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ar connecte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CLT-콘크리트 합성 거동을 위한 전단 연결재 부재 실험과 해석 연구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y of Shear Connectors for the CLT-Concrete Composite Floor System)

  • 박아론;이기학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65-73
    • /
    • 2019
  • This paper assesses the structural performance (force-slip response, slip modulus, and failure modes) of a CLT-concrete composite by conducting fifteen push-out test specimens. In addition, non-linear 3D finite element analysis was also developed to simulate the load-slip behavior of the CLT-concrete specimens under shear load. All 15 test specimens simulating the effect of concrete thickness, connection angle and penetration depth with four different shear connector types were built and tested to evaluate the flexural performanc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aximum shear capacity for the composite action is obtained when the fixing angle is $90^{\circ}$ and the penetration depth of 95mm for SC normal screw was used to achieve ductile failure compared to other shear connectors.

H형강을 사용한 합성트러스의 합성효과 (The Composite Action of Composite Truss Using H-Shaped Section Steel)

  • 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637-646
    • /
    • 2009
  • 바닥슬래브가 있는 경우 국내에서 설계되는 트러스보는 바닥 슬래브와의 합성효과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상하현재를 H형강으로 구성한 합성트러스를 사용하여 기본적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는 합성트러스의 역학적 거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단연결재의 유무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체로서는 철골트러스, 비합성 및 합성트러스 등으로 이루어지며 가력방법으로는 중앙집중재하와 균등휨의 두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시어 커넥터를 사용한 합성트러스의 합성효과가 실험적으로 확인되어졌다.

중단열 시스템의 문제점 분석 (Problem Analysis of Sandwich Insulation Wall System)

  • 박준호;유정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66-167
    • /
    • 2015
  • Because of energy crisis at all around the world, there is many method and system which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has appeared in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n, 20% of entire building energy loss is emissed to exterior of buildings, that is important to building's entire energy efficiency. So, man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r imporve exterior energy efficiency and generally it called insulation of wall. Method for wall insulation can be classified interior system and exterior system which defined installation place of insulation board whether interior or exterior of structural wall. However, interior system has thermal problem such as thermal-bridge which can be necessarily occur condensation. and exterior system has constructional problem such as difficult to construction because exterior and finish work so expensive construction cost than other insulation method. Thus, sandwich insulation wall system has been appeared for solving these problems. Sandwich insulation system must using wall connecting things because both side walls is divided by center insulation. At this, Through the heat at wall connecter, it can be occured thermal-bridge and broken insulation board when under construction will be bring negative effect by reducing wall thickness and insulation deficit. At this study, we were compared previous sandwich insulation system and analysis these system's problem for develop the improving constructability and performance of sandwich insulation system.

  • PDF

고강도 T형강을 사용한 합성트러스의 합성효과 (The Composite Effects of Composite Truss using High Strength T-shaped Steel)

  • 채대진;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37-645
    • /
    • 2012
  • 슬래브와 트러스 보의 합성효과를 고려한 합성트러스의 경우 단순히 고정하중으로 취급되던 슬래브를 구조체로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구조재료를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구조체의 강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장스팬 설계의 중요 변수인 사용성 측면에서도 상당한 이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슬래브 하부에 다양한 설비 시설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보의 춤이 깊어지는데 대한 단점을 상당부분 상쇄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합성 트러스 시스템을 개발함에 있어 상하현재를 600MPa급 고강도강을 사용하여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스터드 커넥터의 유 무에 따른 합성 트러스의 역학적 거동 특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하현재로 일반강재를 사용한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고강도강으로 T형강을 사용한 경우는 일반강재를 T형강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구조성능에서 더욱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T형강을 사용한 합성트러스의 합성효과 (The Composite Effects of Composite Truss using T-Shaped Steels)

  • 이명재;최병정;김희동;강덕경;심민주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599-608
    • /
    • 2010
  • 트러스의 상현재와 콘크리트 슬래브가 합성 거동하는 합성 트러스는 장스팬에 경제적인 구조시스템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서 설계되는 대부분의 트러스 보는 바닥슬래브와의 합성효과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고 있다. 슬래브와 트러스 보의 합성효과를 고려할 경우에는 단순히 고정하중으로 취급되던 슬래브를 구조체로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구조 재료를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구조체의 강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장스팬 설계의 중요 변수인 사용성 측면에서도 상당한 이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슬래브 하부에 다양한 설비 시설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보의 춤이 깊어지는데 대한 단점을 상당부분 상쇄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합성 트러스 시스템을 개발함에 있어 국내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여 국내 설계 및 시공 현장에서 바로 적용하기 위한 초기단계의 연구로서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스터드 커넥터의 유 무에 따른 합성 트러스의 역학적 거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