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de-polished fiber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4초

측면연마된 단일모드 광섬유와 폴리머 평면도파로 결합기를 이용한 고감도 온도센서 (High-sensitivity temperature sensor using the side polished single mode fiber and polymer planar waveguide coupler)

  • 정웅규;김상우;김광택;김응수;유윤식;강신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9권1호
    • /
    • pp.39-46
    • /
    • 2002
  • 단일모드 광섬유와 평면도파로 결합기의 파장선택성을 이용한 고감도 온도센서를 구현하였다. 폴리머 평면도파로의 높은 열광학 효과에 의하여 결합기의 공진파장이 -3.43㎚/℃ 정도로 매우 민감하게 이동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소자의 편광의존성을 줄이고 온도에 대한 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설계 기법을 제시하였다.

도파로 모드와 결합된 측면연마형 광섬유 SPR 센서

  • 안재헌;성태연;김원목;이경석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0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05-305
    • /
    • 2011
  • 표면 플라즈몬 공진(SPR) 현상을 이용한 광섬유 센서는 SPR 센서의 우수한 표면 민감도, 비표지 검출능 등의 특징은 유지하면서 측정시스템이 단순해지고 저렴하게 제작이 가능하며 원거리 검출에 유리하다는 장점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스택 제어가 용이하고 민감도 또한 우수하다는 이유로 측면 연마형 센서 구조를 적용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Kretchman형태의 SPR 센서의 분해능 향상을 위해 사용된 광도파로 구조를 측면 연마형 광파이버에 적용시켰다. 금속 층 / 유전체 층 / 금속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광도파로 구조와 Au 단일 층을 사용한 기존 구조에 대한 이론 전사모사를 진행하고 실물 소자를 제작하여 특성을 평가하였다. WCSPR 센서에서는 두 개의 반사율 dips이 나타난다. 하나는 단파장영역에서 나타나는 폭이 작은 형태이며 또 다른 하나는 장파장영역에서 나타나는 폭이 넓은 형태이다. 단파장에서의 dip은 입사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Wavelength interrogation mode을 이용하는 광섬유 SPR센서에 적용할 경우 분해능이 향상될 것 이다. WCSPR 센서는 도파로의 유전체층에서 진행되는 모드를 이용하면 Self-referencing을 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 층의 두께를 변화 시켜 중심파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결과적으로 광도파로 구조를 광파이버에 적용시켜 기존 Au 단일 층 구조의 SPR 센서에 비해 좀 더 정확하고 광범위한 감지를 할 수 있다.

  • PDF

광섬유-평면도파로 결합기를 이용한 광변색성 디아릴에텐 유도체의 광유도 굴절률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hoto-induced refractive index change of diarylethene derivative using fiber-to-planar waveguide coupler)

  • 조강민;윤정현;임선정;박수영;강신원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9-113
    • /
    • 2004
  • 광섬유와 평면도파로 결합기의 소산장 결합을 이용하여 디아릴에텐 유도체 DM-BTE(1,2-bis[2,5-dimethylthio-phen-3-yl]-hexafluorocyclopentene)의 광유도 굴절률 변화(photo-induced refractive index change)에 관하여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DM-BTE가 분산된 평면도 파로는 자외선과 가시광선(λ>450 nm)의 조사에 의해 광변색 반응이 가역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굴절률변화에 의한 공명 파장 또한 가역적으로 이동하였다. 광변색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평면도 파로의 결정상태(crystal shape)는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였으며, 자외선 조사시간에 대한 소자의 파장응답은 0.057 nm/sec 이었고 포화시간은 60 sec로 나타났으며, 가시광선이 다시 조사될 때의 공명파장의 변화는 0.028 nm/sec 이었고, 복귀시간은 140 sec로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