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gnalized intersections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2초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 이용자 안전도 모형 개발 - 서울시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ustomer Safety Model of Unsignalized Intersections on the Community Road)

  • 이형록;장일준;이수범;김장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D호
    • /
    • pp.205-213
    • /
    • 2010
  • 서울시의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는 2008년 총 41,702건의 교통사고 가운데 3,753건(9%)로 교통사고 발생율은 높지 않은 실정이나, 교통 기초부분의 불합리하고 미비한 제도 및 시설 운영으로 인하여 사고의 잠재성이 더욱 높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경우는 신호교차로에 비해 안전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며, 교통사고의 분석 및 영향요인 모형에 관한 국내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비신호교차로 운영의 통행우선권 개념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연구와 안전대책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개별면접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안전도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안전도 모형을 개발하고 법제도, 도로시설물, 인적요인 중 운전자 안전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운전자가 느끼는 안전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통행방법 및 법제도를 개선한다면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안전도를 높여줄 수 있다.

퍼지기반 신경망모형을 이용한 대기행렬 검지 (Queue Detection using Fuzzy-Based Neural Network Model)

  • KIM, Daehyon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3-70
    • /
    • 2003
  • 실시간 교차로의 대기행렬길이 검지는 지능형교통체계의 중요부분인 교통관제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교통정보수집을 위한 영상기반 기술은 전통적인 루프검지기 또는 기타 타 검지기에 비하여 내재된 여러 이점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현장 적용시 흔히 발생하는 영상에서의 잡음 및 주변 물체로부터 투영되는 음영 등에 의해 나타나는 차량의 오검지율을 줄이고 수집되는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알고리즘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처리를 이용한 대기행렬길이 검지를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그리고 패턴분석에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특히 시스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퍼지이론이 접목된 퍼지 뉴런모델인 Fuzzy ARTMAP을 모형에 도입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기행렬 측정 방법은 매우 우수한 검지 능력을 보였으며, 대기행렬 검지뿐만 아니라 신뢰성 높은 차량검지 및 차종분류를 위해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전·사후 비교분석을 통한 회전교차로 도입 효과분석 (An Analysis of Roundabout Application Effects Based on Before and After Field Studies)

  • 이동민;유정호;김동훈;이석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11-119
    • /
    • 2013
  • PURPOSES: Though the situation that the roundabouts are actively constructed, researches on the effect of the roundabouts focus mainly on the analysis of the expected effects of using only traffic simulation on the operation. Considering such problems,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various aspects based on field observation studies. METHODS: This study evaluated and analyzed the effects from the aspects of traffic operation, traffic safety, and traffic behavior by performing field observation studies with six roundabouts with/without signal controls on the pilot project areas for the roundabouts installed in 2010. RESULTS: Through the study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travel time decreases by 14.7% and 2.4% on the signalized intersections and unsignalized intersections, respectively. The average travel speed increases by 9.7 and 5.8km/h on the roundabouts with/without signal lights. Regarding traffic safety, the speed deviation among individual vehicles decreases by approximately 18.4 to 32.7km/h, thus confirming the safety effects. As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conflicts, it might be explained that car crashes and collision with pedestrians decreased by 62.2% and 66.7%. Also the result shows that the lowest point of speed in roundabouts appears near the yield line on the entry area on the roundabouts. When passing through the roundabouts, vehicles enter at a speed of 20-30km/h, which is the design speed of the circulatory lane and drive out the roundabout with a higher speed than the entry speed. CONCLUSIONS: When a roundabout is introduced at the intersections below certain traffic volume there are effects of traffic operation, traffic safety, and traffic behavior.

차량의 도착모형을 이용한 독립교차로 신호최적화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 Signal Optimization Algorithm at Isolated Intersections Using Vehicle Arrival Models)

  • 우용한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41-49
    • /
    • 2001
  • This study developed signal optimization algorithm by analyzing vehicle arrival patterns. The major principle of signal optimization is dissipate all queueing vehicle in 1cycle and assign delay time uniformly for all approaches. For this, this study used optimal green time and surplus green time. Optimal green time calculated by estimated traffic volume from vehicle arrival model. Surplus green time defined as the gap of optimal green time and queue dissipated time. And alternative cycle has minimum surplus green time was selected as the optimal cycle. Finally, total delay and average delay per vehicle can be calculated by using queueing theory.

  • PDF

교차로 방향별 차선공동이용 연구

  • 김동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9-56
    • /
    • 1988
  • Alternate use of lane at a signalized intersection is a quite different control of the operation of an intersection. This control introduces a new stop line and signal before the original stop line. All of the lanes between the two stop lines are used for left turn traffic or through traffic at a time. The purpose of the control is increasing the capacity of a n intersection without widening the approach width. this paper contains a study on the condition of a application, the proper distances between the two stop lines, the reasonable offsets(rear) to guarantee clearing the vehicles of previous phase, the comparison of approach capacity between the existing control and this control. The study results reveals that the offsets(rear) are rather stable showing the range(maximum value minus minimum value) of it's value does not exceed 3.6 seconds according to the field data. The approach capacity will be increased by 27%, 43%, 59%, 84% when the distances between the stop lines are 30.0m respectively. The control might have theoretical limitation to operate in practice. So an experimental application of the control at some suitable intersections prior to expanding it.

  • PDF

신호등 교차로에서의 지체예측에 관한 연구 (A Model for the Estimation of Delay Signalized Intersections)

  • 이철기;이승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1-54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struct a model to estimate the delay that vehicles arriving randomly will be experienced at an isolated singalized intersection. To do this the following objectives are set in this study: (i) An what distance a random arrival pattern occurs after a platoon of vehicles are dis-charged from the stop line; (ii) A model which estimates the average delay per through-vehicle with respect to the de-gree of saturation; and (iii) The relation between the stepped delay and average approach delay per vehicle.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 A random arrival pattern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anes occur 300,400 and 300m downstream from stop line rdspectively. A random arrival pattern on lane group occurs 500m downstream from the stop line ; (ii) A model for the estimation of approach delay has been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up to x=0.7 the delay increases linearly and beyond 0.7 the delay increases rapidly in a form of second order polynomial due to high degree of saturation : and (iii) Approach delay equals approximately 1.21 times of stopped delay.

  • PDF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 경기도 일반국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Forecasting Model for Signalized Intersections - Focusing National Highway in Kyonggi Province -)

  • 오일석;김성수;신치현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2007년도 제57회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15-322
    • /
    • 2007
  • 신호교차로 교통사고는 90년대 이후 도시가 발달하고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교통 혼잡 문제와 함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신호교차로의 교통사고는 인적요인, 차량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데, 교통량의 집중과 도로의 기하구조, 운전자 과실 등이 교통사고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 2003년부터 2006년도까지 실제 경기도의 신호교차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자료를 기초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내가 아닌 지방부 성격을 지닌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지방부 일반국도의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분석에 단순통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사고와 관계가 높은 신호주기, 방향별 접근 교통량, 회전교통량 둥과 같은 도로, 교통, 운영조건들로 변수를 정하여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조건, 교통조건, 운영조건들과 사고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경기도 일반국도의 신호교차로 교통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는 지방부 성격을 지닌 교차로에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PDF

신호교차로에서의 추정지체에 관한 경험적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Estimated Delay Time Delay Time at Signalized Intersections)

  • 이용재;김만경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25-152
    • /
    • 199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fold ; (1)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estimation power of the individual models. such as those of Highway Capacity Nanual (HCM),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 (KHCM), and NationalCooperative Highway Research Program(NCHRP) Report339 ; and (2) to develop an adjusted delay model which can be applied to the signal control system in urban areas. The study is mainly focused on four subjects related to the research purposes, which are as follows ; (1) characteristecs of exsisting delay models ; (2) inherent problems in exsisting delay models : (3) validation of the proposed model by the comparison of observed delay with estimated delay :and (4) a method which can be applied to develop an appropriate delay model for actrual signal control systems by the adjusted fact of the proposed model.

  • PDF

지체와 사고를 고려한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Level of Service of Signalized Intersections Considering both Delay and Accidents)

  • 박제진;박성용;하태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69-178
    • /
    • 2008
  • 서비스수준은 통행속도, 통행시간, 통행자유도, 안락감 그리고 교통안전 등 도로의 운행상태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도로시설별로 효과척도에 따른 서비스수준이 등급화되어 있고, 이를 이용하여 도로시설의 수행능력을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시설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어지면서 신호교차로의 ${\upsilon}/c$ 비와 교통사고율은 기존 연구에서 U 자형의 2차함수 형태로 나타남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교통소통에 의한 서비스수준이 우수하다고 하여 교통사고의 위험 측면에서도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음을 시사해 주고 있는 것이다. 즉, 현재 신호교차로 평가는 도로용량과 관련한 효과척도인 서비스수준 개념에 교통안전은 내포되어 있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교통소통(지체)과 교통안전(사고)을 동시에 고려한 서비스수준을 개발하여 신호교차로에 대한 새로운 평가과정 및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광주광역시 신호교차로 50개 지점을 대상으로 2002${\sim}$2004년에 발생한 교통사고와 교통사고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평균제어지체시간-EPDO 와 평균제어지체시간-사고율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체시간이 클수록 EPDO 와 사고율은 음지수함수 형태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 신호교차로 수행평가 기준인 서비스수준에 교통안전 측면을 포함시켜 새로운 서비스수준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둘째, 교통류에 따른 사고유형별 사고건수가 음이항분포로 추론됨에 따라 교통사고예측모형으로 차대차의 경우 16개, 차대사람의 경우 4개의 음이항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셋째, 지점별 연간지체비용과 연간사고비용을 이용하여 운영비용에 대한 확률밀도함수를 추정한 후, 서비스수준 등급에 대한 백분율을 적용시켜 서비스수준 기준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교통사고예측모형과 새로운 서비스수준을 활용하여 임의의 신호교차로에 대한 평가과정을 분석표로 제시하였다.

신호교차로 보행자 지체모형 개발 (Development of Pedestrian Delay Model at Signalized Intersections)

  • 장현호;윤병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283-294
    • /
    • 2018
  • 정확한 보행자 지체 모형은 보행자 중심의 신호교차로 평가에 있어 핵심 요소이다. 신호화된 보행자 횡단보도에서 녹색시간동안 보행자 횡단 행태는 매우 다양하며, 보행자의 도착 행태는 임의도착과 보행군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정확한 보행자 지체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보행자의 횡단과 도착 행태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도로용량편람(HCM)은 보행자 도착과 횡단 행태를 반영하지 않은 간략한 보행자 지체모형을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보행자 중심적인 신호교차로의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다양한 신호화된 단일 횡단보도 및 신호교차로에 적합한 보행자 지체 모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도착과 횡단 행태를 기반으로 새로운 보행자 지체모형을 제시한다. 제안되는 모형은 신호화된 단일 횡단보도 보행자 지체모형과 신호교차로 보행자 지체모형으로 구성된다. 단일 횡단보도 지체모형은 보행자 녹색시간 동안 보행자 횡단 행태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신호교차로 지체모형은 보행자 횡단과 보행군 도착 행태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수치 모의실험을 통한 평가결과, 제안되는 지체모형은 다양한 보행자 횡단과 도착 행태를 고려하기 때문에 HCM 모형의 과대/과소추정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