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hear performance

검색결과 2,276건 처리시간 0.044초

거세한우 비육후기 농후사료 에너지 수준이 육질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ergy Level of Concentrate Feed on Meat Quality and Economic Evaluation in Finishing Hanwoo Steers)

  • 백봉현;홍성구;권응기;조원모;유영모;신기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447-456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nergy level of concentrate feed in finishing Hanwoo steers for 6 months before slaughter. Feeding trial was done with 2 treatment groups, IDN72 (72% of TDN in concentrate) and TDN74 (74 % of TDN in concentrate). The body weight (from 19 to 24 months) tended to be higher in TDN74 than in TDN72, but was not significant. Average daily gain of TDN74 was higher by 4.4 % in comparison to TDN7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ntrate, dry matter and TDN intake per I kg body weight gain between TDN72 and TDN74. And there was a tendency to improve crude protein intake per I kg body weight gain by increasing TDN content from 72 to 74 %. The dressing percentage tended to be higher in TDN74 than in TDN72, but was not significant. Salable meat percentage tended to be lower in TDN74 than in TDN72 because of higher body fat percentage in TDN74 than in TDN7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bling score, meat color, fat color, carcass weight, rib-eye area and back fat thickness between TDN72 and TDN74.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shear value, cooking loss, water holding capacity or moisture and protein contents of longissimus dorsi (LD) muscles between TDN72 and TDN74. Fat content of LD muscles tend to be lower in TDN74 than in IDN72 but without any significance. There was a tendency to improve juiciness and taste by feeding IDN74 rather than TDN72. Especially, tenderness of TDN74 was increased by 7.4% in comparison to TDN72 (p < 0.05). Gross income from TDN74 was higher than TDN72 by 5% The results suggest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growth performance, feed conversio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between TDN72 and TDN74. The results also show that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clarify the energy level for finishing Hanwoo steers.

원통형 구조물에서 비틀림 유도초음파 변환을 위한 모듈형 자기변형 트랜스듀서 개발 (Development of a Modular Magnetostrictive Transducer for Torsional Guided Wave Transduction in a Cylindrical Structure)

  • 조승현;박재하;권휴상;안봉영;이승석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27-435
    • /
    • 2009
  • 배관, 축 등과 같은 원통형 구조물은 산업설비에 널리 이용되고 그 중요성으로 인해 지속적인 건전성 평가를 요구하는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이러한 원통형 구조물의 비파괴평가를 위해 자기변형 패치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비틀림 유도초음파 검사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자기변형 패치 트랜스듀서가 민감도 증가를 위해 자기변형 성능이 큰 강자성 패치를 구조물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의 소모를 비롯한, 많은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기존 트랜스듀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원통형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한 비틀림파 변환용 모듈형 자기변형 트랜스듀서를 개발하였다. 제안한 트랜스듀서는 모든 구성요소가 모듈 내부에 집적되어 강자성 패치를 구조물에 따로 부착하는 대신, 전단 커플런트를 이용한 액상접촉이나 매개물을 사용하지 않는 건식접촉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비틀림 유도초음파 시험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세한 구조와 구동원리를 기술하고 탄소강 시편을 대상으로 실험적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제안한 트랜스듀서의 성능 및 응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문화재 복원용 속(速)경화형 Epoxy계 수지의 가속열화시험 및 고장분석 연구 (Accelerated Degradation Test and Failure Analysis of Rapid Curing Epoxy Resin for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 남병직;장성윤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67-48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 복원용 속(速)경화형 Epoxy계 수지인 $Araldite^{(R)}$ rapid의 온도 스트레스에 의한 열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인장강도 및 접착강도는 $40{\sim}60^{\circ}C$에서 12,624시간까지 감소하여 내구성 및 접착특성의 미약한 열화가 발생하였다. 외부 응력 및 온도에 대한 안정성은 속(速)경화형에 비해 일반 경화형 Epoxy계 수지가 우수하여, 복원부의 강도 특성 및 응력 상태를 고려한 복원재료의 적절한 선택과 적용이 요구된다. $40{\sim}60^{\circ}C$에서 12,624시간까지 색차의 증가와 광택도의 감소 등 색상 및 광택 안정성은 취약하여, 향후 광학특성의 개선을 위한 안정성 향상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접착제의 열적 특성(중량감소량, 열분해온도, 유리전이온도)은 기계적 물성 변화에 부분적으로 관여하였고, 피착재의 계면 특성 및 접착제의 기체투과특성(수분투과도)은 접착성능의 중요인자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도자기, 벽돌 및 석재와 같은 다공성 재질의 경우 항온항습에 의한 보존환경 관리가 중요하며, 옥외 전시유물의 경우 노출환경에 의한 물성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존대책의 수립이 절실하다. 향후 이러한 결과는 문화재에 사용된 Epoxy계 수지의 열화속도 및 수명예측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상유동에서 자가팽창성 그래프트 스텐트의 수력학적 특성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Self-expandable Graft Stents in Steady Flow)

  • 이홍철;김철생;박복춘;박복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7-44
    • /
    • 2003
  • 본 실험연구에서는 정상유동상태에서 새롭게 설계된 자가팽창성 그래프트 스텐트의 수력학적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코팅 재질이 다른 두 개의 그래프트 스텐트와 한 개의 타이티놀 금속스텐트가 실험에 사용되었으며, 유량이 가자 5, 10, 15 1/min에서 스텐트 전후에서의 압력변화 및 속도분포를 측정하였다. 스텐트 삽입에 의한 압력손실은 유량이 증가함에 지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15 1/min의 유량에서 다공성 PTFE 그래프트 스텐트와 TiNi 금속스텐트의 압력손실은 거의 동일하나 PU 그래프트 스텐트는 약 6배 이상의 현저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스텐트 후류에서의 속도분포는 다공성 PTFE 그래프트 스텐트와 TiNi 금속스텐트는 유량에 관계없이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PU 그래프트 스텐트에서는 특히 유량이 10 1/min 이상에서 속도분포가 비대칭적이고 관 중심에서의 상대적인 낮은 유속을 보여주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벽면전단응력 및 수직응력의 증가론 초래하고 있다. 이와같이 PU 그래프트 스텐트의 상대적으로 낮은 수력학적 성능은 스텐트가 보다 작은 관에 삽입되었을때 코팅재질의 낮은 유연성으로 인하여 스텐트의 표면에 주름이 발생하여 유동단면이 비대칭적으로 되고 벽면의 조도가 증가하며, 관벽과 스텐트와 틈새가 존재하여 제트류가 형성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헥사그리드 고층건물구조의 예비설계를 위한 단순모델 (Simple Model for Preliminary Design of Hexagrid Tall Building Structure)

  • 이한울;김영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3-20
    • /
    • 2017
  • 시대적 흐름에 따라 고층 건물은 정형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비정형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있고 최근에는 외주골조에 기하학적 그리드 패턴으로 부재를 배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헥사그리드구조의 부재선정을 위한 소요단면2차모멘트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헥사그리드 고층건물의 외주골조에 동일한 단면을 사용한 기존연구와는 다르게 수평 대각 부재와 모듈의 위치에 따라 부재사이즈를 변경하였다. 헥사그리드 유닛사이즈가 구조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모듈의 높이를 1개층, 2개층, 4개층 높이로 한 60층 건물을 설계하여 해석하였다. 15개 건물에 대한 최대 횡변위, 철골량, 중력하중과 횡하중에 대한 외주골조의 횡력 분담비율, 부재의 조합 강도비를 비교하였다. 헥사그리드 구조의 횡력분담 능력이 다이아그리드 구조에 비해 작아서 헥사그리드 구조에서는 코어골조에 적절한 횡강성을 배분해야 한다. 휨변형 대 전단변형의 비는 4가 가장 적합하였고 부재간 접합에 따른 시공비용 및 구조적 효율성으로 판단할 때 헥사그리드 유닛이 큰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건물의 최대 횡변위가 제한치의 84%~108%로 나와 헥사그리드 건물의 예비설계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방콕의 터널공사 - 두 개의 사례연구 (Tunnelling in Bangkok - Two Case Studies)

  • 테브라스카 완차이;조계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53-16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타이 방콕의 지하철 터널현장과 홍수방지용 터널현장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사례연구는 복식터널인 방콕 MRT 지하철 현장으로써 터널연장이 대략 20 km이고 18개의 정거장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터널은 지표면으로부터 15~20m 깊이에 위치하는 첫 번째 단단한 실트성 점토층에 위치한다. 현장계측으로부터 얻어진 굴착에 의한 지반의 변위거동이 제시되었다. 평면변형율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역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나온 결과는 현장에서 계측된 결과와 일치하였다. 유한요소해석으로부터 산정된 전단변형율은 0.1~1.0%의 범위내에 존재하였으며, 자동보링 프래셔미터 시험으로부터 나온 결과와 비슷하였다. 한편, 두 번째 사례연구는 지하 장애물 밑으로 관통하는 EPB타입의 터널공사 현장과 관련이 있다. Premprachakorn 홍수방지용 터널은 장마시기에 홍수를 Choapraya강으로 전환하기 위한 지름길의 터널이다. 터널은 대략 지하 20~24m에 위치한 매우 단단한 실트성 점토층에 EPB타입 쉴드터널공법에 의하여 건설되었다. 터널이 이미 존재하고 있는 방콕의 주된 용수터널과 다리의 기초 아래에서 시공되는 동안에 현장계측이 수행되었으며, 이 계측결과를 유한요소해석으로부터 산정된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손상평가를 예측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지 리스크 포텐셜 방법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 PDF

지진 시 공동구용 수직구-터널 접속부 거동에 대한 경계면 강성 계수의 영향 (Effects of interface stiffness on dynamic behavior of connections between vertical shafts and tunnels under earthquake)

  • 김정태;홍은수;강석준;조계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861-874
    • /
    • 2019
  • 최근 발생한 포항과 경주 지진 이후 공동구와 같은 소단면 터널 구조물에 대한 내진 성능 평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한 차분법 기반의 FLAC3D를 사용하여 지진 하중에 대한 수직구와 수평 터널 구조물에 대한 3차원 동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지반과 구조물 사이 경계면 특성을 고려한 지반-구조물 상호 해석 시 중요 인자인 경계면 강성 계수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하였다. 매개변수 해석을 통해 경계면 강성 계수는 지하 구조물의 전체 동적 거동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접속부의 국부적인 변위 거동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경계면 강성계수의 크기는 접속부에서의 변위와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직 응력 및 전단 응력에 대해서는 비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수치 해석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경계면 강성 계수에 대한 경험적 식의 한계를 제시할 수 있었으며, 새로운 경계면 강성 계수 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Feed Consumption, Body Weight Gai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Jeju Native Cattle and Its Crossbreds Fed for Short Fattening Period

  • Oh, W.Y.;Lee, Wang-Shik;Lee, S.S.;Khan, M.A.;Ko, M.S.;Yang, S.H.;Kim, H.S.;Ha, Jong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2호
    • /
    • pp.1745-1752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evaluation of Jeju native cattle (JNC) and its crossbreds (CBK = 25 JNC: 50 Charolais: 25 Brahman and BCBK = 62.5 JNC: 25 Charolais: 12.5 Brahman) fed for a short fattening period. Eight male calves each of JNC (80.$40{\pm}10$), CBK ($113.50{\pm}12.3$), and BCBK ($100.3{\pm}9.5$) were weaned at 4 month of age and were fed similar diets for 18 months of their age. All animals were fed a growing ration until 12 months of age and thereafter switched to a fattening ration for a period of 6 months. Final body weight (BW) and BW ga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BK and BCBK compared with JNC. The CBK and BCBK gained 27.42% and 25.99% more BW, respectively, compared with JNC. The CBK and BCBK animals consumed significantly less DM than JNC to gain a unit of BW. Body weight gain, DM intake and feed conversion efficiency were similar between CBK and BCBK. Weight of hot and cold carcass, ribs, boneless meat and Longissimus dorsi muscle are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JNC and its crossbreds. The heaviest carcass was observed in CBK followed by BCBK and JNC. Carcass, chest and femur lengths were greater in CBK and BCBK compared with JNC. Chest width, chest depth and hip width were similar in JNC and its crossbreds. Femur width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CBK compared with BCBK and JNC. Femur depth and chest girth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CBK and BCBK compared with JNC. Weight and fat yield in different carcass cuts were greater in crossbreds compared to JNC. Percent moisture, crude ash, and crude protein of meat were similar in JNC and its crossbreds. Percent crude fat in beef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JNC compared with its crossbreds. Beef shear force value, percent water holding capacity, juiciness and tenderness were significantly greater for JNC compared to its crossbreds. In conclusion, CBK and BCBK have shown greater growth rates and produced heavier carcasses with good degree of fatness when compared with JNC.

Effects of Dietary Alpha-lipoic Acid on Anti-oxidative Ability and Meat Quality in Arbor Acres Broilers

  • Zhang, Y.;Hongtrakul, Kittiporn;Ji, C.;Ma, Qiugang;Liu, L.T.;Hu, X.X.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8호
    • /
    • pp.1195-1201
    • /
    • 2009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alpha-lipoic acid (LA)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in Arbor Acres broilers. A total of 240 1-d-old male Arbor Acres broilers were randomly allocated to 4 dietary treatments (0, 300 ppm, 600 ppm, and 900 ppm dietary LA supplementation, respectively). Birds were slaughtered at 42 days old. Live body weight (BW),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feed intake (AFI), feed conversion ratio (FCR), dressing percentage, breast muscle percentage, thigh muscle percentage, abdominal fat percentage, muscle color (L*, a*, b*), pH values at 24 h postmortem, meat shear force value (SFV) and anti-oxidative ability were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addition of 600 ppm or 900 ppm LA decreased BW (p<0.01), ADG (p<0.01) and AFI (p<0.05) compared with other diets. FCR was not affected by dietary LA content. LA had no marked effect on dressing percentage, breast muscle percentage or thigh muscle percentage. Abdominal fat percentage was lower (p<0.05) in the 900 ppm LA supplementation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Dietary 900 ppm LA increased (p<0.05) breast and thigh muscle pH value at 24 h postmortem compared with the control treatment. Dietary LA increased thigh muscle a* value, 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igh muscle a* value among the treatments. Dietary LA significantly decreased breast muscle L* value (p<0.05), breast muscle b* value (p<0.01) and thigh muscle b* value (p<0.05). Broilers fed LA had higher breast muscle a* value (p<0.05) and thigh muscle L* value (p<0.05). All test groups had lower (p<0.05) breast muscle SFV than the control group. Dietary 600 ppm or 900 ppm LA both decreased (p<0.01) thigh muscle SFV compared with the control treatment. Dietary 900 ppm LA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TAOC, SOD and GSHPx compared with no LA treatment. Broilers fed LA had lower (p<0.01) MDA compared with the control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ietary LA enhanced the anti-oxidative ability and oxidative stability, and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meat quality in broilers.

도자기 복원용 DGEBA/TETA Epoxy계 수지의 온도에 의한 열화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egradation Properties of DGEBA/TETA Epoxy System for Restoration of Ceramics by Temperature)

  • 남병직;장성윤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73-386
    • /
    • 2015
  • 본 연구는 문화재 복원용 일반 경화형 Epoxy계 수지 Araldite$^{(R)}$ AY103-1/HY956의 온도 스트레스에 의한 열화특성을 고찰하였다.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는 $34{\sim}45^{\circ}C$에서 6,480시간까지 증가하여 내구성의 열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외부 응력 및 온도에 대한 안정성은 인장강도에 비해 압축강도가 우수하여, 복원 재료의 강도 특성 및 응력 상태를 고려한 보존처리 방침의 수립이 요구된다. 인장전단 접착강도는 $40{\sim}60^{\circ}C$에서 4,320시간까지 감소하여 접착 특성의 열화가 발생하였으나 특성 변화는 비교적 작았다. 도자기와 같은 다공성 시스템의 경우 Pore Network 등 피착재의 계면특성이 접착제의 성능 변화에 관여하므로, 항온 항습에 의한 보존 환경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광택도는 $34{\sim}45^{\circ}C$에서 6,480시간까지 감소하였고, 색차는 증가하여 광학 특성의 열화가 발생하였다. 광택 안정성은 우수하였으나, 색상 안정성은 취약하여, 향후 광학 특성 개선을 위한 노력이 재고되어야 한다. 특히 전시 유물의 경우 조명 및 태양 광선에 의해 대상 유물 및 복원 재료의 표면 온도 상승이 우려되므로, 노출 환경에 따른 물성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제적 보존 대책이 수반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