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ll fish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5초

남해도 지역이 임신후반기 임부의 영양실태 조사 (A Nurition Survey of the Latter Half of Pregnancy in Nam-Hae Do)

  • 이귀세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43
    • /
    • 1982
  •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ent and food intake and haematology of the latter half of pregnant women in Nam Hae Do. The nutrient intake study was performed by Twenty-four hour dietary recall method. As Haematology, RBC, Hb. and Hct were measured. 1. The results of nutritional survey were, 1) The mean nutrient intakes that were below the RDA were Protein, Calorie, Calcium and Iron. 2) The mean nutrient intakes that were above the RDA were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Ascorbic acid. 3) Most of calorie and other nutrients were obtained from vegetable food sources. 4) Animal protein intake was 33% of total protein intake and most of this value was obtained from fish and shell fishes. 2. The extent of malnutrition was explained in terms of the amount of calorie, protein, calcium and iron. The results were, The predicted percentage of deficiency, in case of Calorie, 53.3% of total subjects. in case of Protein, 52% of total subjects. in case of Calcium, 78.7% of total subjects. in case of Iron, 54.7% of total subjects. 3. The results of Haematology were, 1) The mean level of RBC, Hb and Hct were 3.76$\times$106cm/㎣, 10.47gm%, and 32.56%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lorie intake and Hct level, protein intake and RBC level, Iron intake and MCHC level.

  • PDF

우릉쉥이(Cynthia roretzi v. Drasche)의 소화효소에 대하여 (제2보) Proteinase의 효소적 성질 (Studies on the Digestive Enzyme of Cynthia roretzi V. Drasche. II. Some propeinic properties of Amylase.)

  • 서석수;양한석
    • 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1-55
    • /
    • 1960
  • Some enzymatic properties of Cynthia roretzi V. Drasche (Korean:U-Rung-Shei) was studied by author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optimum pH of the digestive gland proteinase ws 7.4-7.6 2. Activity of metallic ion on the Proteinase showed following order; 10$^{-3}$ M. M $n^{++}$>1-$^{-3}$ M. $Co^{++}$>10$^{-4}$ M. $Mg^{++}$\ulcorner10$^{-2}$ M.S $r^{++}$. Inhibition of metallic ion on the Proteinase showed following order: 10$^{-3}$ M. A $g^{+}$>10$^{-3}$ M. c $d^{++}$>10$^{-3}$ M. P $b^{++}$>10$^{-3}$ M. Z $n^{++}$ 3. The digestive gland enzyme inactivated at 70.deg. C, but no influence at 50.deg. C. 4. When the enzyme concentration increase 2 times, and 3 times, the enzymatic activity also increase, but not proportionally 5. The digestive gland Proteinase showed remarkably higher enzymatic activity than the intestinal Proteinase. 6. The digestive gland amylase brom the ascidion showed remarkably higher enzymatic activity than the heptaponcreatic amylase from shell fish (Turbo (Batillus) Cornutus Solander).).er).).).er).).

  • PDF

꽃게를 첨가한 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Blue Crab)

  • 김지현;박기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6-259
    • /
    • 2014
  • 본 연구는 김치의 염도를 낮추고 영양과 기능성을 높이고자 꽃게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최적의 꽃게첨가김치제조 표준레시피를 확정하고자 실시하였다. 꽃게살을 10g, 30g, 50g, 70g, 90g으로 첨가량을 달리하여 김치를 제조하였고, $5^{\circ}C$에서 1일, 15일, 3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일반성분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 및 숙성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H는 꽃게살 90g을 첨가한 경우 15일, 30일 경과 후 4.10, 4.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군 4.02, 4.13으로 나타나 꽃게 첨가량이 많음에 따라 숙성과정 중 pH변화가 적었다. 산도는 0일째에 대조군 0.5%, 꽃게첨가군 모두 0.7%였으며, 꽃게살 70g 첨가 15일 숙성김치 0.87%, 30일 숙성김치 1.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염도는 대조군 1.26%, 꽃게살 70g 첨가시 1.00%, 90g첨가시 0.93%로 젓갈을 줄이고 꽃게살을 증가시킴으로써 염도는 감소하였다. 유산균수는 꽃게살을 50g 첨가한 김치가 숙성되는 동안 급격히 증가하였다. 김치숙성 중 맛에 영향을 미치는 유리아미노산함량은 대조군 372.6mg%, 꽃게를 첨가한 김치 537.5mg%로 꽃게를 첨가한 경우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taurine, threon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phenylalanine 성분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꽃게육수와 꽃게살을 50g첨가하고 $5^{\circ}C$에서 15일간 보관한 김치의 색, 향,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젓갈을 줄이고 꽃게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는 숙성되어감에 따라 감칠맛, 숙성된 맛의 기호도가 증가하고 염도는 감소하며 산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전구체 및 정제 부산물의 첨가가 산란계의 산란율, 계란 품질 및 면역 관련 혈액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Precursor and Produce Supplementation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Bloo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Laying Hens)

  • 유종상;신승오;조진호;진영걸;김효진;황염;김영준;황광연;김정우;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3-180
    • /
    • 2007
  • 본 연구는 CLA 전구체 및 정제 부산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율, 계란 품질 및 면역 관련 혈액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32주령 ISA Brown 252수를 공시하였으며, 5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설계는 1) CON(basal diet + oat 1% + soybean oil 1%), 2) WOS(basal diet + whey 0.5% + oat 0.5% + soybean oil 1%), 3) WS(basal diet+ whey 1% + soybean oil 1%), 4) WOCLA(basal diet + whey 0.5% + oat 0.5% + CLA produce 1%), 5) WCLA(basal diet + whey 1% + CLA produce 1%) 및 6) FOCLA(basal diet + Fish oil 0.5% + oat 1% + CLA produce 0.5%)로 6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7반복, 반복당 6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난각 두께는 시험 4주에서 WOS 및 FOCLA 처리구가 WOCLA 및 WCLA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난중은 시험 4주에서 WOS 및 FOCLA 처리구가 WS 및 WCLA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황고, 난황색 및 호우 유닛에 있어서 FOCLA 첨가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종료 시 IgG에 있어서 WOS 및 FOCLA 처리구가 대조구, WS 및 WOCLA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어유, 정제 부산물 및 귀리의 첨가는 난각 두께, 난황고, 난황색 및 호우 유닛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CLA 전구체의 첨가 급여는 혈액 내 IgG의 함량을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시켰다.

참전복 치패 사료의 지질원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Lipid Sources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ucs hannai))

  • 이상민;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81-390
    • /
    • 1998
  • 참전복 치패용 배합사료의 적정 지질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카제인과 북양어분을 각각 단백질원으로 하고 지방산과 지질원을 달리 첨가하여 3회에 걸쳐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세 실험 모두 평균체중 160mg의 치패를 각 수조에 100마리씩 수용하여 사료마다 3반복으로 20주간 사육 실험하였다. 1. 카제인 사료에 지방산 첨가 효과, 단백질원을 카제인으로 하여 지방산이 달리 첨가된 6종의 사료(지방산 무첨가구, 12 :0, 18 : 1, 18 : 2, 18 : 3 및 n-3HUFA첨가구)로 사육실험한 결과, 생존율, 최종 평균체중, 증체율 및 가식부 중량도 사료의 지방산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P>0.05). 반면에 평균 각장은 지방산 무첨가구(fat-free)와 n-3HUFA첨가구가 가장 낮아서 18 : 1과 18 : 2 첨가구와 유의차를 보였다(P<0.05).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실험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p>0.05), 지질은 지방산 무첨가구가 0.5%로 18 : 1 첨가구의 0.7%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카제인 사료에 지질원 첨가 효과 단백질원을 카제인으로 하여 오징어 간유(SO), 옥수수유(CO), 우지(BT), SO+CO및 SO+BT를 각각 5%씩 첨가한 배합사료로 사육 실험한 결과, 생존율은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05), 최종평균체중, 증체율 및 각장은 SO, SO+CO 및 SO+BT(n-3HUFA 함량: 0.5%) 실험구가 CO및 BT 실험구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가식부 평균중량도 SO+CO 및SO+BT 실험구는 SO 실험구와 유의차없이 좋은 결과를 보였지만, CO및 BT가 실험구는 SO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실험 종료시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사료의 지질원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지질함량은 SO가 첨가된 실험구(SO, SO+CO, SO+BT)가 CO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5). 3.어분 사료에 지질원 첨가 효과 실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단백질원으로 어분이 첨가된 사료에 지질은 첨가하지 않은 사료와 SO, CO, BT, SO+CO 및 SO+BT을 각각 5% 첨가한 사료로 사육한 결과, 생존율은 실험구가에 유의차가 없었으나(P>0.05), 증체율은 BT와 SO+BT 실험구가 지질 무첨가구 (지질함량 : 2.2%), SO 및 CO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실험종료시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사료 지질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지질은 사료 지질 함량과 지질원에 영향을 받아 지질 무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이사의 결과들로부터 참전복 치패용 배합사료에는 n-3HUFA가 0.5%이상 함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어분이 첨가된 사료에 지질이 2%이상일 때는 지질을 추가로 첨가할 필요는 없으며, 지질을 추가할 경우 우지보다는 어유나 식물성기름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산란계에 항산화물질 급여가 텔로미어 함량 및 난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Anti-oxidant Supplementation on Telomere Length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이민희;이상호;김영주;고영현;장인석;문양수;최양호;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67-274
    • /
    • 2008
  • 천연식물자원들 중에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다양한 소재들이 소개되고 있다. 이들 중 가시오갈피와 두충과 같은 소재는 항산화 효과뿐만 아니라 약용으로서도 널리 입증된 천연식물성 소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용 산란계에 이들 소재의 첨가 급여가 개체의 생리활성도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텔로미어의 함량을 비교 분석하고, 생산된 계란의 난질을 조사하였다. 시험 분석은 하이라인 브라운 상업용 실용 산란계 360수를 이용하여 가시오갈피 및 두충을 각각 사료 급여량 대비 0.5%와 1%를 첨가하였다. 급여 시기는 초기 산란기($20{\sim}30$주령) 및 후기 산란기($60{\sim}70$주령)로 제한하고, 30주령 말과 70주령 말 개체의 혈액 및 각종 조직들의 텔로미어 함유율과 생산한 계란의 품질을 양적형광접합보인법(Q-FISH) 및 난질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가시오갈피 및 두충 급여에 따른 각 조직별 텔로미어 함량을 비교 분석한 바 산란 초기에 증식성 세포인 백혈구 내 텔로미어 함유율은 모든 첨가 급여구가 무 첨가구에 비해 현저히 높은 함량을 보이고 비 증식성 세포에 있어서는 처리구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산란 후기 시 첨가 급여에 따른 모든 조직들의 텔로미어 함량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시오갈피 및 두충의 첨가 급여가 난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바 산란 초기에 난중, 난백고, 호우 유니트는 첨가 급여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고, 난각 두께, 난각색, 난황색, 난각 무게 및 난각 밀도는 처리구별 차이가 없었다. 반면 산란 후기에서는 급여처리간 난질에 미치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항산화 물질의 급여가 성장기 개체의 생리 활성도 및 생체기능을 향상 시킨다는 것을 강력히 뒷받침하는 증거로서 산란계에 있어 산란 초기에 소량의 가시오갈피와 두충의 첨가는 체내에 미치는 독성 없이 개체의 기능성 증가와 더불어 난 형성에 매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Sexual Maturation, Sex Ratio and Hermaphroditism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on the West Coast of Korea

  • Chung Ee-Yung;Seo Young-Ho;Park Kwan Ha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권1호
    • /
    • pp.82-93
    • /
    • 1998
  • Monthly changes of the gonad follicle index (GFI), reproductive cycle, egg-diameter composition, first sexual maturity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were studied based on the samples which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intertidal zone of Poryong west coast of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1996. C. gigas, is dioecious, while a few individuals are alternatively hermaphroditic. Monthly variation of gonad follicle index (GFI) used for determination of spawning period, coincided with the reproductive cycle. GFI increased from April when seawater temperatures gradually increased and reached the maximum in May. And then, GFI sharply decreased from June to September due to spawning.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can be divid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in females, early active stage (March to April), late active stage (April to May), ripe stage (May to August), partially spawned stage (June to September) and spent/inactive stage (September to February); in males, early active stage (February to March), late active stage (April to May), ripe stage (May to September), partially spawned stage (June to September) and spent/ inactive stage (September to February). The diameter of fully mature eggs are approximately 50um. Spawning occurred from June to September, and two spawning peaks were observed in June and August when the seawater temperature was above $20^{\circ}C$. Percentages of the first sexual maturity of males of 20.1-25.0 mm in shell height were over $50\%$, while those of females of 25.1-30.0 mm in shell height were over $50\%$. All the males of > 30.1 mm and all the females of ^gt; 35.1 mm completed their first sexual maturity. The results suggest that C. gigas has a protandry phenomenon. Sex ratios of 919 oysters observed were 453 females $(49.29\%)$, 429 males $(46.68\%)$, 16 hermaphrodites $(1.74\%)$, and 21 indeterminate individuals $(2.29\%)$. In age class I, sex ratio of males were $64.00\%$, thus, a higher percentage than that of females. It was noted that $64.00\%$ of the young males (age class I) were more functional than females in age class I, but 2-3 year-old oysters showed higher percentage of females. Percentages of hemaphrodites in 2-3 year class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other year classes. Histological pattern of hermaphrodite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ype I (hermaphrodite having a number of newly formed developing oocytes on the oogenic tissues within a degenerating spermatogenic follicle after discharge of numerous spermatozoa) and Type II (hermaphrodite having two separate follicles in the same gonad).

  • PDF

광합성 섬모류 Mesodinium rubrum MR-MAL01의 응용성(1) 이매패류 종묘생산을 위한 먹이생물 유용성 (Applicability of a Photosynthetic Ciliate, Mesodinium rubrum MR-MAL01 -Usefulness as a Live Prey Species for the Marine Aquaculture of Bivalves-)

  • 김형섭;명금옥;조수근;이원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5-121
    • /
    • 2004
  • 최근, 곰소만에서 채집한 시료로부터 최초의 온대역산 광합성 섬모류 Mesodinium rubrum MR-MAL01 배양체를 분리ㆍ배양하였다. 이 섬모류를 이용하여 이매패류의 섭식실험을 수행한 결과, 비단가리비와 바지락과 같은 이매패류가 섬모류를 직접 섭식 하였음을 확인하였는데, 개체 당 최대 섭식률은 비단가리비 9,590 cells $min^{-1}$, 바지락 23,200 cells $min^{-1}$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단가리비의 소화관에서 완전한 M. rubrum세포를 확인하지 못했으나, 파괴된 세포로 생각되는 작은 입자들을 관찰하였다. 바지락 치패에 섬모류인 M. rubrum과 미소조류인 Isochrysis galbana (KMCC H-2)를 공급하면서 28일 동안 사육한 결과, 작은 치패 그룹(각장 0.46 mm)에서는 I. galbana를 공급한 실험구가 좋은 성장을 보였던 반면, 큰 치패 그룹(각장 0.84 mm)에서는 M. rubrum을 공급한 실험구가 I. galbana를 공급한 실험구에 비해 성장이 좋았다. 따라서 이 광합성 섬모류는 이매패류의 치패 및 모패와 입이 작은 자어의 먹이생물, rotifer의 영양강화제 및 어류의 천연 착색제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어 해양 생물공학적 활용을 위한 생물재료로서 개발 가능성을 제안한다.

외식급식산업에 있어서 국(탕)이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Soup(Tang) upon Customers Royalty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Korea)

  • 이영남;노성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82-493
    • /
    • 2003
  •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stress the thoughts that soups should be offered taking into account customer's preference aimed at leading to eventual customer's satisfaction and the importance that Korean traditional food should take the lead in shifting dining-out industry's paradigm to customer-orientation instead of product-orientation. From August 15 through August 30, 2003, the drawn-up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o 500 numbers of adults aged over 20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city of Korea and the finally collected 361 questionnaires from them have been analysed as a subject for this study. It showed that the male respondents(44%) dined out much more frequently than the female respondents(35%) and their rate of 5,000-7,000 Won for a meal was most preferred as their average expenditure at one sitting in the restaurant. When eating Korean food at home or in a restaurant, the majority(5l,3%) of them think the soups(Tang) should be served coupled with their ordered meals. Among soups using flesh and meat as a staple material, they most preferred beef & bone soup(33.2%), followed by beep rib soup(30.4%) and beef soup with seasoned red pepper(l0.8%), and among soups using fish & shell and crustacean as a staple material, most preferred were hot fish soup(20.6%), loach soup(l5.2%) and hot crab soup(11.4%). Among soups using beans as a staple material, they most preferred soybean paste stew(33.2%), uncurdled soybean curd stew(29.4%) and Dambuk stew(l5.8%). Among soups using fowls and birds as a staple material, chicken soup with ginseng(51.9%), plain chicken soup(l8.4%) and chicken soup with red pepper sauce(l2.3%) falls on the most preferred. Among soups using vegetables and seaweeds as a staple material, most preferred are sea mustard soup(25.3%), Kimchi soup(16.8%), soybean paste soup with Chinese cabbage(13.0%) and bean sprout soup(10.1%). The soups(Tang) most preferred in the morning time are those soups whose staple materials are vegetables and seaweeds, such as sea mustard soup, bean sprout soup, Kimchi soup and soybean paste soup with Chinese cabbage while the soups most preferred for the lunch time are beef & bone soup, beep rib soup, chicken soup with ginseng and beef soup with seasoned red pepper while beef soup with seasoned red pepper, beef & bone soup, soybean curd stew and Kimchi soup are most preferred soups for the dinner time. The survey showed that 41 % of the subject preferred chicken soup with ginseng for a food considered good by themselves for their health. The male respondents preferred Bosin-tang(soup of edible-dog meat) than the female counterparts did, while the female respondents preferred chicken soup with ginseng than the male counterparts did. The survey showed that when eating korean traditional food, 70% of the subject are visiting a restaurant where soups are cooked delicious while 61% of the subject think that price does not matter if only food tastes good, which is reflecting that taste of food is a decisive factor in selecting menu rather than its price is. In conclusion, you can say that taste of soup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creating steady customer in the restaurant, taking it into account Korean people most prefer their traditional food when dining out.

  • PDF

우리나라 전복 양식장의 패각 천공성 다모류 감염현황 (Infestation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by the Polydora under Intensive Culture Conditions in Korea)

  • 원경미;김병학;진영국;박영진;손맹현;조미영;박명애;박민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39-148
    • /
    • 2013
  • 패각 및 석회기질을 천공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Polydora 속(Polychaeta, Spionidae) 다모류는 종종 전복을 포함한, 상업적으로 중요한 패류에 침입하여 성장률 및 육중량 감소와 상품가치를 하락시키다. 2012년 우리나라 전복 가두리 양식장 10개소를 대상으로 패각 천공성 다모류의 감염현황을 조사한 결과, 활전복에서는 5~99%, 죽은 전복 패각에서는 5.3~70.3%의 감염률을 보였다. 이들 전복은 진주층으로 덮힌 blister 및 패각변형이 일어났으며 패각 표면에는 Polydora가 서식하는 도관(burrow)으로 연결된 2개의 구멍이 확인되었다. 여기에서 분리된 Polydora는 성체의 길이가 40mm 이상으로 검은 띠가 있는 두드러진 palps, 꼬리 말단부위의 원반형 pygidium 및 4개의 eyespots을 가지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복 가두리 양식장의 패각 천공성 다모류 감염현황에 대한 첫 보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