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ar bond strength test

검색결과 428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s of air-abrasion pressure on the resin bond strength to zirconia: a combined cyclic loading and thermocycling aging study

  • Al-Shehri, Eman Z.;Al-Zain, Afnan O.;Sabrah, Alaa H.;Al-Angari, Sarah S.;Dehailan, Laila Al;Eckert, George J.;Ozcan, Mutlu;Platt, Jeffrey A.;Bottino, Marco C.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2권3호
    • /
    • pp.206-215
    • /
    • 2017
  • Objectives: To determine the combined effect of fatigue cyclic loading and thermocycling (CLTC) on the shear bond strength (SBS) of a resin cement to zirconia surfaces that were previously air-abraded with aluminum oxide ($Al_2O_3$) particles at different pressure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two cuboid zirconia specimens were prepared and randomly assigned to 3 groups according to the air-abrasion pressures (1, 2, and 2.8 bar), and each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2 groups depending on aging parameters (n = 12). Panavia F 2.0 was placed on pre-conditioned zirconia surfaces, and SBS testing was performed either after 24 hours or 10,000 fatigue cycles (cyclic loading) and 5,000 thermocycles. Non-contact profilometry was used to measure surface roughness. Failure modes were evaluated under opt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2-way analysis of variance and ${\chi}^2$ tests (${\alpha}=0.05$). Results: The 2.8 bar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rface roughness compared to the 1 bar group (p < 0.05). The interaction between pressure and time/cycling was not significant on SBS, and pressur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either. SBS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06) for 24 hours storage compared to CLTC. The 2 bar-CLTC group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pre-test failure during fatigu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Mixed-failure mode was more frequent than adhesive failure. Conclusions: CLTC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BS values regardless of the air-abrasion pressure used.

리기다소나무 판재(板材)의 접착조건(接着條件)이 집성재(集成材)의 접착성능(接着性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dhesion Conditions on Bonding Strength of Pitch Pine Woods for Glued-Laminated Wood)

  • 박상범;공영토;조재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48-53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리기다소나무판재(板材)를 이용(利用)하여 집성재(集成材)를 제조(製造)할 경우(境遇), 압체시간(壓締時間) 및 접착제도포량(接着劑塗布量), 목재(木材)의 함수율(含水率), Butt-joint의 틈새간격(間隔) 및 접착제(接着劑)의 종류(種類) 등(等)이 접착강도(接着强度)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遂行)되었다. 1. 리기다소나무집성재(集成材)의 제조(製造)에 수성(水性)비닐우레탄접착제(接着劑)를 사용(使用)한 결과(結果), 접착제도포량(接着劑塗布量) 200g/$m^2$, 압체압력(壓締壓力) 10kg/$cm^2$에서 12시간(時間) 압체(壓締)하면 기준강도(基準强度)(50kg/$cm^2$)이상(以上)에 달(達)하였다. 2. 판재(板材)의 함수율(含水率)의 접착력(接着力)을 크게 감소(減少)시켰으나, 고함수시(高含水時) 접착(接着)한 후(後) 기건(氣乾)하여 접착력(接着力)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100kg/$cm^2$)이상(以上)의 블록전단강도(剪斷强度)를 나타내었다. 3. 판재(板材)의 Butt joint 부분(部分)의 틈새간격(間隔)이 0.5mm이하(以下)인 경우(境遇), 강도(强度)값은 영향(影響)하지 않았고, 하중방향(荷重方向)이 접착력(接着力)과 수치(垂値)일 때가 수평(水平)일 때보다 강도성태(强度性能)이 양호(良好)하였다. 4. 시험(試驗)에 사용(使用)된 5종(種)의 접착제(接着劑) 중(中) 수성(水性)비닐우레탄수지접착제(樹脂接着劑)가 상태(常態) 및 내수접착력면(耐水接着力面)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 PDF

응력조건에 따른 고결모래의 강도정수 평가 (Effect of Stress Level on Strength Parameters of Cemented Sand)

  • 이문주;최성근;추현욱;조용순;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143-151
    • /
    • 2007
  • 고결모래의 거동은 고결정도, 상대밀도, 응력조건, 그리고 입자특성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고결모래의 강도에 영향을 끼치는 고결결합은 응력에 의해 파괴되기 때문에 고결모래의 강도정수는 응력조건을 고려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고결모래의 마찰각은 고결결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미고결 상태의 마찰각과 동일한 반면, 점착력은 고결결합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석고를 고결유발제로 하는 고결시료를 조성하여 다양한 구속압 조건에서 배수전단시험을 실시함으로써, 구속압 변화에 따른 고결모래의 강도정수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고결모래의 점착력은 고결정도와 구속압의 크기에 따라 고결지배구간, 천이구간, 응력지배구간에서 다르게 평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고결결합을 파괴시키지 않고 강도정수를 평가하기 위한 적정 구속압을 결정하기 위해 고결정도를 표현하는 일축압축강도와 고결결합을 파괴시키지 않는 최대 구속압의 관계를 결정하였다.

비선형 동적 해석을 이용한 비내진 상세 RC 골조의 지진거동 특성 분석 (A Study on the Seismic Response of a Non-earthquake Resistant RC Frame Using Inelastic Dynamic Analyses)

  • 정성훈;이광호;이수권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81-388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내진상세가 적용되지 않은 RC골조의 지진 거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해석 대상 건물은 내진 규준의 적용을 받지 않고 중력하중만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원형철근이 주철근으로 사용되었으며, 부재는 낮은 수준의 전단력을 견딜 수 있는 최소한의 스터럽이 사용되어 코어 부분의 구속효과는 거의 없다. 평면비정형성을 가진 건물의 경우, 푸쉬오버 해석을 통해서는 비틀림으로 인한 평면상에서 연단부의 손상집중을 파악할 수 없으므로 비선형 동적해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요소를 이용한 비선형 동적해석은 양방향 지진하중과 비틀림 거동의 영향을 받는 RC골조의 거동을 성공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보다 진보된 응답 예측을 위해서는 부착 미끄러짐과 같은 보-기둥 접합부의 국부거동을 정밀하게 나타내는 모델링 요소의 개발이 필요하다.

계면특성을 고려한 FRP와 콘크리트 복합부재의 역학적 거동특성 분석 연구 (Study on mechanic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FRP-concrete composit member considering interface element between FRP and concrete)

  • 이규필;박영택;황재홍;김동규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595-606
    • /
    • 2012
  • 강재의 강지적인 사용으로 인한 부식 등과 같은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체 재료로서,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선형의 섬유강화 복합재료를 아치형인 터널구조물의 부재로서 활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이 대두된다. 본 연구에서는 FRP 복합부재의 거동특성 파악을 위해 FRP와 콘크리트 합성부재에 대한 하중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역학적 거동분석을 위하여 동일 조건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하중재하 실험 및 수치해석결과, FRP와 콘크리트 계면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인 해석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복합집성재의 접착성능 (Bonding Performance of Glulam Reinforced with Glass Fiber-Reinforced Plastics)

  • 박준철;신윤종;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357-36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작업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집성재 제작용 접착제를 목재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접착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복합집성재는 접착제 종류와 혼합비에 따라 6가지 타입으로 제작하여 블록전단강도시험과 침지박리, 삶음박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레조시놀수지 접착제와 초산비닐 수지접착제, 에폭시수지 접착제를 사용한 복합집성재 3가지 타입과 레조시놀수지 접착제와 초산비닐수지 접착제를 혼합한 3가지 타입으로 총 6가지 타입으로 제작하였다. 블록전단시험 결과 모든 타입의 복합집성재가 KS F 3021 기준 $7.1N/mm^2$ 보다 높아 전단강도는 양호하였지만, 목파율에서는 초산비닐수지접착제가 65.9%로 가장 우수한 접착 성능을 나타내었다. 박리시험에서는 초산비닐수지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GFRP 접착층까지 포함된 경우 침지 박리는 1.08%, 삶음박리는 4.16%로 KS F 3021 합격기준인 5% 이하를 만족하였다. 레조시놀수지 접착제만을 사용 한 경우 목재 접착층은 침지박리 1.26%, 삶음박리 0%로 합격기준을 만족하였으나 GFRP 접착층을 포함시킬 경우 침지박리는 21.85%로 합격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고 삶음박리의 경우만 1.45%로 만족하였다.

수종의 밴드 접착 시멘트의 물성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PHYSICAL PROPERTIES FOR VARIOUS BAND CEMENTS)

  • 양규호;김기백;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27-43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밴드 시멘트들을 종류별로 이용하여 교정용 밴드의 결합강도를 비교하고, 각 시멘트의 파절 양상을 비교하여 교정용 밴드에 대한 사용지침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100개의 발거된 인간의 제 3대구치를 이용해 실험군은 총 5개의 군으로 하였으며, 각 군당 시편수가 20개가 되도록 임의적으로 분류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밴드 시멘트는 다음과 같다; Ormco gold, Ultra $Band-Lok^{TM}$, Fuji $Ortho^{TM}$ LC, 3M $Unitek^{TM}$ Multi-Cure Glass Ionomer, $Ketac-Cem^{TM}$. Universal testing machine(Instron Corp., Canton, MA, USA)를 사용하여 최대하중값을 측정하였고, 전단결합강도 값을 계산하였다. 밴드가 탈락한 후, 탈락 부위를 평가하여 법랑질과 시멘트, 시멘트와 밴드 사이로 구분하였다. 밴드의 전단강도는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Tukey 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또한 탈락 부위는 Chi-squre analysis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Fisher's exact test로 군간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실험 결과 평균 파절 강도는 Ormco군이 가장 높았고(2.44${\pm}$0.57), Fuji $Ortho^{TM}$군(2.24${\pm}$0.50), $Ketac-Cem^{TM}$군(2.10${\pm}$0.57), 3M $Unitek^{TM}$군(1.82${\pm}$0.43), $Band-Lok^{TM}$군(1.73${\pm}$0.28) 순이었으며, Ormco군은 $Band-Lok^{TM}$군과 3M $Unitek^{TM}$군, Fuji $Ortho^{TM}$군은 $Band-Lok^{TM}$군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였다(p<0.05). 파절 양상에서 Ormco군과 $Band-Lok^{TM}$군은 서로뿐만 아니라 다른 군과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였으며, Fuji $Ortho^{TM}$, 3M $Unitek^{TM}$, $Ketac-Cem^{TM}$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U형 쉘 공법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 (Earthquake Resistance of Beam-Column Connection of Precast Concrete U-Shaped Shell Construction)

  • 임형주;박홍근;엄태성;강수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741-751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U형 쉘을 사용하는 PC 모멘트 골조의 일부인 보-기둥 내부접합부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5개의 PC 보-기둥 내부접합부와 1개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보-기둥 내부접합부를 실물 크기로 제작하여 반복가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요 변수는 보 주철근비, 보 전단철근 간격, U형 PC쉘과 기둥 모서리의 보강철물 설치 유무이다. 실험 결과, 변수에 관계없이 PC 보-기둥 접합부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와 비교하여 유사한 하중재하능력, 연성능력을 나타냈다. 그러나 주기 하중동안 PC 보-기둥 접합부는 보-기둥 이음부에서 보 주철근의 부착파괴로 인한 미끄러짐 변형과 대각방향의 전단균열로 인하여 심한 강도 저하를 나타냈고, 이로 인해 현장타설 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보다 접합부의 강성과 에너지소산능력이 감소되었다.

Does the time interval after bleaching influence the adhesion of orthodontic brackets?

  • Nascimento, Glaucia Cristina Rodrigues;Miranda, Cyndi Albuquerque De;Machado, Sissy Maria Mendes;Brandao, Gustavo Antonio Martins;Almeida, Haroldo Amorim De;Silva, Cecy Martins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242-247
    • /
    • 2013
  • Objective: To test the null hypothesis that no difference exists between the effects of at-home bleaching and in-office bleaching on shear bond strength (SBS) with bracket bonding at 4 different time intervals after dental bleaching. Methods: Ninety extracted human premola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9 groups (n = 10) according to the bleaching methods used (at-home bleaching and in-office bleaching) and the storage time in artificial saliva (30 min, 1 day, 2 weeks, and 3 weeks before bonding). The control group was stored in artificial saliva for 7 days. Brackets were bonded with the Transbond XT adhesive system, and SBS testing was performed. The adhesive remnant index (ARI) was used to assess the amount of resin remaining on the enamel surfaces after debonding. The SBS data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he Tukey test. For the ARI, the Kruskal-Wallis test was performed. Significance for all statistical tests was predetermined to be p < 0.05. Results: The SBS of the unbleach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than that of the bleached groups (except for the group bonded 30 min after at-home bleaching). Conclusions: The null hypothesis was not totally rejected. All bleaching groups tested had decreased SBS of the brackets to the enamel, except for the group bonded 30 min after at-home bleaching. The SBS returned to values close to those of the unbleached enamel within 3 weeks following bleaching.

레이저 표면처리에 의한 수산화아파타이트 코팅된 타이타니움합금 경계면의 결합에너지 (Interfacial bonding Energy between Laser Surface Treated HA layer and Ti alloy)

  • 문덕수;김영곤;남상용;조현설;허은정;김석영;이준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38
    • /
    • 1997
  • The interfacial bonding energy between laser surface treated HA layer and Ti alloy substrate was investigated using a mechanical push-out tester. The initial slope of shear-stress and reduced displacement curves, maximum interfacial bond strength and bonding energy were calculated from results of the push-out test. The calculated initial slpoes are 38 MPa for the Ti alloy(A), 65 MPa for the sandblast finished specimen(B), 95 MPa for the HA plasma spray coated specimen and 49 MPa for the laser surface treated specimen(D). The maximum interfacial bonding strength are 3 MPa for the A, 19 MPa for the B, 20 MPa for the C, 10 MPa for the D. The interfacial bonding energies are $3.3\times10^{-9}J/mm^2$ for the A, $15.5\times10^{-9}J/mm^2$ for the B, $15.6\times10^{-9}J/mm^2$ for the C and $18.3\times10^{-9}J/mm^2$ for the D. Microscopic observation shows that the breaking of the laser treated specimen had been occured through the boundary between HA layer and polymer resin, but the untreated specimen had been occured through the inside of HA coating lay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