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ift work

검색결과 788건 처리시간 0.027초

교대근무 남자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 (Adaptation Experience of Male Nurses on Shift work)

  • 오화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185-19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 남자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해석하는 데 있으며,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09월부터 2022년 11월까지였으며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전문병원,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남자간호사 9명을 대상으로 내용의 포화가 될 때까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따라 적용하였고 연구 결과 4개의 범주와 11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4개의 범주는 '교대근무로 인한 변화', '성별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 '업무수행을 위한 적응', '미래를 위한 성장과 방향성'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대근무 남자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에 대한 의미를 탐색할 수 있었으며, 간호업무 수행을 위한 근무환경 개선 방안과 남자간호사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동차공장 교대작업 근로자들의 건강상태평가 (Health Assessment of Shift Workers in a Automobile Manufacturing Plant)

  • 이중정;정종학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1호
    • /
    • pp.103-121
    • /
    • 1995
  • 교대작업이 근로자의 육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1993년 5월 한 달간 경상남도 울산시 소재 모 자동차 공장 생산직 근로자 659명(교대작업자 : 544, 주간작업자 : 115)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시점에서 현재 교대작업을 하고 있으며 자신의 근무기간 중 80% 이상을 교대작업에 참여한 근로자를 지속적인 교대작업자로 간주하였으며, 조사 당시 교대작업에 참여하고 있지 않고 과거에도 교대 작업에 참여한 경험이 전혀 없었던 근로자룰 주간작업자로 하였다. 교대작업군과 대조군의 일반적인 특성 및 작업과 관련된 특성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교대작업에 관련된 내용은 면접을 통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근로자의 수면양상과 식사형태에 관한 설문은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에서 개발된 항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위장관계질환의 자각증상에 관하여서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근로자의 일반적인 안녕 상태와 장해는 미국의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에서 개발된 자기기입식 설문인 General Well-Being Schedule(GWB)에 의해 측정되었다. 교대작업자에서 자신이 원하는 수면시간보다 1시간 이상 수면이 모자란다고 호소한 근로자가 56.8%로 주간작업군의 50.0%보다 높았으며, 수면 중 2회 이상 잠을 깨는 근로자의 비율, 잠에서 깨었다 다시 잠들기가 힘들다고 호소한 근로자의 비율, 일주일에 2일 이상 작업 중 피곤하거나 졸리다고 호소한 근로자의 비율, 일주일에 2일 이상 작업이 끝난 후에도 피곤하거나 졸리다고 호소한 근로자의 비율은 주간 작업자보다 교대작업자에서 현저하게 높았으며(p<0.01), 교대작업자에서 자고 일어난 후에도 피로감을 호소하는 율도 교대작업군에서 53.1%로 주간작업자의 40.0%보다 높았다(p<0.05). 수면의 형태를 보면 교대작업자에서는 각 교대작업 때마다 다른 형태의 수면을 취하는 근로자가 35.9%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잠을 잘 못 잔다고 호소하는 근로자도 12.3%로 주간작업자의 6.1%보다 훨씬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잠을 자기 위해 약물을 상습적으로 복용하는 근로자도 주간작업자에서 1.7%, 교대작업자에서 2.8%를 차지하였다. 교대작업자들과 주간작업자는 다른 형태의 식사형태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식욕은 주간작업자의 13.0%에서 아주 좋다라고 응답한 반면 교대작업자에서는 6.6%만이 식욕이 아주 좋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식욕이 매우 나쁘다라고 응답한 비율도 5.0%로 주간작업자의 2.5%보다 높았다. 교대작업자와 주간작업자의 위장관계 자각증상 호소율은 교대작업군에서 높았으며(p<0.01), 배변습관의 변화와 체중감소 호소율도 교대작업자에서 주간작업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근로자의 일반적인 안녕 상태와 장해는 HANES I에서 개발된 General Well-Being Schedule(GWB)에 의해 측정되었는데 불안척도, 우울척도, positive well-being척도, 활력척도에서는 교대작업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자기제어력척도, 일반건강척도도 교대 작업자에서 낮았으나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대작업자에서 생체리듬의 부조화로 인한 수면, 식사, 위장관계장해 등의 일련의 자각증상에 대한 호소율이 주간작업자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일반적인 건강 장해 호소율도 교대작업자에서 높았다.

  • PDF

광주지역 제조업 근로자의 근무형태가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orking patterns on eating habits in manufacturing workers of Gwangju area)

  • 임지숙;허영란;정은;이재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6호
    • /
    • pp.495-505
    • /
    • 2016
  • 본 연구는 산업체에 근무하는 직장인의 근무형태별 특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식습관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소재한 K 제조 공장에 재직 중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식습관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근무형태에 따른 식습관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의 나이는 40~49세 및 50세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기간은 근무형태와 상관없이 대부분 10년 이상의 경력에 하루 평균 8~10시간을 근무하였다. 단순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연령, 근무기간, 평균근무시간, 교육수준, 가족월 평균수입, 주관적 건강인식, 중등도 신체활동여부, 음주량, 흡연량, 수면시간, 이상지질혈증 처음진단시기를 보정하여 조사대상자들의 식습관, 카페인 섭취량,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분석한 결과 평소의 식사량에 대해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1.4{\pm}0.9$, 교대근무 근로자가 $1.1{\pm}0.5$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 < 0.001), 균형 잡힌 식사 정도는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1.5{\pm}0.6$, 교대근무 근로자 $1.3{\pm}0.4$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005). '채소 섭취'는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1.9{\pm}0.7$, 교대 근무 근로자 $1.7{\pm}0.5$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 = 0.024), '해조류 섭취' 역시 비교대근무 근로자자 $1.7{\pm}0.6$, 교대근무 근로자 $1.5{\pm}0.4$로 교대근무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p = 0.049). 반면 '1일 3끼의 식사 중 거르는 일이 있습니까'는 비교대근무에서 $2.1{\pm}0.8$ 교대근무에서 $2.5{\pm}0.5$로 식습관 조사 항목 중 유일하게 교대근무 근로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또한 근무형태별 식습관 점수 합계는 비교대근무 $16.1{\pm}0.6$, 교대근무 $14.0{\pm}0.3$으로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p = 0.035). 직무요구도에서 받는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비교대근무에서 $46.2{\pm}2.6$, 교대근무에서 $34.0{\pm}1.4$로 비교대근무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p = 0.001), 직무 자율성 결여는 교대 근무 근로자가 $50.7{\pm}1.0$,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44.2{\pm}1.0$으로 교대근무 근로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조직적 관리체계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는 교대근무 $57.0{\pm}1.2$, 비교대근무 $50.9{\pm}2.0$로 교대근무 근로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36). 연구대상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제요인 분석은 스트레스 정도의 총합으로부터 정도에 따라 백분위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적게 받는 근무형태는 교대근무 근로자로 28.1%를 나타냈고,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근무형태는 교대근무 근로자에 비해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39.7%로 나타나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교대근무 근로자는 중등도 신체활동과 음주량 및 흡연자가 비교대근무 근로자에 비해 높았으며, 식습관도 좋지 않았다. 사무직을 포함하는 비교대근무 근로자는 교대근무 근로자들에 비해 신체활동이 적고, 직무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으며, 식습관은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식습관 평가 점수는 비교대근무 근로자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설문조사가 재직근로자의 일부에 국한되었고, 대상자들의 설문결과 근무형태와 무관하게 전반적으로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무직과 생산직 근로자를 포함한 비교대 근로자가 생산직 교대 근무자들에 비해 식행동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직무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가 단면연구로서 서로의 인과관계를 유추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로는 사무직과 생산직에 근무하는 비교대 근로자 간에, 혹은 생산직에만 근무하는 비교대 근로자와 교대근로자 간의 식습관과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비교하는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사무종사자의 직업 특성과 고혈압의 관련성 (Association of Work-related Characteristics and Hypertension among White Collar Workers)

  • 김채봉;김규상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18-427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work related characteristics and hypertension among white collar worker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ir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KWCS) conducted in 2011 among workers 15 years of age or older.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included in the analysis was 10,365 white collar workers. Results: The prevalence rate of hypertension was 3.7% among men and 1.0% among women. In multiple logistic analysis the adjusted odds ratio showed statistically effective association to hypertension. For work related characteristics, 1.73 (95% confidence interval, 1.22-2.46) resulted for large-company workers compared with the small-company group, 2.14 (95% CI, 1.22-3.75) for the long working hours group (61 or above) compared with short working hours group(52 or below), 1.78(95% CI, 1.08-2.95) for night shift workers compared with day workers, and 1.54 (95% CI, 1.18-2.01) for high job stress workers compared with low job stress worker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important for workers to manage their work environment in order to prevent hypertension by modifying their types of work.

고정근무간호사와 교대근무간호사의 건강상태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Health Statu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on Day Shift and Nurses on Night Shift)

  • 김현주;한영미;성미혜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2-39
    • /
    • 2007
  • Purpose: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se the health statu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Method: The subjects were a group of 90 nurses on fixed day nurse and the other group of 100nurses on night nur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using the SPSS WIN(10.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2-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years in services. In nurses on day shift, there was a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health status and job satisfaction. And in nurses on day shift, job satisfaction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personality, satisfaction to pay, and current health status. In nurses on night shift, nurses' job satisfaction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satisfaction to pay.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health of nurses is greatly affected by shift work. so,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and promote their health status in nurses on night shift. We must find out the factors that greatly affect health of nurses, and continuously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 PDF

교대근무 간호사의 주관적 수면특성과 우울성향 (Su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of shift Nurses)

  • 정숙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5-163
    • /
    • 1998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tating shift work on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sleep and mental depression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on 405 shift workers and 153 nonshift workers who were nurses employed. in three university hospital. The questionnaire form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elf rating depression scale(SDS) and circadian type questionnaire(CTQ) factor R(rigidity/flexbility of sleeping habit) and factor V(inability/ability to overcome drowsi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ean score of CTQ R in shift work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nonshift worker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TQ V was observed between two groups. 2. Mean score of S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hift workers(44.1) than in nonshift workers(39.8). 3. Mean self rating depression scale scores of pervasive affect, physiologic equivalents and psychological equival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hift workers than in nonshift workers. 4. In shift worker, mean SDS score was the highest in confusion and followed by diurnal variation, retardation, and indeciveness in the descending order. In nonshift worker, that score was the highest in decreased libido and followed by confusion, and indeciveness in the descending order. 5. Circadian type questionnaire scores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ing with Self-rating depression scale scores(r=-0.473).

  • PDF

Effect of Trunk Side Shift Exercise on the Cobb's Angle of Patients with Idiopathic Scoliosis

  • Lee, Woo-Jin;Ko, Yu-Min;Park, Ji-Wo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9권5호
    • /
    • pp.276-280
    • /
    • 2017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runk side shift exercise on the Cobb's angle. Methods: Fifty-eight subjects (control group=30, scoliosis group=28)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idiopathic scoliosis groups were divided randomly into two groups, a side shift exercise (SSE) group, and a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TSE) group. The SSE group performed side shift exercise on the developed chair training for eight weeks. The TSE group performe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A oneway ANOVA tes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results within the idiopathic scoliosis patient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s based on the different exercise methods. Results: The Cobb's angles were compared among control group and SSE group and TSE group.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SSE group and TSE group(p=0.000),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SE and TSE groups (p=0.085). Conclusion: Side shift exercis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bb's angle. Therefore, the use of the side shift exercise chair designed in this study can replace general exercise either at work or during studies. Therefore, this method is easily accessible for busy modern students who are exposed to scoliosis or spinal disorders due to a pattern of inactivity.

교대근무제의 변화를 통한 기업역량 강화 (Enhancing Corporate Capability through Changes in Shift System)

  • 이영호;이정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85-392
    • /
    • 2014
  • 우리나라는 장시간 근로가 일반화 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행에 대응하여 근로시간 단축이 사회적 관심대상이 되었다. 장시간 노동은 교대제라는 매개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대제와 연계된 장시간 노동은 기업의 지속적인 수요를 맞추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본 연구는 1998년부터 4조2교대제를 도입한 유한킴벌리와 2011년 4조2교대제를 도입한 POSCO의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실천적인 시사점 발견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4조2교대제를 도입한 두 기업의 사례를 통해 제도 도입의 동기, 과정 및 이로 인한 기업의 관리방식 변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타 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공코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주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문헌연구와 현장방문조사를 병행하여 적용하였다. 유한킴벌리와 POSCO의 4조2교대는 단계적 추진, 시범운영을 통한 도입, 최종도입까지 장시간 소요, 직원 대의기구의 적극적인 역할 등 제도적용의 공통점이 존재하였다.

일부 간호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업적 손상 및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 비교 (Comparison of Physical, Mental Health Status and Work-related Injuries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f Nurses)

  • 김혜심;김윤신;홍민희;김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27-535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업적 손상 및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192명의 간호사를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근무환경과 직업적 손상에 따른 건강상태의 각각의 범주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교대근무는 고정근무에 비해 직업적 손상과 상당한 관련이 있었다. 또한 밤근무가 다른 근무형태에 비해 간호사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근무환경과 직업적 손상에 의한 그들의 건강상 문제를 고려하여 근무체계가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밤근무자들을 위한 추가적인 지원 및 효과적인 밤근무를 위한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직무스트레스가 근로자들의 신체적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Workers'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s)

  • 이종은;정혜선;이복임;김순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89-297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workers'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 using the Job Stress Model proposed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st to the 30th of December 1999. The subjects were 2.123 workers employed at 155 work sites.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through SAS/PC program. Result: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younger and women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than elder men groups. By work condition, groups with higher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included workers of irregular shift work. Dark lighting, improper temperature in winter, improper ventilation, inappropriate humidity, unpleasant work environment and crowded work pla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By work-related factor,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was high in those with higher variance in work load, quantitative work load, role conflict, job burden, role ambiguity and future ambiguity. On the other hand,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was low in those with little underutilization of ability. As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and non-work related factors,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was high in workers who had a side job, were bringing up infants alone, cleaned the house alone, cared for the elderly and disabled persons, were studying, were volunteering at another organization, and were spending 5-10 hours in religious activities per week.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 was in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overall social support, supervisory support and family support, but in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worker support. Conclusion: The main predictors of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 were gender, shift work pattern, overtime work, ventilation,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future ambiguity, job control, variance in work load, overall social support, worker with side job, worker who cleans the house alone, worker who is studying. These predictors explained 19.10% of the total variance of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