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ot growth

검색결과 1,793건 처리시간 0.025초

시클라멘 (Cyclamen persicum Mill.)의 조직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Plantlet Regeneration by Tissue Cultures of Cyclamen persicum Mill.)

  • 은종선;김영선;한상권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79-484
    • /
    • 2000
  • 시클라멘의 급속증식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발아 후 자엽이 전개된 어린 식물체의 괴경, 자엽, 엽병 등의 절편을 분리하여 절편부위별로 캘러스 및 기관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식물체의 생장반응을 조사하였다. 절편부위별 캘러스 형성 및 shoot분화에 있어서 auxin류 단용처리의 경우 괴경절편의 NAA처리구에서 절편으로부터 캘러스 없이 shoot가 직접 발생하여 가장 양호하였으며, 1개의 절편체에서 10개 이상의 다아체가 분화되었다. 자엽이나 엽병절편은 캘러스만 유도되었고 대부분 치상당시의 상태로 shoot 발생에 auxin류의 처리는 부적합하였다. Cytokinin류 단용처리는 1.0 mg/L TDZ처리구에서 괴경의 경우 100% shoot 분화율을 보였고, 자엽절편 역시 배양 40일경부터 다수의 shoot가 발생되어 양호하였다. NAA와 BA혼용처리는 0.5 mg/L NAA와 0.5 mg/L BA 혼용첨가된 배지에서 괴경. 자엽, 엽병절편 모두 shoot 분화가 양호하였으며, auxin류와 cytokinin 류 단용처리보다 NAA와 BA 혼용처리가 모들 절편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뿌리발생을 유도하기 위해 NAA와 IBA 단용처리에 shoot를 배양한 결과 배양 15일경부터 0.5 mg/L IBA처리구에서 뿌리가 발생되기 시작하여 배양 30일 후에는 Pot이식이 가능할 정도로 뿌리가 발생되어 가장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 PDF

다래(Actinidia arguta)의 절간절편체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및 해부학적 관찰 (Plant Regeneration from Internode Explants of Actinidia arguta and its Histological Observation)

  • 김회경;김준철;진창덕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63-268
    • /
    • 1997
  • 다래(A. arguta)의 절간조직을 절편체로하여 식물생장조절제의 종류와 광조건이 shoot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아울러 기내발근을 통하여 다래로부터 완전한 식물체를 재분화시킬 수 있는 실험체제를 확립하였다. 절간절편체는 3.0 mg/L의 zeatin이 단독첨가된 배지에 암배양한 경우 62.5%로 높은 shoot 형성률을 나타내었다. 0.5mg/L NAA가 포함된 WPM 배지에 4주 동안 배양하여 발근시킨 식물체는 vermiculite와 perlite 가 1:1(v/v)로 혼합된 배양토에 1주간 순화시킨 후 일반토양에 이식한 결과, 완전한 식물체로 생장시킬 수 있었다. 다래의 절간절편체를 shoot 유도배지에 배양하여 shoot의 형성과정을 발달단계별로 조직학적인 측면에서 관찰한 결과, 배양초기에는 신장되거나 모양이 다양한 무정형의 세포가 대부분이었으나 배양이 진전됨에 따라 세포의 크기가 작고 세포질이 충만한 분열조직군이 형성되면서 이들로부터 장차 shoot로 발달될 shoot primordia가 형성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무기염류, 생장조절물질 및 타이아민이 장기간 계대배양한 Solanum과 Lycopnicon종의 캘러스 생장과 식물체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organic sale, Growth Regulators, and Thiamine on the Callus Growth and Plant Regeneration from long-term Cultured Solanum and Lycopenicon Genotypes)

  • Chang Yeon YU;Byong Ho CHANG;Dong Ha CHO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9-76
    • /
    • 1994
  • 일반적으로 캘러스상태로 오랫동안 계대배양시 식물체분화능력 이 상실되거나 감소한다. 캘러스배양이나 현탁배양을 이용하여 제초제 및 각종 저항성 식물체를 선발하고저 할 때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장기간 계대배양된 세포나 캘러스로 부터 식물체를 분화시키는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실험은 2년 이상 캘러스상태로 기내에서 장기간 계대배양한 수종의 Solanum과 Lycopenicon종으로 부터 캘러스 생장 및 식물체분화에 미치는 무기염류, 생장 조절물질 및 타이아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캘러스 생장 및 식물체분화에는 MG배지가 다른 MS, Gamborg, White배지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낮은 농도의 IAA와 높은 농도의 BA가 조합처리 되었을때 높은 식물체분화율을 보였다. 타이아민이 첨가되었을때가 무처리보다 식물체분화와 생장을 증가시켰으며 타이아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식물체분화와 생장을 증가시켰으며 그 농도는 10 mg/L에서 30mg/L까지가 적합한 것으로 보였다.

  • PDF

Chitosan 혼합토양에 대한 목초의 생육반응 (Growth Response of Grasses to Chitosan Solution Amended Soil)

  • 이주삼;조익환;전하준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3-104
    • /
    • 199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rowth response of grasses to chitosan solution amended soil were studied from the standpoint of estimating the growth stimulating adequate concentrations of chitosan solution amended soil in each grass. Three species in this experiment used were orchardgrass, tall fescue and reed canarygrass. Six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hitosan solution amended soil were 0%(control), 0.01%, 0.05%, 0.1%, 0.5% and 1.0%, respectively. The resulte obtained were as follows ; 1. Leaf area(LA), dry weight of leaf(LW), dry weight of shoot(SHW), biological yield(BY), C/f ratio and T/R ratio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pecies. 2. Growth stimulating effect by chitosan solution amended soil were found in plant length(PL) and T/R ratios of grasses. 3. Adequate concentrations of chitosan solution amended soil were different between species. The highest values of yield components and dry weight of plant parts were obtained at 0.01% in orchardgrass, 0,05% in reed canarygrass and 1.0% in tall fescue, respectively. 4. The growth response of grasses to chitosan solution amended soil were different between species. Thus, an increase in leaf area(LA) and dry weight of leaf(LW) by chitosan solution amended soil was mainly contributed to increase in dry weight of shoot(SHW) and biological yield(BY) in orchardgrass. Chitosan solution amended soil also stimulated growth of shoot and increased in biological yield(BY) in tall fescue. In reed canarygrass contributed to increase in C/F ratios. 5. Adequate concentrations of chitosan solution amended soil for an economical benefit of cultivation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grasses were ranged from 0.01% to 0.05% levels.

  • PDF

Auxin에 의한 벼 발아종자의 Callus 형성 (Studies on the aseptic culture induced from rice seedlings treated with auxins)

  • 정근식;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5권
    • /
    • pp.135-140
    • /
    • 1974
  • 수도 품종 팔굉, 수원8002 Usen을 공시하여 2,4-D와 NAA의 각 5농도에서 Callus 형성량을 조사한 결과 1. 품종간 Callus 형성은 2,4-D와 NAA에서 다같이 팔굉이 가장 높고 다음은 수원8002였으며 Usen은 극히 낮았다. 2. 2,4-D의 농도별 Callus 형성은 팔굉과 수원8002는 $10^{-4}M$에서 Usen은 $5{\times}10^{-5}M$에서 가장 높았고 그보다 높은 농도에서는 Callus가 형성되지 않았다. 3. NAA 배지의 적량 농도는 $2{\times}10^{-4}M$이었다. 그러나 높은 농도에서는 Callus가 형성되지 않았고 저농도에서도 형성율이 낮았다. 4. Callus의 색은 대체로 황백색이나 Usen은 2,4-D 처리에서 암황색이었다.

  • PDF

온도별 암하생장시 인삼의 생장효율과 열장애 (Growth Efficiency and Thermal Stress in Panax ginseng Grown at Various Temperatures under Dark)

  • 박훈;유기중;최병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1-10
    • /
    • 1988
  • 인삼을 $15^{\circ}C$에서 $30^{\circ}C$까지 $5^{\circ}C$ 차이로 구분하여 일중 온도변이를 두어 19일간 암하에서 길러 지상부 재생장효율을 조사하였으며 생육적온 $15^{\circ}C$를 제한 온도를 적산한 6개 열장해지수와 5개의 생장효율과의 직선상관을 조사하였다. 총생산효율(지상부건중/근중감소량)은 최적온인 $15^{\circ}C$ / $15^{\circ}C$에서 37.5%이고 최고온인 30/$30^{\circ}C$에서 12.3%였다. 유지호흡을 보정한 순생산효율{(지상부중+지상부유지호흡량)/(근중감량-유지호흡량)}은 각기 39.6%와 16.7%였다. 모든 열장해지수는 모든 생장효율과 부상관(p=0.001)을 보였으며 온도차가 없는 경우와 너무 큰 경우를 보정한 열장해지수가 가장 큰 상관계수를 보였다. 열장해지수는 근중감소량과 유의 부상관, 유지호흡량과는 유의 정상관을 보였다. 지상부 생장량은 생장효율 및 근중감소량과 유의 정상관, 열장해지수와는 부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열장해는 호흡소모가 아니고 재생장에 필요한 기질공급의 저해이며 그로 인해 생장효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보인다. 생육적온에서도 재생장효율은 심히 적었으며 생육부진의 원인으로 보인다.

  • PDF

맹종죽(孟宗竹)의 성장(成長) (On the growth of Phyllostachys edulis A. et. Riviere)

  • 임경빈;권오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8-51
    • /
    • 1962
  • 한국(韓國)의 원산죽(原産竹)으로서 중요(重要)한 것은 솜대, 왕 대, 이대 등이나, 중국원산(中國原産)으로서 알려져 있는 맹종죽(孟宗竹)(Phyllostachys edulis Riv.)은 지금으로부터 약(約) 220년전(年前)에 유구(琉球)를 지나 일본(日本)으로 전파(傳播)되고 다시 우리나라에도 수입(輸入)되어 남부지방(南部地方) 일부(一部)에는 그 재배(栽培)가 되고 있다. 재질(材質)이 연(軟)하고 공예적성질(工藝的性質)은 참대, 솜대등만 못하나 줄기가 굵고 또 아름다운 광택(光澤)도 가지고 있어서 실내(室內)의 장식품(裝飾品)으로 쓰이며 죽순(竹筍)은 이름 높다. 일반삼림수목(一般森林樹木)에 대(對)한 수고(樹高), 직경(直徑), 재적성장(材積成長)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어느정도(程度) 밝혀져 있으나 우리나라의 죽성장(竹成長)의 내용(內容)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대나무는 단자엽식물(單子葉植物)로서 일반(一般)의 다른 수목(樹木)과는 형태적(形態的)으로나 생리(生理) 생태면(生態面)으로 특이(特異)한 점(點)을 구유(具有)하고 있어서 이러한 내용(內容)의 분석(分析)은 죽림경영기술(竹林經營技術)에 또 순생물학적면(純生生物學的面)에 이바지하는 바가 있다고 믿는다. 이곳에서는 이리시(裡里市) 농과대학소속(農科大學所屬)의 맹종죽림(孟宗竹林)에서 관측(觀測)된 것을 자료(資料)로해서 검토(檢討)하였다.

  • PDF

완전제어형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선형 지수 함수를 이용한 씀바귀의 생육 모델 (Growth Model of Sowthistle (Ixeris dentata Nakai) Using Expolinear Function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차미경;손정익;조영열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2호
    • /
    • pp.165-170
    • /
    • 2014
  • 본 연구는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선형 지수 함수를 이용하여 재식거리($15{\times}10$, $15{\times}15$, $15{\times}20$, $15{\times}25$cm)에 따른 씀바귀의 생육과 수량 모델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개체당 건물중은 25cm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10cm 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단위면적당 건물중으로 보면 15cm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25cm 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따라서 씀바귀 생육을 위한 적정 재식밀도와 재식거리는 각각 44 plants/$m^2$$15{\times}15$cm였다. 정식 후 일수에 따른 건물중의 변화 곡선은 선형 지수적인 형태를 보였으며, 재식거리에 따른 선형 지수 형태를 이용하여 모델식을 예측할 수 있었다. 개체당 건물중과 개체당 생체중과의 관계는 재식거리와는 무관하게 직선적인 관계를 보여, 건물중 예측으로 생체중도 예측할 수 있었다. 선형 지수 함수식에서 작물생장율과 상대생장율, lost time는 쌍곡선 형태를 보였다. 씀바귀의 광사용효율는 $4.3-6.1g{\cdot}MJ^{-1}$였다. 재식거리에 따른 씀바귀의 생육과 수량은 선형 지수 함수식으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선형 지수 함수는 완전제어형 식물 공장에서 씀바귀의 생육과 수량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함수였으며, 생육과 수량 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

Aluminium이 팥(Vigna angularis) 유식물의 생장, 엽록소함량, ALAD활성 및 뿌리와 경엽부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uminium on Growth, Chlorophyll Content, ALAD Activity and Anatomy of Root rind Shoot in Azuki Bean (Vigna angularis) Seedlings)

  • 구서영;홍정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813-826
    • /
    • 1996
  • 발아후 7일된 팥유식물에서 alumlnlum(Al)이 생장, 엽록소 함량, ALAD활성 및 뿌리와 경엽부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농도(50, 100 $\muM)의$ Al처리에 의해 뿌리와 경엽부의 신장이 매우 감소되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장이 더욱 억제되었다. 따라서 생장억제는 농도의존적이었다. 뿌리신장은 Al 처리 24시간에서 감소되었으며 7일간의 저농도처리에 의해 억제효과가 회복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Al의 독성증상과 생장반응은 경엽부에 비해 뿌리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Hematoxylin 염색법에 의해 Al 분포를 조사한 결과 Al은 근단을 통해 표피와 피층세포에 축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Al처리는 엽록소함량을 감소시켰으며, ALAD활성 또한 억제시켰다. 엽록소 함량과 ALAD 활성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Al 처리에 의한 뿌리의 형태변화를 보면 표피세포 및 피층세포의 변형 또는 파괴가 관찰되었으며, 뿌리직경과 피층의 체적도 매우 감소되었다. 경엽부에서도 Al처리는 직경과 세포크기의 감소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잎에서의 형태적 변화는 엽록체수와 크기변화 이외에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Al의 독성효과는 1차적으로 뿌리에서 나타나며, 뿌리형태의 변화는 뿌리의 생장패턴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l은 팥유식물에서 특히 뿌리의 형태와 기능적 손상을 일으키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System for Sorghum bicolor - a Valuable Major Cereal Crop

  • Baskaran P.;Jayabalan 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247-257
    • /
    • 2005
  • An efficient, rapid and large-scale in vitro clonal propagation of agronomically important Indian cereal crop genotypes (NSH27 & K5) of Sorghum bicolor (L.) Moench. by enhanced shoot proliferation in shoot tip segments was designed. MS medium fortified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and coconut water markedly influenced in vitro propagation of Sorghum bicolor. In vitro plantlet production system has been investigated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with the synergistic combination of 6-benzyladenine ($22.2\;{\mu}M$), kinetin ($4.6\;{\mu}M$), adenine sulphate ($2.8\;{\mu}M$), 5% coconut water and 3% sucrose which promoted the maximum number of shoots as well as beneficial shoot length. Subculturing of shoot tip segments on a similar medium enabled continuous production of more than 100 healthy shoots with similar frequency. When the healthy shoot clumps were cultured on MS medium fortified with 6-benzyladenine ($22.2\;{\mu}M$), kinetin ($4.6\;{\mu}M$), adenine sulphate ($2.8\;{\mu}M$), ${\alpha}$-naphthaleneacetic acid ($2.7\;{\mu}M$), ascorbic acid ($30.0\;{\mu}M$) and 5% coconut water, a rapid production of axillary and adventitious buds was developed after 8 wk culture. More than 300 shoots were produced 10 wk after culture. Rooting was highest (100%) on half strength MS medium containing 22.8 mM IAA. Micropropagated plants established in garden soil, farmyard soil and sand (2:1:1) were uniform and identical to the donor plant with respect to growth characteristics. These plants grew normally without showing any tra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