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ivering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의 산후 문화와 여성이 경험한 산후병에 관한 일상생활기술적 연구 (An Ethnographic Study of Sanhubyung experienced by Women in Korean Postpartal Culture)

  • 유은광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25-836
    • /
    • 1995
  • This ethnogrphic exploratory study sought to de-fine the meaning of Sanhubyung, as consequ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omen who experienced it. A convenience sample of 9 elderly women in San Francisco. and 20 postpartal women and their 20 non-professional helpers during postpartum in Seoul, Korea were observed and interviewed for 23 months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1992 at the Human Development Center in San Francisco and at the hospital and their homes in Seoul, Korea. Sanhubyung was regarded as the consequence of "Doing a Sanhujori Wrongly," as a group of symptoms or sequelae which have two types of characteristics of symptoms . chronic and acute. It can be called a culture bound syndrome in the cultural context re-lated to childbearing phenomenon in Korea. If women violate the principles of Sanhujori, such symptoms can appear at various times : during the period of postpartum itself, at any time, periodically, especially at the anniversary of the child's birth, late forties, and in old age. Acute symptom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immediate and late types include painful and edematous gingiva, sensitive teeth, strange sensation and pain in the knees or backache. Besides, there is a localized sense of soreness and pain ; sense of being in a draft and cold, stomach upset, GI irritation, chilling, shivering, and tiredness, pain and dazzling in the eyes. Chronic symptoms occur in the head, neck, teeth, back, hands, knees, hands and feet, arms and legs, eyes, sinews and joints, bones, and in the body or as a whole. Generally these symptoms are pain, often accompanying a feeling of being cold and in a draft, regardless of actual weather conditions. In conclusion, this findings reflect the Oriental way of thought of causal relationship of women's health and illness based on the wholistic paradigm of harmony and balance of two forces, Yin(cold) -Yang(hot). It provides a challenge to the professional sector to rethink the effect of culture on health and illness. Finally, it suggests care providers use cultural assessment f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rvention and quality of care for desirable health outcomes.

  • PDF

치과병원에서 치료시 발생하는 소음특성 (Characteristics of Noise Radiated at Dental Clinic)

  • 지동하;최미숙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23-1128
    • /
    • 2009
  • 치과병원에서 가동되는 기기소음이 환자들에게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어 치료시(스케일링, 치아제거) 및 비치료시(기기만 가동) 소음특성(소음도,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여 PSIL, NR과 같은 평가방법으로 분석하고 환자들의 기기소음에 대한 반응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치료기기로부터 1 m 떨어진 거리에서 측정한 소음도의 범위는 67.7~78.3 dB(A)로 4 k (Hz) 이상의 고주파성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응답자의 대부분이 소음에 민감한 반응(기분이 거슬리거나, 병원방문을 망설임, 소름이 돋움, 깜짝 놀람)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SIL에 의한 소음 평가 및 설문조사 결과 환자와 치과종사자의 대화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NR곡선에 의한 평가 결과 NRN에 의한 각 실의 소음기준(ISO) 중 작업장의 소음기준(NRN 60~70 dB(A))을 훨씬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의 소음공포증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방음보호구 제공, 저소음 저진동 장비의 선택, 마스킹 효과 등의 다양한 대책을 수립 제공하면 치과의료서비스 질을 개선하고 치과병원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Analgesic Effect of Nefopam with Fentanyl at the End of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 Lee, Ju Hwan;Kim, Jae Hong;Cheong, Yong Kwa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6권4호
    • /
    • pp.361-367
    • /
    • 2013
  • Background: Nefopam is a centrally acting analgesic that is used to control pa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an appropriate dose of nefopam that demonstrates an analgesic effect when administered in continuous infusion with fentanyl at the end of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Methods: Ninety patients scheduled fo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analgesia with fentanyl alone (50 ${\mu}g$, Group 1, n = 30), or with fentanyl in combination with nefopam 20 mg (Group 2, n = 30) or in combination with nefopam 40 mg (Group 3, n = 30) at the end of surgery. Pain and side effects were evaluated at 10 minutes, 30 minutes, 1 hour, 2 hours, 6 hours, and 12 hours after arrival in the post-anesthesia care unit (PACU). Results: Pai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in Groups 2 and 3 than in Group 1 at 10 minutes, 2 hours, and 6 hours after arrival in the PACU. Nause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2 than in Groups 1 and 3 at 10 minutes after arrival in the PACU. Shiver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in Groups 2 and 3 than in Group 1 at 10 minutes after arrival in the PACU. Conclusions: Nefopam is a drug that can be safely used as an analgesic after surgery, and its side effects can be reduced when fentanyl 50 ${\mu}g$ is injected with nefopam 20 mg.

수술 환자에게 적용한 가온요법 연구논문 분석 (Analysis of Researches on the Warming Therapy for Surgical Patients)

  • 전점이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0-270
    • /
    • 2010
  • Purpose: The main question is systematic review of the published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on warming therapy for surgical patients. Methods: The researchers searched at Medline, CINAHL, KERIS, Adult Nursing Association,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 web site for the published on warming therapy for surgical patients from 1980 to 2008. Words for search were operation/surgery, warming, operation/surgery and warming. Studies were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there were no restrictions regarding operative phase and outcome measures. Results: 36 published researches that met the criteria were mostly published in foreign countries between 2000 and 2008 and focused on surgery with general anesthesia. Sample size ranged from 21 to 60 subjects, age range between 21 and 60 years of age. Thirty different warming therapies were reported, fifty-two different dependent variables. Outcome indicators included active external warming, intra-operative, and body temperature. 'Positive effects' and 'no effects' equaled.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positive effects' were body temperature, shivering, and acid-base balance. No effects were more likely to be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hemodynamics. Conclusion: Many types of warming therapy, are reported in the literature with little information about the efficacy of each, many different dependant variables were studied. There were no consistent reports as to length of time used for warming procedures. Overall, the effects of warming therapy are inconsistent. And additional research must be down before any particular method of warming can be used with confidence as to its effectiveness. Attention must be made as to the research design, better measurement of the dependent variables. This review may serve as a base.

한국산(韓國産) 고등균류(高等菌類)의 성분연구(成分硏究)(제54보)(第54報) -털목이의 독성(毒性)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Constituents of the Higher Fungi of Korea(LIV) -Studies on Toxic Component of Auricularia polytricha-)

  • 김하원;최응칠;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65-271
    • /
    • 1986
  • 털목이버섯의 저분자 독성물질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털목이버섯 열수추출액의 $LD_{50}$은 복강 및 경구투여시 각각 1.25와 4.18 g/kg이었다. 건조 털목이버섯 100 g에는 650$\sim$700 mouse lethal unit(=MLU)이 함유되어 있었다. 열수총추출액, C분흑 및 최종성분의 1 MLU는 각각 및 28.5, 25.0 및 12.0 mg/mouse이었다. 독성물질의 일반적일 증상은 행동둔화, 체모기립, 전율, 두부진동, 안구돌출, 사지마비, 사망직전의 급격한 다리운동 및 호흡마비 등이었다.

  • PDF

개에서 발생한 구리 축적성 간경화에 D-penicillamine, SAMe, DBB로 병용 치료하여 장기간 생존한 1례 (Long-term Management of Copper-associated Hepatic Cirrhosis with D-penicillamine, SAMe, and DBB in a Dog)

  • 서경원;이영흔;방동하;안진옥;고예린;황철용;김대용;윤화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9-253
    • /
    • 2011
  • 4살령의 아메리칸 코가 스파니엘이 식욕부진, 몸떨림 그리고 복부 팽만증세로 내원하였다. 혈청학적 검사, 방사선 검사, 초음파 검사 그리고 간생검을 통한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경화로 진행된 만성 간염으로 진단할 수 있었으며, 특수 염색법을 통해 대부분의 간세포내에 구리가 축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리 농도는 1460 ppm으로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리 축적으로 인한 간염이 간경화까지 진행된 말기 병변으로 진단하고 D-penicillamine, s-adenosymethionine,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과 대증 치료로 본 환자를 치료 하였으며, 본 환자는 진단 후 35개월을 생존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Brown Adipose Tissue의 열생성 기능과 비만 (Brown Adipose Tissue Thermogenesis and Obesity)

  • 양경미;서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0-470
    • /
    • 1992
  • BAT는 신생아를 비롯하여 동면을 취하는 동물 그리고 설치류에 주로 많은 양이 분포되어 있으며, 세포내지방산을 산화시켜 열을 방출하여 체온조절 및 에너지균형 조절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에너지 균형 조절을 통한 체중 조절을 통하여 비만과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전적으로 비만인 실험동물의 경우에는 주로 주위온도, 식이량과 그 구성.성분비 변화와 같은 자극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을 일으키지 못해 BAT의 열생성 결함으로 비만이 초래되는 것으로 보인다. 인간의 경우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실험동물의 경우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나, 체내 BAT의 분포량이나 BAT의 연소기질인 지방산의 합성능력 등에 많은 차이점들이 있기 때문에 실험동물의 경우를 인간에게 그대로 적용시킬 수는 없다. 뿐만 아니라 인간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데에는 몇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우선 사람의 나이, 성, 실험시작전 영양상태, 스트레스 정도, 유전적 배경 그리고 날씨 에 대한 적응능력에 따라서 열생성 정도가 달라지므로 실험결과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하기가 어렵다. 또한 신생아에 비해서 성인의 경우 BAT의 양이 소량이고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BAT량 결정에 어려움이 있고 열생성 정도와 에너지 소비율과 같이 BAT의 열생성 기준을 나타내는 실험방법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좀더 정확한 측정방법의 개발을 통해서 열생성에 미치는 타 요인들을 배제 시켜 실험을 하여 소비되는 에너지량을 정확하게 산출하고 BAT의 열생성 기전과 자극원인을 명확히 규명한다면 비만의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ituximab 주입관련 부작용발생 및 위험인자 분석 (Rituximab Infusion-related Adverse Events and Risk Factors)

  • 이은정;김영주;이정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3-231
    • /
    • 201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tatus and risk factors of rituximab infusion-related adverse events (ADE) in rituximab-na$\ddot{i}$ve patients with cancer diseases. Method: A retrospective analysis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review was conducted. Inclusions were patients with a diagnosis of cancer disease with the initiation of rituximab-included treatment who were na$\ddot{i}$ve to rituximab during January 2011 to March 2013 at National Cancer Center (NCC) in Korea. Result: Total 110 patients, 582 cases of rituximab administrations, were reported in the study. About 57.2% of patients were 51-70 years old and evenly distributed between two genders and 72.7% were BMI less than $25kg/m^2$. All of study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non-Hodgkin lymphoma. Fifty patients (45.4%) and 54 cases (9.3%) were experienced rituximab infusion-related AEs even with conservative administration protocol at NCC.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AEs were shivering followed by rash and itching. In single variant analysis, we found that the early stage of NHL, low exposure to rituximab administrations, high white blood cell counts, high lymphocyte counts, high absolute neutrophil count and low lactate dehydrogenase were associated with infusion-related AEs (p<0.05). The early stage of disease, high lymphocyte counts, low exposure to rituximab administrations were also related significantly with AEs in multiple variants analysis (p<0.05). Conclusion: Rituximab infusion-related AEs for patients who were na$\ddot{i}$ve to rituximab were still a concern with conservative administration protocol. The adverse drug reaction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arly stage of NHL, higher lymphocyte counts and low exposure to rituximab administrations. The factors need to be considered with close monitoring to prevent rituximab infusion-related AE.

말티즈에서 폭풍공포증 치료를 위한 클로미프라민, 알프라졸람의 투여가 행동 수정에 미치는 임상 1례 (A case of clomipramine and alprazolam on behavioral modification for the treatment of storm phobia in a Maltese)

  • 한세명;조재현;김충희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67-173
    • /
    • 2023
  • An 8-year-old female neutered Maltese dog exhibited signs of serious thunderstorm phobia including panting, wandering, shivering, hiding, crying or whining, or trying to escape from the house. In this study, we administered clomipramine and alprazolam and observed behavioral improvement for 3 years. Clinical symptoms measured according to the storm phobia assessment (SPA) were significantly high with an initial total score of 19 points. However, it improved to a total score of 8 on day 176 after drugs administration and returned to the normal level with the total score of 5 points on the 983 days. When the symptoms for the first 4 treatments and the last 4 treatments were compared in 2 groups, the total score of all clinical symptoms decreased to -62.83% in the last 4 treatments. This study found that treatment with alprazolam and clomipramine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clinical signs of storm anxiety, suggesting that two drugs would be effective in reducing symptoms caused by anxiety, thunderstorm phobia, and noise phobia. In this follow up study, we hope that more studies would be conducted on behavior modification for treatment of storm phobia in veterinary medicine.

소아에서의 저체온 심폐바이패스후 재가온 종료온도와 후하강 (End Point Temperature of Rewarming and Afterdrop After Hypothermic Cardiopulmonary Bypass in Pediatric Patients)

  • 김원곤;이해원;임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125-130
    • /
    • 1997
  • 저체온 심폐바이패스후에 환자를 적절히 재가온시키지 못하면 수술직후 중환자실에서 종종 후하강 (afterdrop)현상이 발생할 수있다. 후하강이 생기면 전해질 장애, 부정맥, 혈역학적 불안정을 일으킬 수 있을뿐 아니라 전율에 의해 산소소모량을 크게 증가시킴으로서 수술 직후 불안정한 심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아 심장수술환자에서 적정 재가온 종료 온도를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50명의 환자들을 직장 온도를 기준으로 섭씨 35.5도에서 재가온을 종료한 군과 37도에서 재가온을 종료한 군으로 나눈뒤 두 군 사이에 후하강의 발생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후하강의 여부와 함께 심박수,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 등 활력 증후도 함께 측정하였다. 그밖에 체온측정 장소에 따른 온도 의 차이를 관찰하기 위 해 심폐바이패스 중에는 직장 온도와 함께 식도 온도를 그리고 중환실에서는 직장 온도와 함께 액와 온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환자들은 전례에서 롤러 펌프에 의한 비박동성 관류를 시행 받았으며 산화기로는 막형 또는 기포형 산화기가 사용되었다. 두군의 환자들은 연령, 성별, 체표면적, 심폐바이패스 시간, 재가온 시간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찰 결과 두군의 환자들에서 모두 회복실에 도착한후 16시간후 까지 측정한 직장 온도에서 후하강은 없었으며 두군간 시간대별 직장 체온의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두군간 심박수와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재가온 종료시 식도 온도는 직장 온도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으며 중환자실에서 측정한 액와 온도는 직장 온도보다 항상 낮게 측정되었다. 전율은 전례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 결과는 소아에서는 직장 온도를 기준으로 적어도 섭씨 35.5도 이상에서 재가온을 종료하면 후하강이 일어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8례(11%),술후 일과성 신경학적 합병증이 7례 (9%),술후 일과성 정신과적 합병증이 6례 (8%), 급성 신부전이 3례 (4%),술후 출혈 및 폐렴이 각각 2례 (3%), 창상 감염과 십이지장 궤양 천공이 각각 1례 (1 %)이었다. 역행성심정 지액을 이용한 심근 보호법은 고위험도의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서의 관상동맥 우회술에서 수술 위험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심근 보호법이라고 생각된다.처리구를 무작위로 할당하여 배양하였으며, 또한 740개의 정상수정란도 같은 반복수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미세주입한 수정란은 8일 후 11.6%(26/255) 및 5.2% (14/267)가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에서 배반포기까지 발달하였으며 정상수정란은 27.2% (151/740)가 배반포기 배까지 발달하였다. 미세주입후 대조구에서는 23.1$\pm$2.6/70.7$\pm$4.7 (32.7%)의 할구가 $\beta$-Gal 활력을 보였고, 반면에 100$\mu\textrm{g}$/ml G418 처리구에서는 40.3$\pm$4.1/48.8$\pm$7.5 (82.6%)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비록 mosaic 형태로 외래유전자가 발현되었지만 대조구에서 87.0% (26/30개)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인 반면, G418 처리구에서는 모든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P<0.05). 그러나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의 ICM colony에서는 영양배엽과 내배엽을 제외한 epiblast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결과로부터 $\beta$-actin promoter/lacZ gene이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