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ulated gastric fluid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18초

Solubility and Stability of Melatonin in Propylene glycol and 2-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vehicles

  • Lee, Beom-Jin;Choi, Han-Gon;Kim, Chong-Kook;Parrott, Keith-A.;Ayres, James-W.;Sack, Robert-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560-565
    • /
    • 1997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elatonin (MT) in propylene glycol (PG) and 2-hydroxypropyl-.betha.-cyclodextrin $(2-HP{\beta}CD)$ vehicles were characterized. MT was endothermally decomposed as determin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Melting point and heat of fusion obtained were $116.9{\pm}0.24^{\circ}C $.and $7249{\pm}217 cal/mol$., respectively. MT as received from a manufacture was very pure, at least 99.9%. The solubility of MT in PG solution increased slowly until reaching 40% PG and then steeply increased. Solubility of MT increased linearly as concentration of $2-HP{\beta}CD$ without PG INCREASED$(R^2=0.993)$. MT solubility in the mixtures of pg and $2-HP{\beta}CD$ also increased linearly but was less than the sum of its solubility in $2-HP{\beta}CD$ and PG individually. The MT solubility was low in water, simulated gastric or intestinal fluid but the highest in the mixture of PG(40v/v%) and $2-HP{\beta}CD$ (30w/v%) although efficiency of MT solubilization in $2-HP{\beta}CD$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PG increased. MT was degraded in a fashion of the first order kinetics $(r^2>0.90)$. MT was unstable in strong acidic solution (HCl-NaCl buffer, pH 1.4) but relatively stable in other pH values of 4-10 at $70^{\circ}C$. In HCl-NaCl buffer, MT in 10% PG was more quickly degraded and then slowed dpwm at a higher concentration. However, the degradation rate constant of MT in 2-HP.betha.CD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when compared to the water. The current studies can be applied to the dosage formulation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percutaneous absorption or bioavailability of MT.

  • PDF

Encapsulation of Lactobacillus rhamnosus GG Using Milk Protein-Based Delivery Systems: Effects of Reaction Temperature and Holding Time on Their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 Ayu, Istifiani Lola;Ha, Ho-Kyung;Yang, Dong-Hun;Lee, Won-Jae;Lee, Mee-Ry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894-904
    • /
    • 2021
  • Microencapsulation is a protective process for materials that are sensitive to harsh conditions encounted during food manufacture and storag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manufacture a milk protein-based delivery system (MPDS) containing 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 using skim milk powder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nufacturing variables, such as reaction temerpature and holding time, on the physiccohemical properties of MPDS and viability of LGG under dairy food processing and storage conditions. MPDS was prepared using chymosin at varing reaction temperatures from 25℃ to 40℃ for 10 min and holding times from 5 to 30 min at 25℃. The morph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PDS were evaluated using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nd a particle size analyzer, respectively. The number of viable cells were determined using the standard plate method. Spherical-shaped MPDS particles were successfully manufactured. The particle size of MPDS was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reaction temperature and an increase in holding time. As reaction temperature and holding time were increased,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of LGG in MPDS was increased. During pasteurization, the use of MPDS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LGG viability. The encapsulation of LGG in MPDS led to an increase in the viability of LGG in simulated gastric fluid. In addition, the LGG viability was enhanced with an increase in reaction temperature and holding time. In conclusions, the encapsulation of LGG in MPDS could be an effective way of improving the viability of LGG during pasturization process in various foods.

제초제저항성 GM 잔디에서 발현된 PAT 단백질의 알레르겐 유발 가능성 및 독성 평가 (Allergenicity and toxicity evaluation of the PAT protein expressed in herbicide-tolerant genetically modified Zoysia japonica)

  • 정혜린;선현진;강지남;강홍규;이효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316-323
    • /
    • 2020
  • 본 연구는 제초제저항성 GM 들잔디에서 발현된 PAT 단백질의 잠재적인 알레르기성 및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PAT 단백질의 in silico 분석에서 PAT 단백질은 알려진 알레르겐 또는 독성 단백질과 유사성을 보이지 않았다. PAT 단백질은 8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절편에 걸쳐 기지의 알레르겐과 35% 미만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보였고, 기지의 알레르겐과 연속한 8개의 아미노산에서 일치하는 서열도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제초제저항성 GM 들잔디에서 발현된 PAT 단백질은 펩신 존재 하의 인공위액에서 매우 빠르게 분해되었고, GM 들잔디에서 발현된 PAT 단백질은 번역 후 수식(glycosylation)도 일어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경구투여 독성 시험에서는 체중 1 kg 당 4,000 mg 을 투여한 실험구에서도 PAT 단백질 투여 후 마우스에서 사망이나 독성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들 결과는 제초제저항성 GM 들잔디에서 발현된 PAT 단백질이 잠재적 알레르겐이나 독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없음을 시사한다.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한 파인애플 착즙액 미세캡슐 분말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protease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rotease activities of microencapsulated pineapple juice powders by spray drying process)

  • 박혜미;채호용;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4-9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protease를 함유하고 있는 파인애플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하여 파인애플 착즙액을 미세캡슐화 하였으며 미세캡슐 분말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protease 활성을 조사하였다. 파인애플 착즙액의 pH, 당도 및 protease 활성은 각각 pH 5.43, 12.80 및 4.82 unit/mL이었다. Protease 활성에 대한 최적 pH 및 온도는 각각 pH 7.0 및 $50^{\circ}C$에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파인애플 착즙액의 미세캡슐분말 제조는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분무건조하였으며, 수분함량은 3.02~3.75%였다. 색도는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이 동결건조 분말에 비하여 L값 및 a값은 낮고 b값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말토덱스트린에 알긴산 3% 첨가시 선명한 노란색을 보여주었다. 입자크기는 동결건조 분말($501.57{\mu}m$)에 비하여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이 $42.58{\sim}53.32{\mu}m$로 유의적으로 작고 균일한 크기였으며, 입자모양은 전반적으로 구형의 형태를 보여주어 분말 흐름성이 양호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분흡수지수는 말토덱스트린에 알긴산을 3% 첨가한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에서 0.41로 가장 낮은 지수를 나타내었으며 수분용해지수는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에서 98.22~99.76%로 나타나 동결건조 분말보다 우수하였다. 미세캡슐 분말의 protease 활성은 동결건조 분말(1,297.47 unit/g)이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633.51~692.08 unit/g)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in vitro 인체 내 소화모델에 대한 protease 활성의 안정성은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에서만 g당 23.70~100.83 unit의 효소 활성이 나타나 위액과 장액의 pH 환경에서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피복물질로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을 첨가하여 분무건조시 식품산업 활용 측면에서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세캡슐 분말의 제조가 가능하고in vitro 인체 내 소화모델에 대한 protease 활성의 안정성이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갓김치에서 분리된 Pediococcus pentosaceus MLK67의 담즙산 분해능 및 콜레스테롤 동화능 (Bile Salts Degradation and Cholesterol Assimilation Ability of Pediococcus pentosaceus MLK67 Isolated from Mustard Leaf Kimchi)

  • 임성미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31-240
    • /
    • 2011
  • 숙성된 갓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을 pH 2.5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0.3% oxgall 존재 하에서 3시간 배양시킨 결과 MLK11, MLK22, MLK27, MLK41 및 MLK67 균주들은 $10^5$ CFU/ml 이상의 균수를 유지하여 높은 저항성을 보인 반면, MLK53 균주는 대부분의 균수가 사멸되어 매우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강한 균주들 대부분은 복합 담즙산의 탈포합능이 있었으며, MLK22와 MLK67 균주는 sodium glycocholate로부터 3.5 mM 이상의 cholic acid을 유리시켜 가장 높은 탈포합능을 보인 반면, MLK13과 MLK41은 각각 1.35와 1.16 mM 정도 낮은 양의 cholic acid를 유리시켰다. 특히, MLK22와 MLK67의 탈포합능은 sodium taurocholate 혹은 포합담즙산 혼합물 보다는 sodium glycoholate 존재 하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게다가 sodium glycocholate와 sodium taurocholate으로부터 MLK22와 MLK67이 생산하는 bile salt hydrolase (BSH)의 활성은 정지기 초기에 최대를 이르렀고 MLK67 보다는 MLK22의 BSH 활성이 다소 높았다. 한편, 실험 균주들의 콜레스테롤 제거능은 5.22-39.16 ${\mu}g$/ml로 균주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p<0.05), 그 중에서 MLK67 균주는 0.3% oxgall, cholic acid 및 taurocholic acid로부터 가장 높은 콜레스테롤 동화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험 균주 중 높은 내산성과 내담즙성을 가지며, 담즙산 탈포합능 및 콜레스테롤 동화능이 유의하게 높은 MLK67 균주는 probiotic 균주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이를 생화학적 특성과 당분해능 및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동정한 결과 Pediococcus pentosaceus MLK67로 확인되었다.

Bacillus Subtilis CBD2로 배양된 백미 발효물의 미세캡슐 제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encapsulation process of rice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CBD2)

  • 이대훈;박혜미;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5-23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백미 발효물을 곡류 효소함유 식품으로 개발하고자Bacillus subtilis CBD2를 접종하여 96시간 발효한 다음 알긴산 및 키토산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을 제조하였고, 분말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amylase 활성을 조사하였다. 백미 발효물의 생균수, pH 및 amylase 활성은 각각 7.61 log CFU/mL, pH 5.08 및 159.43 unit/mL이었다. 백미 발효물의 미세캡슐 분말 제조는 알긴산 1.0% 및 키토산을 각각 0.3%, 0.5%, 1.0%를 첨가하여 분무건조 하였다.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의 수분함량은 2.90~3.68%였으며, 색도는 키토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 및 a값은 감소하고, b값 및 ${\Delta}E$값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입자크기는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에서 $48.13{\sim}68.48{\mu}m$로 동결건조 분말 $357.87{\mu}m$ 보다 작았으며, 표면 구조는 전반적으로 구형을 나타내었으나, 키토산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 굴곡이 증가하였다. 수분흡수지수는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에서 2.40~2.65로 동결건조 분말 2.66에 비해 낮은 흡수지수를 나타내었으며, 수분용해지수는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에서 9.17~10.89%로 동결건조 분말(7.12%)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균수 및 amylase 활성은 동결건조 분말에서 각각 7.01 log CFU/g 및 506.02 unit/g으로 나타났으며, 분무건조 미세캡슐에서는 각각 4.46~4.62 log CFU/g 및 196.63~268.57 unit/g으로 나타나 동결건조 분말 보다 낮게 나타났다. 분말의 인체 내 소화 모델에서, 모든 분말은 pH 1.2의 인공위액에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최종적으로 pH 7.4의 대장조건에서 알긴산에 0.3%의 키토산을 첨가한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이 85.93%의 amylase 활성을 나타내어 인체에서의 높은 이용률이 기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