van Kaam방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과학회지, 29(6): 1208-1220.
  7. 도승이(2010). 질적 연구에서의 신뢰도와 타당도 문제.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0(1): 464-465.
  8. 이정혁, 김보균, 박상규(2016). 병원 전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킨 소방 구급대원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11(3): 71-82.
  9. 최은숙, 홍성기, 권혜란, 고봉연, 이경열, 정한호, 이명렬, 윤성우, 박시은, 조근자(2017). 응급구조(학)과 교육과정의 표준화에 대한 연구. 한국응급구조학회지, 21(2), 17-37. https://doi.org/10.14408/KJEMS.2017.21.2.017
  10. Freeman, S., Eddy, S.L., McDonough, M.., Smith, M.K., Okoroafor, N., Jordt, H., & Wenderoth, M..P.(2014). Active learning increases student performance in science, engineering, and mathemat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PNAS), 111(23): 8410-8415. https://doi.org/10.1073/pnas.1319030111
  11. Michaelsen L.K., Parmelee D.X., McMahon K., & Levine R.E.(2007). Team-based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Virginia: Stylus Publishing, LLC.
  12. 문태영(2016).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외상환자 실습교육이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지식과 만족도 및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4): 710-717.
  13. 유순규, 권혜지(2015). 전문심장소생술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경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10): 6647-6654.
  14. 강희, 강희영(2020).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 학생의 임상추론역량과 임상수행능력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8): 107-114. https://doi.org/10.5762/KAIS.2020.21.8.107
  15. 백미례(2012).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시뮬레이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응급구조학회지, 16(3): 63-75. https://doi.org/10.14408/KJEMS.2012.16.3.063
  16. 강광순(2018). 정신간호학 사례기반 문제중심학습이 비판적사고, 메타인지,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8): 231-240.
  17. 김지숙, 김영희(2016).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학습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2): 203-212.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203
  18. 서윤암, 윤상후, 김영아(2019). 역할극을 활용한 간호실습교육의 효과.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30(2): 309-321.
  19. 조은아(2015). 분만 역할극을 활용한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4): 351-360.
  20. 김은정(2017). 간호 술기 수행평가에서 실제성취도, 지각된 성취도와 학습 동기 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3(1): 48-56. https://doi.org/10.5977/JKASNE.2017.23.1.48
  21. 김창희(2018). 컴퓨터 실습수업에서 동료지도 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학습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6(1): 15-21. https://doi.org/10.22716/SCKT.2018.6.1.003
  22. 송충진(2014). 대학에서의 교수.학습활동과 의사소통,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5(2): 171-200.
  23. 정수철(2005). 대학과 일선 교육 현장과의 연계 방안. 교육과학연구, 7(2): 239-243.
  24. 현경희(2005). 대학과 중등교육 현장과의 연계 활성화 방안. 교육과학연구, 7(2): 245-250.
  25. 변순용(2015). 대학과 대학교육의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 교양교육연구, 9(1): 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