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icone

검색결과 1,451건 처리시간 0.041초

P-형 실리콘에 형성된 정렬된 매크로 공극 (Ordered Macropores Prepared in p-Type Silicon)

  • 김재현;김강필;류홍근;서홍석;이정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9
    • /
    • pp.241-241
    • /
    • 2008
  • Macrofore formation in silicon and other semiconductors using electrochemical etching processes has been, in the last years, a subject of great attention of both theory and practice. Its first reason of concern is new areas of macropore silicone applications arising from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processing (MEMS), membrane techniques, solar cells, sensors, photonic crystals, and new technologies like a silicon-on-nothing (SON) technology. Its formation mechanism with a rich variety of controllable microstructures and their many potential applications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recently. Porous silicon is formed by anodic etching of crystalline silicon in hydrofluoric acid. During the etching process holes are required to enable the dissolution of the silicon anode. For p-type silicon, holes are the majority charge carriers, therefore porous silicon can be formed under the action of a positive bias on the silicon anode. For n-type silicon, holes to dissolve silicon is supplied by illuminating n-type silicon with above-band-gap light which allows sufficient generation of holes. To make a desired three-dimensional nano- or micro-structures, pre-structuring the masked surface in KOH solution to form a periodic array of etch pits before electrochemical etching. Due to enhanced electric field, the holes are efficiently collected at the pore tips for etching. The depletion of holes in the space charge region prevents silicon dissolution at the sidewalls, enabling anisotropic etching for the trenches. This is correct theoretical explanation for n-type Si etching. However, there are a few experimental repors in p-type silicon, while a number of theoretical models have been worked out to explain experimental dependence observed. To perform ordered macrofore formaion for p-type silicon, various kinds of mask patterns to make initial KOH etch pits were us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s played by the kinds of etching solution in the formation of pillar arrays, we have undertaken a systematic study of the solvent effects in mixtures of HF, N-dimethylformamide (DMF), iso-propanol, and mixtures of HF with water on the macrofore structure formation on monocrystalline p-type silicon with a resistivity varying between 10 ~ 0.01 $\Omega$ cm. The etching solution including the iso-propanol produced a best three dimensional pillar structure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discussed on the base of Lehmann's comprehensive model based on SCR width.

  • PDF

실리콘 잉곳 절삭시 발생하는 폐 PEG 색도 개선에 관한 연구 (Chromaticity Improvement of PEG Waste from Wire Sawing of Silicon Ingot)

  • 조윤경;정경열;심민석;이기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2호
    • /
    • pp.310-316
    • /
    • 2012
  • 활성탄소 분말과 탄소필터를 이용하여 실리콘 폐슬러리에서 회수한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폐액의 색도 개선연구를 수행하였다. 활성탄소의 사용량, 흡착온도 및 흡착시간 변화에 따른 색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탄소필터를 사용할 경우 충진된 활성탄소의 재생에 따른 성능 저하 여부를 검정하였다. 활성탄소의 표면적은 색도 개선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흡착제 함량에 따른 색도 변화 결과로부터 흡착제의 최적 사용량은 100~150 mg-C/g-PEG이였다. 흡착제 양을 고정하고 흡착 온도를 상온에서 $100^{\circ}C$까지 변화시키면서 PEG의 APHA(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색 값을 관찰한 결과 폐 PEG의 색도 개선을 위해서는 $40{\sim}50^{\circ}C$ 온도에서 운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활성탄소필터의 운전 조건별 APHA 특성을 관찰하였고 APHA=53인 폐 PEG를 $APHA{\leq}10$로 정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흡착에 사용된 활성탄소필터는 증류수를 순환시켜 세척함으로써 큰 성능 저하 없이 효과적으로 재생됨을 확인하였다.

풍력발전기용 밀폐형 변압기의 식물성 절연유에 대한 열적특성 연구 (Thermal Analysis of Vegetable Insulation Oil for Hermetically Sealed Wind Turbine Transformer)

  • 이성원;이준엽;김준수;우재희;김동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1호
    • /
    • pp.97-102
    • /
    • 2012
  • 변압기 외부에 방열핀을 설치한 밀폐형 오일변압기는 절연유의 온도상승으로 인해 부피가 팽창할 경우 방열핀의 내부 부피가 확장되어 압력상승을 방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도가 높아 환경친화적 이고, 인화점 및 발화점이 높아 화재의 위험도가 낮은 식물성 절연유를 이용하여 당사 풍력발전기에 적용할 밀폐형 오일변압기를 개발하였다. 열 유동 전산수치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식물성 절연유 냉각성능을 광유 및 실리콘유와 비교 분석 하였으며, 밀폐형 오일변압기의 개발을 위하여 변압기 중신부의 열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절연유의 온도변화에 따른 내부 압력변화에 대응이 가능한 팽창형 방열핀을 개발하였다. 추가로 온도상승시험을 통하여 수치해석 결과와 시험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으며, 식물성 절연유를 사용한 밀폐형 오일 변압기의 설계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자외선-B에의한 Hairless mouse의 보호기능과 표면구조의 변화 영향 (UVB-INDUCED CHANGES OF BARRIERFUNCTION AND MORPHOLOGY OF THE HAIRLESS MOUSE SKIN)

  • 김진준;박문억;강세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1-98
    • /
    • 1992
  • Hairless mouse에 자외선-B를 일회 조사한 후 시간에 따른 피부보호기능과 표면구조변화의 정도를 TEWL과 주름살밀도로 측정하였다. 자외선-B의 조사 량은 0.5, 1과 3 MED 였으며, 측정 및 관찰은 조사전과 조사 후 1, 3, 5, 7 및 14일에 수행하였다. TEWL은 Evaporimiter로, 주름살밀도는 silicone replica와 image-analyz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조사전과 0.5MED 그룹들의 TEWL값은 변화가 없었으나, 1과 3MED그룹들의 TEWL값은 현저한 변화를 보여 3일째에 극대 값을 보였고,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14일째에는 거의 정상 값에 도달하였다. 반면 주름살밀도는 자외선-B의 조사량에 비례하는 경향을 보여 모든 조사 그룹에서 3-5일째까지 감소한 후 서서히 증가하였다. 결과로부터, 1) 자외선 조사 후 시간에 따른 TEWL과 주름살밀도의 최대, 소 값은 3일째에 나타났으며, 2) 주름살밀도의 회복정도가 조사량에 상관없이 시간에 따라 일정한 기울기를 보였으며, 3) 주름살밀도측정만이 Sub-erythemal 손상의 정도차를 유의하게 보여주었다.

  • PDF

도재 소성과정이 Ni-Cr 금속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rcelain Firing Process on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Ni-Cr Alloy Metal-Ceramic Crown)

  • 김기백;김석환;김재홍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05-410
    • /
    • 2014
  • 본 연구는 심미보철 치료에서 사용되는 금속도재관 제작시 Ni-Cr alloy 하부 구조물에 상부도재를 축성하고 소성하는 과정이 완성된 보철물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임상적 허용을 재확인하기 위함이다. 1차로 lost wax technique으로 제작된 NCC (Ni-Cr alloy core)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였고, 2차로 NCC에 상부도재 축성, 소성하여 금속도재관을 최종 완성하여 2차로 측정한 뒤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금속도재관 제작 시 Ni-Cr alloy로 제작된 코어 위에 상부도재를 축성하고 소성하는 과정이 금속 도재관의 적합도를 악화시키는 결과를 보였으며, 부위 별 구분 없이 두 그룹에서 측정된 모든 값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NCC 그룹에서는 $67.1{\pm}23.3{\mu}m$, NMC 그룹에서는 $74.4{\pm}21.9{\mu}m$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Ni-Cr alloy로 금속도재관 제작 시 상부도재를 축성하는 과정에서 적합도를 악화시킨다는 결론을 얻었으나, 본 실험에서 측정된 결과 값은 임상적 허용 수치($120{\mu}m$)를 넘지 않아 적합도의 기준으로 평가하였을 때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 SHEAR BOND STRENGTH OF RESIN CEMENT BONDED TO HUMAN UNCUT ENAMEL, CUT ENAMEL, AND DENTIN IN VITRO

  • Lee Jong-Yeop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19-324
    • /
    • 2003
  • Statement of problem. Adhesives in dentistry playa major role in the success of restorative treatments. In the treatment of all ceramic restoration it is needed to find the adequate bond strength between enamel and denti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hear bond strength of resin cement bonded to extracted human uncut enamel, cut enamel, and dentin in vitro. Material and methods. Ten freshly extracted anterior teeth without any previous restorative treatments were chosen. The extracted teeth were embedded in PMMA cold acrylic in the shape of a cylinder, 25 mm in diameter by 25 mm in height. The bonding system used was as follow: Uni-Etch (32% phosphoric acid), One-Step adhesive, Duolink resin cement. The specimens were acid etched and rinsed with water. Two layers of One-Step adhesive were coated with a disposable brush on the uncut enamel. VIP curing light at $500mV/cm^2$ was used to cure the adhesive. For cut enamel shear bond test, the specimen used for uncut enamel was further reduced approximately $0.3{\sim}0.5mm$ using a laminate preparation diamond bur (0.3 mm in depth). The specimens were subsequently treated with 320-grit SiC paper followed by 600-grit SiC paper and cleaned with distilled water. The bonding procedure on the cut enamel was same as uncut enamel bonding procedure. For dentin bonding test, the specimen used for cut enamel was further reduced approximately $0.5mm{\sim}1.0mm$ using a laminate preparation diamond bur (0.5 mm in depth of diamond cutting). The amount of reduction was evaluated with the silicone mold. The specimens were subsequently treated with 320-grit SiC paper followed by 600-grit silicon carbon paper and cleaned in distilled water. The bonding procedure on the dentin was same as uncut enamel bonding procedure. All samples were mounted and secured on the Ultradent shear bond test sample holder, and Ultradent restricted shear bond testing device was used with Universal Instron machine until fracture. Analysis of variance (ANOVA) test was performed comparing the result at P<0.05. Multiple comparison (Tukey) was used to compare each groups. Result. The result showed that the mean value in shear bond strength of resin cement bonded to uncut enamel, cut enamel and dentin were 27.04 Mpa, 30.25 Mpa and 26.39 Mpa with respect.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mean value of the shear bond strength of cut enamel was higher than those of uncut enamel or dentin. However there existed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ree different human dentition substrates due to increased adhesive characteristics.

미백 후 유예 기간에 따른 상아질과 레진의 결합 강도의 변화 (Effect of post-bleaching time intervals on resin in dentin bonding strength)

  • 송신재;김선종;노영선;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4-181
    • /
    • 2009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35%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전문가 미백 술식에서 레진 접착제의 접착력 회복을 위한 유예 기간을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3M사의 Single Bond와 Z350을 이용하여 미백 직 후, 1일후, 2일후, 일주일 후의 시간 차이를 두고 상아질에 접착된 복합 레진의 전단 결합 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미백 처리 직 후의 상아질 전단 결합 강도는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P<.05), 미백 처리 전에 비해 약 78%의 결합력 감소를 보였다. 미백 처리 1일 후의 상아질 결합 강도는 미백 직 후 감소된 결합력의 51%에 이르는 회복을 보였으며, 2일 경과한 시편에서는 감소된 결합력의 63%가 회복되었다. 두 군은 미백 직 후에 비해 유의하게 큰 회복력을 보였으나, 두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미백 처리 후 결합력의 회복은 초기 24시간 이내에 급격히 일어나며 그 이후에는 서서히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미백 일주일 후의 시편은 미백 처리 전에 비해97%에 이르는 결합력을 보이며 두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결론: 그러므로35% 과산화수소를 적용하는 전문가 미백 술식에서는 1주일간의 유예기간을 두고 복합 레진 접착술을 시행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회신경 문합과 후윤상피열근 절제가 발성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ECT OF RLN ANASTOMOSIS REMOVAL ON PHONATION)

  • 김영모;이영구;이정식;이준열;김광문;김기령;홍원표;최홍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1-12
    • /
    • 1991
  • 편측 성대마비의 음성개선을 위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치료방법은 teflon 또는 silicone 주입술, 외과적 성대 내전술, 갑상연골 성형술, 신경재식술, 등이 있으며, 근래까지는 Teflon 또는 Gelform 주입술이 제일 효과적인 방법이라 알려져 있으나, 이는 음의 높낮이 조절능력의 한계가 있고, 신경재식술의 결과 역시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저자는 발성기능의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하여, 사람의 후두와 비교적 유사한 특성을 가진 개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반회신경을 절단하여 편측 성대 마비를 유발한 뒤, 동측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후 절단된 신경을 문합하여, 성대의 외전근 작용의 소실과, 발성시에 주로 작용하는 내전근만의 작용을 유도하여,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전운동의 향상을 기대하였다. 본 실험에 앞서, 임의적으로 신경을 자극시킬 수 있는 신경자극기와, 주위조직으로부터 신경만을 분리하여 자극할 수 있는 전극을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또한 성대의 발성음을 임의대로 유발시킬 수 있는 생체 내 후두발성 모형(in vivo laryngeal phonation model)을 Moore(1987, 1988)등이 발표한 모형을 토대로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은 13마리의 개를, 반회신경 절단군(3 마리), 반회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3 마리), 후윤상피열근 절제군(3 마리), 반회신경 문합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4 마리)등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3 개월 후, 현수후두경, 후두 내시경, videolaryngoscopy, 신경자극 검사 등으로 성대의 내전운동 및 위치 변화의 관찰, 발성음의 음향분석 및 갑상피열근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반회신경 절단군과 반회 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은,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움직임이나 각도의 변화가 없었으며, 음향분석 결과 발성음이 아닌 잡음만이 포착되었다. 즉, 절단된 신경의 문합 없이 후윤상피열근 절제 만으로는 음성개선은 기대할 수 없었다. 2.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에서는 수술 후 3 개월에 정상적인 성대의 내전운동이 관찰되었으며, 음향분석상 기본주파수 동요율 및 발성음의 강도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즉, 반회신경이 절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윤상피 열근 만을 절제하면, 발성음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3. 반회신경을 절단후 문합하고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한군 에서는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보였고, 음향분석상 수술직후에는 잡음만이 포착되었으나, 3 개월 후에는 잡음이 아닌 발성음을 들을 수 있었으며, 이 발성음의 기본주파수 및 강도는 수술전보다 감소되어 있었으나, 기본주파수 동요율은 증가되어 있었다. 즉 이 술식으로 인한 뚜렷한 발성음의 향상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편측 신경 절단으로 인한 성대마비시, 절단된 신경을 봉합하고 성대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하면,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향운동의 향상으로, 음성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으며, 이 방법이 편측 성대마비 환자의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치료방법의 하나로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고분자 도포를 이용한 실리콘-탄소의 합성 및 Si-C|Li Cell의 전기화학적 특성 (Synthesis of Silicon-Carbon by Polymer Coating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Si-C|Li Cell)

  • 도칠훈;정기영;진봉수;안계혁;민병철;최임구;박철완;이경직;문성인;윤문수
    • 전기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07-112
    • /
    • 2006
  • 실리콘 분말에 polyaniline(PAn)을 중합하고 탄화하여 Si-C재료를 개발하고 물리적 특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평균입도는 PAn의 중합으로 증가하였으며 탄화로 일부 감소하였다. XRD분석으로 결정질의 실리콘과 비결정성의 탄소 재료가 공존함을 확인 하였다. Si-PAn 전구체로 부터 개발한 Si-C 재료를 이용한 Si-C|Li cell은 Si|Li cell에 비하여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탄소 전구체인 PAn의 HCl 탈도핑에 의해 전기화학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 전해액 중 FEC 첨가한 경우 초기 방전 용량이 증가하였다. GISOC시험으로 구한 가역 비용량 범위는 Si-C(Si:PAn=50:50wt. ratio)|Li 전지의 경우 약 414mAh/g를 나타내었으며, 가역 범위에 대한 초기 충방전의 intercalation 효율(IIE)는 75.7%였으며, 표면 비가역 비용량은 35.4mAh/g을 나타내었다.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물성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와 노화의 영향 (Effects of Isocyanate Index and Aging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urethane Foams)

  • 권현;김상범;김연철
    • 폴리머
    • /
    • 제29권5호
    • /
    • pp.457-462
    • /
    • 2005
  • Polymeric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PMDI), OH 값이 480인 혼합 폴리올, 실리콘 계면활성제, 세 종류의 촉매 그리고 발포제로 불화탄화수소계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PUF)를 제조하였다. 촉매로는 balance 촉매(PC-8), 젤 화촉매(33LV) 그리고 삼량화 촉매(TMR-2)가 이용되었으며, 이소시아네이트(NCO) 인덱스(index)와 노화시간에 따른 PUF의 물성에 대한 촉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PC-8과 33LV를 이용한 PUF의 압축강도는 NCO 인덱스에 따라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발포셀의 크기는 약간 증가하였다. 삼량화 촉매의 경우에, PUF의 압축강도는 NCO인덱스에 따라 8.75에서 $10.5 kg_f/cm^2$으로 증가하였고 발포셀의 크기는 감소하였다. 33LV를 이용한 PUF의 압축강도는 노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9.21에서 $10.15 kg_f/cm^2$으로 증가하였으나 삼량화 촉매인 TMR-2를 이용한 경우에는 거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미반응 MDI에 의한 추가적인 가교반응에 의해 설명할 수 있고 FTIR의 결과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