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Customer Safety Model of Unsignalized Intersections on the Community Road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 이용자 안전도 모형 개발 - 서울시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를 중심으로 -

  • 이형록 (한국교통연구원 녹색성장실천연구본부) ;
  • 장일준 (경원대학교 도시계획학전공) ;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장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 Received : 2009.12.10
  • Accepted : 2010.03.19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unsignalized intersections in a community road in the city of Seoul have 3,753 traffic accidents(9%) of total 41,702 cases in 2008, not high in the occurrence rate of traffic accidents, but seem to have a quite high potential of accidents due to the unreasonable and insufficient operation of systems and facilities in the part of traffic foundations. In particular, the un-signalized intersections in a community road have an insufficient measure for safety as compared to the crossroads with signals, and there are few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domestic researches on the model of affecting factors. Our country also has no concept of passing priority in operating a crossroad without signals, differently from foreign countries, so the researches and safety measures for improving the safety of a crossroad without signals in a community road are urgent. Therefore, this research has developed a safety model for a crossroad without signals in a community road based on the safety image data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for the users of unsignalized intersections in a community road, and confirmed that legal systems, road facilities, personal factors, etc. have the biggest effect on the safety of driv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clarity of passing methods, establishment of legal systems, etc. have the biggest effect on safety in order to raise the safety of unsignalized intersections in a community road, which drivers desire.

서울시의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는 2008년 총 41,702건의 교통사고 가운데 3,753건(9%)로 교통사고 발생율은 높지 않은 실정이나, 교통 기초부분의 불합리하고 미비한 제도 및 시설 운영으로 인하여 사고의 잠재성이 더욱 높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경우는 신호교차로에 비해 안전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며, 교통사고의 분석 및 영향요인 모형에 관한 국내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비신호교차로 운영의 통행우선권 개념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연구와 안전대책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개별면접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안전도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안전도 모형을 개발하고 법제도, 도로시설물, 인적요인 중 운전자 안전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운전자가 느끼는 안전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통행방법 및 법제도를 개선한다면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안전도를 높여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2. 고동석 외 2인(2000) 수도권 지역 4-지 비신호 교차로에 대한 이동류별 차량의 임계간격과 추종시간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8권 제6호, pp. 19-32.
  3. 대한교통학회(2004) 도로용량편람.
  4. 문영준 외 1인(2001) 비신호교차로 전방향 정지제어 도입 타당성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총서.
  5. 박용진(1994) 신도시 4지 비신호 교차로의 운영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 223-224.
  6. 이수범(1996) 무신호 교차로의 안전에 의한 서비스수분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4권 제2호, pp. 259-260.
  7. 이슬기 외 2인(2003) 임계간격을 이용한 비신호 교차로의 시거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1권 제5호, pp. 97-100.
  8. 이용재 외 1인(2001) 비신호 교차로의 중차량 용량 보정계수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9권 제2호, pp. 88-98.
  9. Cristie, B., Delafield, G., Lucas, B., Winwood, M., & Gale, A. (1972) Stimulus complexity and the electroencephalogram: Differential effects of the number and the variety of display elements, canadian Journal of Physiology, Vol. 26, pp. 155-170
  10. Attanucci, J.P. and Jaeger, L. (1979) Bus Service Evalution Procedures : A Review, U.S. DOT
  11. Srour, J. 외 3인 (2003) Freight Information Real-Time System for Transport Evaluation Final Report, U.S. DOT
  12. Kelley Klaver Pecheux 외 4인 (2004) Automobile Drivers'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on Urban Street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1883, pp. 167-175. https://doi.org/10.3141/188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