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ilarity confusion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1초

패스트 패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의사결정 연기의 선행변수 (Antecedents of consumers' decision postponement on purchasing fast fashion brands)

  • 박혜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5호
    • /
    • pp.743-75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ntecedents of consumers' decision postponement on purchasing fast fashion brands. Ongoing search behavior, overchoice confusion, and similarity confusion were considered as antecedents. It was hypothesized that ongoing search behavior influences decision postpone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overchoice confusion and similarity confusion. Data were gathered by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ree hundred five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which we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AMOS. Factor analysis proved that ongoing search behavior, overchoice confusion, similarity confusion, and decision postponement were uni-dimensions. Tests of the hypothesized path proved that ongoing search behavior influences decision postponement indirectly through overchoice confusion. In addition, similarity confusion influences decision postponement. The results suggest some confusion reduction strategies for marketers of fast fashion brand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also discussed.

인터넷 쇼핑환경에서의 소비자 혼란과 쇼핑 피로감이 부정적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Consumer confusion, shopping fatigue, and negative purchasing behavior in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 김종욱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4호
    • /
    • pp.505-521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nsumer confusion on shopping fatigue and negative purchasing behaviors in an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Further, the effects of shopping fatigue on negative purchasing behaviors were analyze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nsumers in their 20s and 40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o had experience of purchasing fashion products through internet shopping. A total of 392 questionnaire were analysis, with frequency, reliability, fact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completed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onsumer confusion and shopping fatigue in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affected negative purchasing behaviors. First, consumer confusion comprised overload confusion, similarity confusion, and ambiguity confusion. It was found that overload confusion and similarity confusion significantly affected shopping fatigue. Second, shopping fatigue significantly affected negative purchasing behaviors, and an increased level of shopping fatigue result in, increased purchase delay and non-purchase behavior. Third, consumer confusion (overload confusion, similarity confusion, ambiguity confusion)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delay behavior, while similarity confusion and ambiguity confusion significantly affected non-purchasing behavior. These results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e-CRM and marketing directions of internet companies and will contribute to rational decision-making of internet consum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consumer life.

Siamese 네트워크 기반 SAR 표적영상 간 유사도 분석 (Similarity Analysis Between SAR Target Images Based on Siamese Network)

  • 박지훈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62-475
    • /
    • 2022
  • Different from the field of electro-optical(EO) image analysis, there has been less interest in similarity metrics between synthetic aperture radar(SAR) target images. A reliable and objective similarity analysis for SAR target images is expected to enable the verification of the SAR measurement process or provide the guidelines of target CAD modeling that can be used for simulating realistic SAR target imag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esents a similarity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siamese network that quantifies the subjective assessment through the distance learning of similar and dissimilar SAR target image pairs.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MSTAR SAR target images of slightly different depression angles and the resultant metrics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qualitative evaluation. Since the image similarity is somewhat related to recognition performance, the capacity of the proposed method for target recognition is further checked experimentally with the confusion matrix.

유사 이미지 분류를 위한 딥 러닝 성능 향상 기법 연구 (Research on Deep Learning Performance Improvement for Similar Image Classification)

  • 임동진;김태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9
    • /
    • 2021
  • 딥 러닝을 활용한 컴퓨터 비전 연구는 여전히 대규모의 학습 데이터와 컴퓨팅 파워가 필수적이며, 최적의 네트워크 구조를 도출하기 위해 많은 시행착오가 수반된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최적화나 데이터를 보강하는 것과 무관하게 데이터 자체의 특성만을 고려한 CR(Confusion Rate)기반의 유사 이미지 분류 성능 향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유사한 이미지 데이터를 정확히 분류하기 위해 CR을 산출하고 이를 손실 함수의 가중치에 반영함으로서 딥 러닝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네트워크 최적화 결과와 독립적으로 이미지 분류 성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클래스 간의 유사성을 고려해 유사도가 높은 이미지 식별에 적합하다. 제안 방법의 평가결과 HanDB에서는 0.22%, Animal-10N에서는 3.38%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Noisy Labeled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연구에 기반이 될 것을 기대한다.

레벤스타인 거리 기반의 위치 정확도를 이용하여 다중 음성 인식 결과에서 관련성이 적은 후보 제거 (Removal of Heterogeneous Candidates Using Positional Accuracy Based on Levenshtein Distance on Isolated n-best Recognition)

  • 윤영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428-435
    • /
    • 2011
  • Many isolated word recognition systems may generate irrelevant words for recognition results because they use only acoustic information or small amount of language information. In this paper, I propose word similarity that is used for selecting (or removing) less common words from candidates by applying Levenshtein distance. Word similarity is obtained by using positional accuracy that reflects the frequency information along to character's alignment information. This paper also discusses various improving techniques of selection of disparate words. The methods include different loss values, phone accuracy based on confusion information, weights of candidates by ranking order and partial comparisons. Through experiments, I found that the proposed methods are effective for removing heterogeneous words without loss of performance.

간헐적 전광(癲狂)을 동반한 세균성 뇌막염후유증 1례(例)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n the one case of sequelae of pneumococal meningoencephalitis with intermittent confusion)

  • 원철환;조규선;이원철;이동원;김지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15-519
    • /
    • 2000
  • Developing of antibiotic, bacterial meningitis is one of the disease of high mortality. Especially in case of gram negative, pneumococal meningitis, they have high mortality and neurological disorders after treatment. Main symptoms of bacterial meningitis are fever, headache, vomit, neck stiffness and coma etc. In oriental medicine, acute feverish infectious diseases have been treated as wenbing(溫病). We can divide wenbing into 8 kinds. Bacterial meningitis is included as Chunwen(春溫), fengwen(風溫) in the sight of similarity on the symptoms and falling ill. Comparing with CVA, we have too rare cases of treating bacterial meningitis with oriental medicine. A case of sequelae of bacterial meningitis patient diagnosed as Chunon, pungon showed prominent improvement by herb med and acupuncture treatment etc.

  • PDF

광고 모델 관련 광고 노이즈가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 Noises Caused by AD Model Selection on Brand Awareness and Brand Attitudes)

  • 정재학;이상미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89-114
    • /
    • 2008
  • 광고를 제작, 집행하는 과정에서 기업은 때로 본의 아니게 소비자에게 혼동을 야기 시켜 해당 제품이 무엇인지 잘 못 인지시키거나 제품 이미지를 잘 못 이해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광고를 제작, 집행하는 과정에서 소비자가 특정 광고를 인지하고 이해하는 데 혼동을 일으키는 모든 제반 요소를 노이즈라고 정의하고 이 요인이 실재 존재하는 지, 또 광고 효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능한 여러 형태의 광고 노이즈 현상 중 특히 한 모델이 동일 시점에서 여러 제품의 광고에 중복 출연함으로 인해 특정 광고에 대한 소비자 혼란을 야기시키는 광고 중복 출연에 따른 노이즈 현상과 한 제품의 광고에서 기용한 현재 광고모델이 과거 광고 모델과 다른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으로 인해 해당 광고에 대한 소비자 혼란을 야기 시키는 모델 교체에 따른 광고 노이즈 현상을 연구 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산업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는 모델의 광고 중복 출연과 동일 제품에 대한 광고모델을 교체하는 것이 소비자 혼란을 일으킬 수 있고 소비자 혼란은 결국, 광고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더불어 여섯 가지 조절 변수를 찾아내어 광고 노이즈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어느 경우에 더욱 커지거나 또는 감소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광고 중복 출연에 따른 노이즈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 결과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동시에 여러 광고에 출연하는 모델을 자사 브랜드광고에 기용하는 것은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태도를 향상하는 데 모두 부정적인 역할을 한다. 둘째, 하지만, 광고 중복도가 높은 모델을 이용해야 한다면 특히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제품 이미지와 모델 이미지와의 적합성 정도가 높은 광고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광고 중복도가 높은 모델을 이용할 경우, 자사 제품 광고에서 해당 모델이 유지해야 할 이미지가 해당 모델이 중복 출연한 광고 속에서 유지하는 이미지와 달리 하는 것이 자사 제품 인지도 향상에 도움이 되나 중요한 것은 자사 제품 태도 향상에는 효과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넷째, 자사 모델이 중복 출연한 광고의 제품과 자사 제품이 유사할수록 모델의 광고 중복도는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태도에 모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또한, 모델 교체로 인한 소비자 혼란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 결과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 제품의 광고에 여러 모델을 기용할수록 브랜드 인지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브랜드 태도에는 오히려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기존 광고 모델보다 현재 광고모델의 광고 적합성이 높으면 제품 광고의 모델 중복도가 브랜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약화되지만 브랜드 태도에 모델 중복도가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는 못했다. 셋째, 기존 모델과 현재 모델과의 이미지가 유사하면 모델 중복이 브랜드 인지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브랜드 태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기존 광고와 현재 광고의 컨셉이 유사할 수록 제품 광고의 모델 중복도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이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살펴본 두 가지 광고 노이즈 현상, 즉 동일 모델의 광고 중복출연이 모델 교체보다 광고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으며, 광고 노이즈 현상은 브랜드 태도보다는 브랜드 인지도 형성에 더 뚜렷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저고리 마름질 꼴과 십승지의 기호학적 유사성 연구 (A Study on the Semiological Similarity between Sipseungji and the Cutting Shape of Korean $J{\check{o}}gori$)

  • 정옥임
    • 복식
    • /
    • 제58권9호
    • /
    • pp.38-50
    • /
    • 2008
  • In the late Joseon period, as Korea suffered from two battles such as Byeongjahoran and Imjinweran, the people wanted to find comfortable shelters, which caused Bigi to prevail. That is, as an alternative to find a shelter which is physically prosperous and mentally comfortable and to get out of turbulent days, the people desired the utopian world of Sipseungji. The Sipseungji of 'Namsako' was deeply rooted in the society, which had a great impact on it. However, it is very surprising to find that the Sipseungji is metaphored in the process to make the shapes of Korean $J{\check{o}}gori$ which are a represented product of our culture. In other words, the ideal world we desired is a clothe itself which wraps human bodies, not any mysterious place that can not be found. They wanted to deliver the assumption that the ideal world is in humans themselves through clothes. Though a shaman sign of Sip (meaning ten), the Sipseungjiseol of Namsako became rooted in the living of the common people, which caused social confusion, but the Sipseungji suggests that as humans are the very lucky place, the utopian world is in themselves. Therefor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shapes of Korean $J{\check{o}}gori$ have instructional values that can not be found in those of other foreign cultures.

삼각형의 결정과 합동의 분석 (Analysis on Triangle Determination and Congruence)

  • 김수현;최윤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41-351
    • /
    • 2007
  • 중학수학 7-나에서 삼각형의 결정조건은 '세 변이 주어질 때', '두 변과 끼인 각이 주어질 때', '한 변과 그 양끝 각이 주어질 때'로 기술하고 있다. 합동 닮음조건도 세 조건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두 선분과 긴 선분의 대각이 주어질 때'도 삼각형의 결정조건에, 대응하는 두 변과 긴 변의 대각이 같을 때'는 합동조건과 닮음조건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히며, 최소필수성은 삼각형의 결정조건에 있다고 보기 어렵고 합동조건에만 존재한다는 것, 유클리드 기하를 통한 삼각형 결정 합동조건의 명제탐구 및 결정 합동조건을 동일시하는 개념 혼동에 의한 문제점, 삼각형 결정을 위한 작도학습에 있어서 각과 길이의 수치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에 관하여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미국과 일본 등의 교과서에서는 다루지 않으며, 유클리드 기하에도 없는 결정조건의 학습 효과에 대한 논의와 중학 수학 7-나의 삼각형의 결정 합동부분에 있어 학생들의 탐구력과 창의성 향상을 위한 학습 방향을 제안하는 바이다.

  • PDF

고립 단어 인식 결과의 비유사 후보 단어 제외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 연구 (Various Approaches to Improve Exclusion Performance of Non-similar Candidates from N-best Recognition Results on Isolated Word Recognition)

  • 윤영선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2권4호
    • /
    • pp.153-161
    • /
    • 2010
  • Many isolated word recognition systems may generate non-similar words for recognition candidates because they use only acoustic information. The previous study [1,2] investigated several techniques which can exclude non-similar words from N-best candidate words by applying Levenstein distance measure. This paper discusses the various improving techniques of removing non-similar recognition results. The mentioned methods include comparison penalties or weights, phone accuracy based on confusion information, weights candidates by ranking order and partial comparisons.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it is found that some proposed method keeps more accurate recognition results than the previous method's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