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ilarity coefficient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31초

정량적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족삼리와 6가지 모델의 침감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Needle Sensations in $ST_{36}$ and 6 Models with Quantifying Measurement System)

  • 한예지;조수정;손영남;이수윤;김갑성;이승덕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0권5호
    • /
    • pp.87-94
    • /
    • 2013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make the foundation of the development of acupuncture tissue model as comparing the needle sensation of six kinds of tissue models and Zusanli ($ST_{36}$) with the needle force measurement system. Methods : When practitioners did twisting-rotating acupuncture needle manipulation after inserting the needle into six kinds of tissue models, they quantified the similarity sense to the sensation of Zusanli ($ST_{36}$) with the NRS (Numeric Rating scale). As needle force measurement system did twisting-rotating Acupuncture needle manipulation after inserting needle into Zusanli ($ST_{36}$) of human and six kinds of tissue models, it can calculate the coefficient of viscosity by measuring the torsion friction. We compare the NRS of practitioners' needle sensation to the coefficient of viscosity of needle force measurement systems. Result : As practitioners' NRS assessment to quantify needle sensation, apple and cucumber showed 70% similarity to Zusanli ($ST_{36}$). As needle force measurement system's coefficient of viscosity, apple and cucumber's coefficient of viscosity were similar to Zusanli ($ST_{36}$)'s. Conclusions :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practitioners' needle sensation of Zusanli ($ST_{36}$) and six kinds of tissue models with needle force measurement system that can quantify the needle sensation. As the result, we concluded that practitioners' needle sensation is similar to measured needle sensation. It seems that the acupuncture practice model implementing the needle sensation to specific acupuncture points can be built based on the system in this study.

Aero-elastic wind tunnel test of a high lighting pole

  • Luo, Yaozhi;Wang, Yucheng;Xie, Jiming;Yang, Chao;Zheng, Yanfeng
    • Wind and Structures
    • /
    • 제25권1호
    • /
    • pp.1-24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a 1:25 multi-freedom aero-elastic model for a high lighting pole at the Zhoushan stadium. To validate the similarity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a free vibration test was performed before the formal test. Beat phenomenon was found and eliminated by synthesis of vibration in the X and Y directions, and the damping ratio of the model was identified by the free decay metho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were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e real structure; the similarity results were favorable. From the test results, the major along-wind dynamic response was the first vibration component. The along-wind wind vibr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by the China code and Eurocode. When the peak factor equaled 3.5, the coefficient calculated by the China code was close to the experimental result while Eurocode had a slight overestimation of the coefficient. The wind vibration coefficient during typhoon flow was analyzed, and a magnification factor was suggested in typhoon-prone areas. By analyzing the power spectrum of the dynamic cross-wind base shear force, it was found that a second-order vortex-excited resonance existed. The cross-wind response in the test was smaller than Eurocode estimation. The aerodynamic damping ratio was calculated by random decrement techniqu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aerodynamic damping ratios were mostly positive at the design wind speed, which means that the wind-induced galloping phenomenon is predicted not to occur at design wind speeds.

개인화 추천 시스템의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사용자 유사도 가중치에 대한 비교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User Similarity Weight for Improving Prediction Accuracy in Personalized Recommender System)

  • 정경용;이정현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2권6호
    • /
    • pp.63-74
    • /
    • 2005
  • 전자상거래에서 최근 대부분의 개인화된 추천 시스템들은 협력적 필터링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아이템을 예측하고 추천하기 위하여 비슷한 선호도를 가지는 사용자들간의 유사도 가중치를 계산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피어슨 상관계수를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두 사용자가 공통으로 선호도를 평가한 아이템들이 있을 때만 상관관계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예측의 정확도는 떨어진다. 사용자 유사도 가중치는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아이템을 예측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개인화된 추천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검색 분야의 벡터 유사도, 엔트로피, 역 사용자 빈도, 기본 선호도 평가를 적용하여 유사도 가중치 공식에 대해서 살펴보고, 추천 시스템의 예측 정확도 향상에 대해서도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실험 결과는 엔트로피를 이용한 유사도 가중치에 기본 선호도 평가를 결합하는 방법이 가장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OPAC에서 자동분류 열람을 위한 계층 클러스터링 연구 (Hierarchic Document Clustering in OPAC)

  • 노정순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3-117
    • /
    • 2004
  • 본 연구는 OPAC에서 계층 클러스터링을 응용하여 소장자료를 계층구조로 분류하여 열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최적의 계층 클러스터링 모형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정보학 분야 단행본과 학위논문으로 실험집단을 구축하여 다양한 색인기법(서명단어 자동색인과 통제어 통합색인)과 용어가중치 기법(절대빈도와 이진빈도), 유사도 계수(다이스, 자카드, 피어슨, 코싸인, 제곱 유클리드), 클러스터링 기법(집단간 평균연결, 집단내 평균연결, 완전연결)을 변수로 실험하였다. 연구결과 집단간 평균연결법과 제곱 유클리드 유사도를 제외하고 나머지 유사도 계수와 클러스터링 기법은 비교적 우수한 클러스터를 생성하였으나, 통제어 통합색인을 이진빈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완전연결법과 집단간 평균연결법으로 클러스터링 하였을 때 가장 좋은 클러스터가 생성되었다. 그러나 자카드 유사도 계수를 사용한 집단간 평균연결법이 십진구조와 더 유사하였다.

RAPD를 이용한 산느타리(Pleurotus pulmonarius) 수집균주 유연관계 분석 (Genetic relationship analysis of Pleurotus pulmonarius strains using RAPD)

  • 이재홍;이남길;문윤기;정태성;권순배;김재록;김진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0
    • /
    • 2015
  • RAPD를 이용한 유연관계 분석에서는 유사도 0.37을 기준으로 2번과 8번 계통을 제외하고 21개 품종은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그룹 1에는 1, 4, 5, 6, 7, 13번 계통이 분포하고, 그룹 2에는 나머지가 분포하였다.

忠武灣 海水의 腐生細菌 分布와 相關係數 分析에 關하여 (Distribution of saprophytic bacteria and correlation-coefficient analysis in the seawater of Chungmu bay, Korea.)

  • 홍순우;하영칠;안태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2-69
    • /
    • 1985
  • 忠武灣에서 分離한 108個의 菌株에 대하여 고전적 분류방법과 수리적 분류방법을 비교하고, 균주간의 相關關係數를 구하여 유사성을 確認하였다. 수리적 분류에서는 고전적 분류와는 달리 Gram(+)와 Gram(-) 菌株가 전체 cluster에 分散되어있고, coccus와 rod가 분리되었으며, genus간의 分類는 수리적 방법과 고전적 방법사이에 連關性이 크게 나타났다. 下層에서 採取된 균주는 다른 層에 비해 균주간의 분류학적 유사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灣 內部 (Group I)의 菌株와 外部 (Group II)의 菌株間의 거리는 각 Group內의 菌株間의 연관성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干潮時 海水에서 분리된 균주와 滿潮時 분리된 균주간에는 연관성이 적음이 확인 되었다.

  • PDF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연관용어 선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electing Association Term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 김수연;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7-165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전체 문헌집단으로부터 초기 질의어에 대한 연관용어 선정 시 사용할 수 있는 최적의 기법을 찾기 위해 연관규칙 마이닝과 용어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연관용어 선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관규칙 마이닝 기법에서는 Apriori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용어 클러스터링 기법에서는 연관성 척도로 GSS 계수, 자카드계수, 코사인계수, 소칼 & 스니스 5, 상호정보량을사용하였다. 성능평가 척도로는 연관용어 정확률과 연관용어 일치율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 Apriori 알고리즘과 GSS 계수가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냈다.

한국산 개미의 분표에 관한 연구(8) -전라남도 도서지역(10개 도)의 개미상-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Ants(Formicidae) in Korea(8) -Ant Fauna in 10 Islands, Chollanam-do-)

  • 김창효;최병문;박종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5-359
    • /
    • 1992
  • 전라남도 도라지역에 분포하는 개미의 종류와 그의 종조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1986년, 1989년, 1990년, 1991년의 4년간 10개 도서의 31개 지역에서 740 colony를 채집하여 동정 한 결과 4아과 30속 54종이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 대흑산도 예리에서 채집한 쌍털비늘개미(신칭)와 소안도 맹선리에서 채집된 조개무늬비늘개미(신청)는 한국산 미기록종인 것으로 사료된다. 10개 도라지역에 분포하는 개미의 종조성이 밝혀졌으며 Nomura-Simpson's Coefficient(NSC) 공식에 의한 종류사도를 분석한 바 전라남도 도라지역의 개미상은 연속적이였다.

  • PDF

DEXA에서 딥러닝 기반의 척골 및 요골 자동 분할 모델 (Automated Ulna and Radius Segmentation model based on Deep Learning on DEXA)

  • 김영재;박성진;김경래;김광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407-141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in a model for the ulna and radius bone segmentation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d to verify the segmentation model. The data consisted of 840 training data, 210 tuning data, and 200 verification data. The learning model for the ulna and radius bone bwas based on U-Net (19 convolutional and 8 maximum pooling) and trained with 8 batch sizes, 0.0001 learning rate, and 200 epochs. As a result, the average sensitivity of the training data was 0.998, the specificity was 0.972, the accuracy was 0.979, and the Dice's similarity coefficient was 0.968. In the validation data, the average sensitivity was 0.961, specificity was 0.978, accuracy was 0.972, and Dice's similarity coefficient was 0.961. The performance of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ed models for the segmentation was good for ulna and radius bone.

RAPD Polymorphism and Genetic Distance among Phenotypic Variants of Tamarindus indica

  • Mayavel, A;Vikashini, B;Bhuvanam, S;Shanthi, A;Kamalakannan, R;Kim, Ki-Won;Kang, Kyu-Suk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4호
    • /
    • pp.421-428
    • /
    • 2020
  • Tamarind (Tamarindus indica L.) is one of the multipurpose tree species distributed in the tropical and sub-tropical climates. It is an important fruit yielding tree that supports the livelihood and has high social and cultural values for rural communities. The vegetative, reproductiv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raits of tamarind vary widely. Characterization of phenotypic and genetic structure is essential for the selection of suitable accessions for sustainable cultivation and conservation. This study aimedto examine the genetic relationship among the collected accessions of sweet, red, and sour tamarind by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primers. Nine accessions were collected from germplasm gene banks and subjected to marker analysis. Fifteen highly polymorphic primers generated a total of 169 fragments, out of which 138 bands were polymorphic. The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of RAPD markers varied from 0.10 to 0.44, and the Jaccard's similarity coefficient values ranged from 0.37 to 0.70. The genetic clustering showed a sizable genetic variation in the tamarind accessions at the molecular level. The molecular and biochemical variations in the selected accessions are very important for developing varieties with high sugar, anthocyanin, and acidity traits in the ongoing tamarind improvement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