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gn test

검색결과 476건 처리시간 0.03초

Modified Sign Test Using Reverse Ranked Ordering-Set Samples

  • Kim, Hyun-Gee;Kim, Dong-Hee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3권2호
    • /
    • pp.419-428
    • /
    • 2006
  • The method of Reverse Ranked Ordering-Set Sampling(RROSS) as an opposed Ranked Ordering-Set Sampling(ROSS) and Ranked-Set Sampling(RSS) is discussed. We propose the test statistic using sign test on RROSS. This method is effective when observations are expensive and measurement is perhaps destructive or invasive. This method obtains more informations than ROSS and RSS. The asymptotic relative efficiencies of RROSS with respect to ROSS and RSS are always greater than 1 for all sample sizes. We consider a simple model to describe the effect of imperfect judgment errors.

Neyman-Pearson 검정과 Fisher 검정에 의한 비모수 통계의 고찰 (Review of Nonparametric Statistics by Neyman-Pearson Test and Fisher Test)

  • 최성운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1-460
    • /
    • 2008
  • This paper reviews nonparametric statistics by Neyman-Pearson test and Fisher test. Nonparametric statistics deal with the small sample with distribution-free assumption in multi-product and small-volume production. Two tests for various nonparametric statistic methods such as sign test, Wilcoxon test,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Mood test, Friedman test and run test are also presented with the steps for testing hypotheses and test of significance.

  • PDF

기울기 부호를 이용한 폭발자기회귀검정 연구 (A study on the slope sign test for explosive autoregressive models)

  • 하정철;정종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4호
    • /
    • pp.791-799
    • /
    • 2015
  • 랜덤워크가설이란 금융시장의 많은 시계열자료가 과거의 값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움직인다는 이론이다. 랜덤워크가설은 ARMA 모형에서 단위근 존재여부 문제로 해석되는데 대부분의 연구는 AR(1) 모형에서 ${\rho}$ < 1 여부를 검정하는 문제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rho}$ > 1인 폭발자기회귀모형을 따르면 거품경제의 위험이 있게 되므로 이를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 폭발자기회귀모형에서 모수 추정량의 점근분포에 대해 알려져 있으나 그 형태가 모수를 포함하고 있어 통계량으로 부적절하거나 모수에 특정한 구조를 가정하고 있어 사용하기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자료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기울기부호를 이용하여 폭발자기회귀모형에 대한 검정을 제시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검정통계량의 성질을 확인한 결과, 오차항의 종속 정도에 따라 통계량의 분포가 일정한 경향을 따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립가설이 참일 경우 통계량의 값이 커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검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gn IV Cointegration Tests

  • Oh, Yu-Ji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6권4호
    • /
    • pp.707-711
    • /
    • 2009
  • We propose new cointegration tests using signs of the regressors as instrumental variable. Our tests have the asymptotic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and are free from the dimension of regressors under the null hypothesis of no cointegration. A Monte-Carlo simulation shows that the proposed tests have a stable size and an improved power. Particulary, the tests have better power for small numbers of observations.

생체신호측정용 스마트 의복의 구조에 따른 착용효율성 및 주관적 착용감 평가 (Evaluation of Wear Efficiency and Subjective Wear Sensa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s of Smart Clothing for the Measurement of Vital Sign)

  • 이현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037-1047
    • /
    • 2006
  • In this paper, various structures of the healthcare smart clothing for real-time measurement of vital sign were suggested. The wearing efficiency was evaluated to find out the best ergonomic clothing in the suggested design. The supplementary effects of the clothing components (princess line, double fabric, cushion) on the stable and tight positioning of sensors to the body were evaluated with wear test. Five experimental clothing for male subject were made with closely-fitted shape and they included two representative structure: one was the integrated type of inner and outer garments and the other was the separated type with two garments. Eight subjects in their twenties were participated in the wear test to evaluate the wearing efficiency of experimental clothing. As results, the clothing structure of the separated garments with the inner and the outer shells were evaluated as more efficient and comfortable. However, the effects of clothing components on the light positioning of the sensors to the body surface were not differentiated each other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 PDF

도로표지판의 결로 방지 대안별 효과 분석 (An Alternative Effectiveness Analysis on Anti-Dew Road Sign)

  • 박재홍;윤덕근;성정곤;강원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55-61
    • /
    • 2012
  • 도로표지는 운전자에게 정보제공의 역할을 하는 도로시설물로서 주행경로에 대한 운전자의 판단을 도와준다. 그러나, 주 야간의 온도, 습도 변화로 인한 도로표지판에 결로발생 시, 정보전달의 결함이 발생하여 교통사고 가능성을 높이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도로표지판의 결로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표지판의 결로발생을 예방하는 대안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단열소재가 삽입된 시편, 결로방지필름이 부착된 시편을 선정하고 결로방지처리가 되지 않은 일반시편과 비교하였다. 분산분석과 사후검정(Tukey HSD)을 통해 각 시편에 발생한 측정시간에 따른 결로량을 비교 했으며, 결로량과 재귀반사도의 관계를 Pearson의 상관분석으로써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결로방지필름이 부착된 시편에서 결로량이 적게 나타났으며, 결로발생 90초 후에는 결로방지필름의 부착 시편과 단열소재가 삽입된 시편에서 나타나는 결로량은 결로방지 처리가 되지 않은 시편에서 발생한 결로량과의 통계적인 차이가 존재하였다. 또한, 상관분석결과로써 결로량과 재귀반사도는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로표지판에 발생된 결로량과 재귀반사 변화율에 대하여, 결로방지필름의 부착과 단열소재의 삽입은 결로방지에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일본의 대 아시아지역 직접투자 특성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ODI by Korean and Japanese Firms into Asian Continent)

  • 김성기;채두병;강한균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3호
    • /
    • pp.267-289
    • /
    • 2010
  • 본 연구는 아시아지역에서의 한국과 일본의 대 아시아지역 직접투자의 특성을 거시적 측면과 미시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거시적 측면에서는 시장지향적 특성과 생산효율지향적 특성이 강한지를 다중회귀분석으로, 미시적 특성으로는 투자유형(합작 단독)과 투자규모, 노동집약도, 임금, 본사 파견 노동자 비율 등의 관계를 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체로 한국은 시장지향적 및 생산효율지향적 특성에서 2000년 이후 대체로 시장지향적 특성으로 전환되었고 일본은 생산효율지향적 특성에서 2000년 이후 대체로 시장지향적 및 생산효율지향적 특성으로 전환되었다. 한편 투자유형면에서는 한국과 일본 모두 GDP가 증가할수록, 파견노동자의 비율이 높을수록 단독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투자규모가 클수록 현지임금이 높을수록 합작투자를, 일본은 자본집약도가 높을수록 단독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니픽과 마우스에서 CFC-101(녹농균 백신)의 항원성시험 (Antigenicity of CFC-101(Pseudomonas vaccine) in Guinea Pigs and Mice)

  • 백남진;김달현;이동억;선우연;한형미;정승태;김필선;김현수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권4호
    • /
    • pp.331-335
    • /
    • 1994
  • As a part of the safety evaluation of Pseudomonas vaccine(CFC-101), antigenicity tests were carried out in guinea pigs and mice. In active systemic anaphylaxis(ASA) test, guinea pigs showed no sign or only moderate sign(1/5) when sensitized and challenged with up to 200 $\mu\textrm{g}$/kg. In homologous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PCA) test using guinea pigs, inoculation of CFC-101 alone did not produce CFC-101-specific antibody. When inoculated with 200 $\mu\textrm{g}$/kg plus adjuvant, challenge of 200 $\mu\textrm{g}$/kg produced PCA titer of 32(5/5) but challenge of 20 $\mu\textrm{g}$/kg did not produce CFC-101-specific antibody. In heterologous PCA test using mice, CFC-101-specific antibody was not detected when sensitized with CFC-101 alone. Some animals(3/12) showed positive PCA response when inoculated with 200 $\mu\textrm{g}$/kg plus alum. In passive hemagglutination (PHA) test, although no antibody was detected at 20 $\mu\textrm{g}$/kg, inoculation of 200 $\mu\textrm{g}$/kg alone or with alum produced positive response in all animals. This result has already been predicted because CFC-101 is a vaccin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immunization.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no adverse antigenic potential up to 10 times clinical dose of 200 $\mu\textrm{g}$/kg.

  • PDF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 정답배열 임의성 검정 (Test of randomness for answers arrangement in 2017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안소진;이재은;장대흥
    • 응용통계연구
    • /
    • 제30권4호
    • /
    • pp.503-512
    • /
    • 2017
  • 선다형 문제의 경우 특정 위치의 답을 선호하는 수험생의 응답경향이 시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답배열을 특정위치에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포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정답배열이 특정 번호에 편중되어 있으면 정답을 모를 때 중앙 또는 외곽 번호에 응답경향이 있는 수험생이 추측으로 문항의 답을 맞힐 수 있으므로 시험점수가 학생의 능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역별 정답배열에 대하여 Bartels rank test, Wald-Wolfowitz runs test, turning point test, Cox Stuart trend test, difference sign test, Mann-Kendall rank test 등을 실시하여 정답배열이 고르게 분포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정답 번호와 배점 사이에 독립성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에도 특정 번호를 정답으로 선호하는 경향을 가진 수험생의 점수는 학생의 능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의 위치와 배점 사이의 독립성 검정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대구광역시 일부 초등학교 교사들의 주관적인 구강보건실태 (A study of subjective oral health actual condit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egu area)

  • 최성숙;김재도;류혜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48-261
    • /
    • 2009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figure out Oral Health Actual Condit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eagu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hrough May 2008. Method : A total of three hundred and t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ral Health Actual Condition and cognition, Diet habit or living and one's own intellect health state, Oral disease sign symptoms of percent and 2-test and One-way ANOVA test by using SPSS12.0 Program. Results : 1. The most of result Frequencies of tooth brushing per one day were 3 over 91.0% and Oral Examination, Oral Health Education need. 2. The result of oral disease sign and symptom were hypersensitivity due to cold food(39.0%), halitosis(21.6%), gingival bleeding tendency(21.3), clicking sound on TMJ(18.7%), hypersensitivity due to tooth burshing(17.1%), easy crown fracture and to be fine(10.0%), pain on TMJ or limitation of mouth opening(7.1%). 3. The most of result age a group oral hygiene assistance article age 20 for interdental tooth brushing(46.4%), age 50 over not used interdental tooth brushing 38.5%. 4. The result of sign and symptom and snack follow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health of own cognition and Oral health of own cogni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Conclusion : The study of understanded the Subj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ral Health Actual Condition and Promotion of Oral Health follow up Oral examination and Oral Health Education have to system grop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