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pe characters

검색결과 500건 처리시간 0.026초

개복수초(미나리아재비과)의 분류학적 재고 (A taxonomic review of Adonis pseudoamurensis W. T. Wang (Ranunculaceae))

  • 손동찬;고성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6-323
    • /
    • 2012
  • Adonis pseudoamurensis W. T. Wang의 분류학적 실체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종과 그 근연분류군에 대한 주요 검색형질을 비롯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조사하였고, 근연분류군과의 종검색표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일본특산종인 A. ramosa Franch.는 잎 이면과 엽병에 성기게 털이 분포하고, 악편의 길이가 화피편의 길이와 거의 같은 것에 비해, A. pseudoamurensis는 잎 이면과 엽병이 무모이고, 악편의 길이가 화피편의 길이보다 짧다. 또한, A. multiflora Nishikawa et Ko. Ito는 엽선이 점첨두이고, 최종열편은 선형이며, 원줄기와 분지된 줄기에 인엽이 분포하나, A. pseudoamurensis는 엽선이 예두이고, 최종열편은 피침형이며, 분지된 줄기에는 인엽이 분포하지 않는 점에서 뚜렷이 구분되었다. 한편, A. pseudoamurensis의 특징은 원기재문과는 달리 경생엽에 엽병이 있고, 암술에 털이 있으며, 본 형질들은 근연분류군들과 공통의 형질이다.

Using Phenolic Compounds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as Distinguishing Factors to Evaluate the Diversity of Perilla Genetic Resources

  • Assefa, Awraris Derbie;Jeong, Yi Jin;Rhee, Ju-hee;Lee, Ho-Sun;Hur, On-Sook;Noh, Jae-Jong;Ro, Na-Young;Hwang, Ae-Jin;Sung, Jung-Sook;Lee, Jae-E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0-49
    • /
    • 202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in leaves of perilla genetic resources, assess whether they could be used as distinguishing factor among germplasms, and evaluate their relationship with som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orphological characters. TPC and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were determined using Folin-Ciocalteu method and UPLC-PDA system, respectively. Wide variations in TPC (7.99 to 133.70 mgGAE/g DE), rosmarinic acid (ND to 21.05 mg/g DE), caffeic acid (ND to 1.17 mg/g DE), apigenin-7-O-diglucuronide (ND to 2.21 mg luteolin equivalent (mgLUE)/g DE), scutellarein-7-O-glucuronide (ND to 5.25 mg LUE/g DE), and apigenin-7-O-glucuronide (ND to 2.81 mg LUE/g DE) were observed. Intensities of green pigment at abaxial and adaxial leaf surfac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henolic compounds whereas leaf length and width had negative correlation. Purple pigmented accessions were shorter in leaf length and width but exhibited higher amount of phenolic compounds compared to green pigmented accessions in most cases. Leaf shape was not related with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color of leaves, and length/width of leaves. TPC and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along with morphological characters could be useful distinguishing factors for perilla genetic resources.

한국산 쑥속(Artemisia L.) 산흰쑥절(sect. Absinthium)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ew of Artemisia sect. Absinthium in Korea)

  • 박명순;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88-195
    • /
    • 2013
  • 한국산 쑥속(Artemisia L.) 산흰쑥절(sect. Absinthium)의 분류군들을 대상으로 기준표본과 원기재, 생체 및 표본에 근거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과 학명을 재검토하였다. 쑥속 산흰쑥절에 포함되는 분류군의 생육지, 생육형, 지하부의 구조, 잎의 형태, 두상화서의 형태는 분류군을 식별하는데 유용한 형질로 관찰되었다. 국내에 분포하는 산흰쑥절은 산흰쑥(A. sieversiana), 비단쑥(A. lagocephala), 애기비쑥(A. fauriei)의 3분류군으로 정리되었으며, 이에 따른 분류군의 형질기재 및 도해를 제시하였다. 특히, 화탁에 털이 있는 애기비쑥은 화탁에 털이 없는 더위지기절(sect. Abrotanum)의 큰비쑥(A. fukudo)과 서해안의 갯벌에 혼생하며, 외부형태적으로 절간의 잡종으로 추정되는 개체들이 분포하였다.

형태형질에 의한 동아시아산 민들레속 2배체 식물의 유연관계 (Relationship of diploid East Aisan Taraxacum Wiggers using the capitulum morphological character)

  • 이경화;양지영;;;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3-166
    • /
    • 2004
  • 동아시아에서 이배체의 유성생식과 무수정결실로 번식하는 민들레속의 종 분화 연구를 위해 한국산(2종4집단), 일본산(2종 4분류군 6집단), 대만산(1종 3집단)의 이배체 민들레 종의 두화형질을 측정하여 유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두화형질은 두화의 크기, 외총포편의 형태와 길이, 외총포편 선단돌기 등의 식별형질을 포함하여 15개의 형질을 측정하였다. 이들 형질은 하나의 개체군내에서도 변이의 폭이 크고, 집단사이, 종들 사이에 있어서도 변이가 중첩되어 나타났다. 형태형질을 이용한 유집분석 결과 4개의 군(한국산과 T. japonicum군, T. platycarpum아종군, T. formosanum군, T. platycarpum subsp. hodoense군)으로 유집되었다. 한국산 좀민들레(이배체)와 산민들레(이배체, 삼배체)가 일본의 간사이 지방에 분포하는 T. japonicum과 같은 군으로 유집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이들은 서로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짐을 추측할 수 있다.

한국산 조팝나무속(Spiraea L. 장미과)의 엽병 해부 (The petiole anatomy of the genus Spiraea L. (Rosaceae) in Korea)

  • 이정호;권오웅;장태수;노희선;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6-26
    • /
    • 2010
  • 한국산 조팝나무속(Spiraea L.)에 속하는 3절 18분류군(sectts. Calospira: 복산방화서절 - 7분류군, Chamaedryon: 산방화서절 또는 산형화서절 - 10분류군, Spiraria: 원추화서절 - 1분류군)에 대해 엽병의 횡단면을 단부, 중앙부, 기부로 나누어서 비교하고 기재하였다. 엽병의 횡단면은 아원형, 렌즈형이거나 반달형이고, 두 개의 분리된 날개를 갖는 분류군과 날개를 갖지 않는 분류군으로 세 부위(단부, 중앙부, 기부)에서 차이를 보였다. 엽병의 해부학적 형질로는 횡단면의 모양 및 크기, 유관속의 모양 및 크기, 그리고 모용 및 결정체의 모양과 존재 여부들이 분류군 간에 비교 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엽병의 해부학적 형질들이 한국산 조팝나무속내 분류체계에 적용시키기에는 미약하였지만, 종간 진단형질로는 유용함이 확인되었다. 엽병형질들을 바탕으로 한국산 조팝나무속 분류군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안토니오 부에로 바예호의 <어느 계단 이야기> 시노그래피(scenography) 연구 (A Study of Scenography of Antonio Buero Vallejo's )

  • 조준희;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319-325
    • /
    • 2017
  • 연출적 관점의 시노그래피는 단순한 디자인의 차원을 넘어 희곡 전체의 비전(vision)을 제시할 수 있다. 연구자는 안토니오 부에로 바예호의 <어느 계단 이야기>와 같이, 작가가 제시한 공간적 특성과 이미지가 극명한 작품일수록 시노그래피적 도전이 더욱 절실한 작품이라는 전제 하에 본 희곡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계단의 시노그래피적 형상화는 좌절된 사회적 성공의 공간과 밀폐된 반복적 운명의 공간의 개념 하에 구축되었다. 아파트의 주 출입구가 가장 위쪽에 있어서 모든 인물들이 외부로 나가려면 가장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구조를 선택하였다. 그래서 밖(꿈)을 향해 아침에 올라갔다면 저녁에는 여지없이 굴복당해 내려오는 시각적 움직임이 드러나길 의도하였다. 시노그래피가 제공하는 공간이 인물들의 주어진 환경이 되어 시종일관 인물들의 연기에 영향을 미치도록 의도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고찰을 넘어 공연에 실제로 적용하여 <어느 계단 이야기>의 새로운 시노그래피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카메라 문서 영상의 이진화 및 기울어짐 보정 방법 (A Method for Thresholding and Correction of Skew in Camera Document Images)

  • 장대근;전병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43-150
    • /
    • 2005
  • 카메라 영상은 조명에 매우 민감하다. 그 결과 문자 인식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 또한 카메라로 획득한 문서 영상을 대상으로 문자인식을 수행할 경우 비네팅현상이 발생하며 카메라와 피사체간의 위치와 각도의 불일치에 의해 기학적 왜곡이 발생한다. 비네팅 효과에 의한 문자분리의 어려움과 기하학적 왜곡으로 인한 문자모양의 변형으로 인해 실제로 사용이 가능한 카메라 문자인식 기술의 개발이 쉽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양선형 변환을 이용하여 카메라로 획득한 문서영상의 기하학적 왜곡을 보정함으로써 문자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에는 카메라의 위치정보 없이 기하하적 왜곡을 보정하기 어려웠으나 제안한 방법은 이진화한 문서영상을 대상으로 문자와 문자줄을 추출하여 상하로는 문자줄의 배열방향을, 좌우로는 문자획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문서영상 자체만으로 기하하적 왜곡보정이 가능하다.

  • PDF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 (Carex subgen. Carex) 6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six sections Ischnostachyae, Anomalae, Capitellatae, Debiles, Capillares and Molliculae of Carex L. in Korea (Cyperaceae))

  • 오용자;이창숙;윤자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97-319
    • /
    • 2004
  •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 (Carex subgen. Carex)의 염주사초절 (sect. Ischnostachyae), 참삿갓 사초절 (sect. Anomalae), 바늘사초절 (sect. Capitellatae), 길뚝사초절 (sect. Debiles), 묏풀사초절 (sect. Capillares), 애기흰사초절 (sect. Molliculae) 등 총 6절 14분류군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과낭, 수과,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포, 과낭, 수과의 길이와 너비, 잎의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기본세포줄, 기공줄의 수)과 정성적 형질[암/수꽃이삭, 비늘조각, 과낭, 수과, 과낭, 수과의 표피세포, 잎의 표피 구성요소(기본표피세포의 모양, 세포벽의 굴곡, 규소체의 모양, 부세포의 모양), 잎의 앞 뒷면의 유두돌기, 가시돌기 및 털의 유무] 등이 종을 동정하고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이삭의 수, 암/수꽃이삭의 배열, 포의 유무로 바늘사초절과 나머지절로 2개의 그룹으로 크게 나눌 수 있었다.

Fruit Yield and Quality Evaluation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F1 Hybrids Derived from Inbred Lines

  • Shrestha, Surendra Lal;Luitel, Binod Prasad;Lee, Taek Jong;Kang, Won Hee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44-350
    • /
    • 2010
  • Sweet pepper inbred lines (KNU1003, KNU1006, KNU1007, KNU1009, KNU1015, KNU1017 and KNU2006) developed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NU) through conventional means, inbred lines (5AVS1, 5AVS2, 5AVS3, 5AVS5, 5AVS7 and 5AVS8) collected a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nd inbred lines (SP12, SP27 and SP14) derived from anther culture were used as female parents and anther culture derived homozygous lines (SP9, SP10, SP14, SP24, SP25, SP27, SP30, SP32, SP34, SP38, SP43, SP45 and SP51) were used as male parents to produce $F_1$ hybrids. A total of 37 $F_1$ hybrids were evaluated for fruit yield and quality characters in summer season, 2007. Variation in fruit number, fruit weight, fruit yield per plant and fruit volume was observed among the $F_1$ hybrids. Superiority on yield over standard/commercial varieties were differed among $F_1$ hybrids. Hybrid $5AVS8{\times}SP45$ exhibited highest heterosis over Special (16.5%) and Fiesta (24.7%). Fruit quality characters (fruit length, fruit width, pericarp thickness, total soluble solid, fruit shape and fruit color) were varied among the $F_1$ hybrids. Fruit number, fruit weight and fruit volume per plant were correlated with fruit yield. Based on the standard heterosis expressed by the hybrids and quality characters evaluation, $KNU1017{\times}SP27$, $5AVS1{\times}SP43$, $5AVS5{\times}SP27$, $5AVS8{\times}SP45$, $SP12{\times}SP38$ and $SP27{\times}SP25$ hybrids were found to be superior over commercial cultivars and are selected. Inbred lines of these hybrid combinations can be used to produce $F_1$ hybrid seed for commercial production.

선사 암각화 연구에서의 지형·지질학의 역할 - 하동 묵계리 석물을 사례로 - (The Role of Geomorphology·Geology in Prehistoric Petroglyph Research - Hadong Mukgyeri's Stone Monument as an Example -)

  • 양동윤;한민;김성원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05-121
    • /
    • 2020
  • There has been a lot of controversy over the claim that ancient characters were engraved on a stone plane collected near the Samsin Mountain in Hadong-gun, and that it was used as an altar based on the contents on the ston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geoscience in prehistoric petroglyph research was presented through analysis and comparison with representative domestic petroglyphs. First, by examining the geological formation process of the collected stone objects, it proved that prehistoric actions were not applied. Secon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from the viewpoints of human geography and topography with representative petroglyphs in Korea, it is unreasonable to argue that the stone was made for an altar. Third, it is considered that among the ancient characters under debate, the straight line indicates a cleavage of carbonate minerals, and the curved shape results from the growth of lichens. Finally, we propose that reproducing the lines found on the stone was impossible by using ancient techniques, and that there was no trace of any artificial actions applied to the spots considered to be curved characters. As shown in such research cases, the results of petroglyph research will have high reliability, if research by experts in each field continues after the geoscientific basis is secured. In this respect, the contribution of Earth science to cultural assets and archeology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