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llow groundwater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31초

시설재배지의 재배방법 및 입지적 조건이 지하수 NO3-N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rming Practice and NO3-N Contents of Groundwater with Different locations under Intensive Greenhouse Area)

  • 고지연;이재생;김민태;김춘송;강위금;강항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1-269
    • /
    • 2005
  • 농업활동 및 지하수의 입지적 조건이 시설재배지 지하수의 $NO_3-N$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영남지역 10개 시군의 주요 시설재배단지에서 지하수 1370 지점의 $NO_3-N$ 함량을 조사하고, 재배조건으로서 시설재배지의 경작년수, 퇴비시용량, 제염방법 및 입지적 조건으로서 지하수깊이, 점토함량, 배수등급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지점 중 천층지하수의 19.7%, 암반지하수의 1.3%가 우리나라 음용수 수질기준인 $10mg/{\ell}$를 초과하였고,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20mg/{\ell}$를 초과하는 지점은 천층수 6.3%, 암반수 0.4%로 나타났다. 지하수 $NO_3-N$함량과 가장 상관이 높은 것은 점토함량 및 지하수깊이로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점토함량 $r=-0.241^{**}$, 지하수깊이 $r=-0.228^{**}$). 재배조건에 따라서는 경작년수와 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경작년수 $r=0.104^*$), 퇴비시용량 등과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아 재배조건과 같은 농업활동보다는 토성과 깊이 등의 입지적 조건이 지하수 $NO_3-N$함량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천층수의 $NO_3-N$과 암반수의 $NO_3-N$ 함량 사이의 상관을 조사한 결과 양자 사이에는 고도의 정(正)의 상관$(r=0.532^{**})$이 인정되어 천층수의 수질이 암반수 $NO_3-N$함량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경기도 시흥군 소래면 뱀내하천 유역의 지하수 오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ollution of ground water in the basin of the river Baem Nae Chun, Sorae-Myun, Shihoong-gon, Kyonggi-Do, Korea)

  • 김윤종;정봉일
    • 물과 미래
    • /
    • 제6권2호
    • /
    • pp.19-29
    • /
    • 1973
  • The progressive contamination of water resulted from man's activity and the use of fertilizers is not restricted only to surface water, but also the shallow groundwater is affected. This type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is mainly restricted to areas composed of permeable, nonconsolidated sediments forming a shallow aquifer. The chloride and the sulfate resulted from man's activity and the use of fertilizers were measured to study the variations of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In general, (1) When water level rises, the rate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becomes less and when water level declines, the rate of contamination is increased. (2) The highly contaminated season is the early-summer and the less contaminated season is the winter or after rainy season. (3) The groundwater in weathering zone without covering layer. (4)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wells i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well depth and lowing the water table, because of increasing contaminated water from enlargement of the area of influence of the well.

  • PDF

천부와 심부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수 감소 영향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hallow and Deep Groundwater Pumping Effects on Stream Depletion)

  • 이정우;정일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4호
    • /
    • pp.383-39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2층 누수대수층 시스템에 관한 Hunt 해석해와 Ward and Lough 해석해를 이용하여 천부지하수 양수 및 심부지하수 양수로 인한 하천수 감소량을 산정하고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하천과 관정간의 이격거리, 대수층의 투수량계수와 저류계수, 상부층과 하부층간의 누수계수의 조합에 따라 총 45,000가지 경우에 대해 지하수 양수량 대비 하천수 감소량인 하천수 감소비를 천부와 심부지하수 양수 각각에 대해 산정하고 그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층간 누수계수가 10-61/d로 매우 작은 경우 천부 및 심부지하수 양수로 인한 5년 평균 하천수 감소비의 차이는 수리특성조건에 따라 최대 0.9로 큰 편차를 보이고 천부대수층의 하천고갈인자(SDF)와 지수함수적 감소 관계가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하천수 감소비의 차이는 층간 누수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층간 상호작용 영향으로 SDF 값과의 지수함수적 관계가 점차 둔화되고 누수계수가 10-31/d이 되면 최대 0.2의 작은 차이가 발생하여 층간 수리적 연결성이 큰 조건에서는 하천수 감소에 미치는 지하수 양수 심도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주-완주, 곡성 지역의 지하수 수위 변동 특성

  • 조민조;하규철;이명재;이진용;이강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13-216
    • /
    • 2002
  •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of groundwater resources in Jeonju, Wanju, and Goksung areas, a basic groundwater survey was performed. From the survey, various useful informations such as groundwater use, waterlevel distribution, water chemistry were obtained.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water levels, which were automatically monitored with pressure transducers or manually measured. The monitorings were conducted for both shallow wells completed in alluvial aquifers and deep wells in bedrock aquifers. This study presents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 PDF

경기도 지역 농경지의 천부 지하수 내 질산염 오염특성과 변화 (Variation in Nitrate Contamination of Shallow Groundwater in a Farmland in Gyeonggi-do, Korea)

  • 이은재;우남칠;이병선;김양빈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4호
    • /
    • pp.393-403
    • /
    • 2008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농촌지역에서 유기비료로 살포되는 축산 분뇨가 농경지 지하수의 수질과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시공간적 변화를 중심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는 경기도의 한 농경지에서 200길 2월, 4월, 6월, 10월에는 관측정을 통한 지하수위 관측과 함께 지하수질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봄-여름-가을로 이어지는 계절과 축분을 뿌리는 시기에 따라서 지하수의 수질과 오염현상의 변화는 축분을 가장 많이 뿌리는 시기인 4월에 질산성 질소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하수 내 Mn, Fe 등의 농도와 용존 유기물함량(DOC) 등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천부 지하수의 산화-환원상태와 대수층 내 미생물의 활성도가 연구부지 지하수 내 질산성 질소의 농도변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다중 회귀 분석을 이용한 논산 북부 지역 지하수의 질산성 질소 오염 예측 (Prediction of Nitrate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in the Northern Nonsan area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김은영;고동찬;고경석;여인욱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3권5호
    • /
    • pp.57-73
    • /
    • 2008
  • 논산 북부지역의 천부 및 암반 지하수는 질산성 질소 농도가 최고 49 mg/L이고, 22%의 시료가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해 질산성 질소 오염이 심각함을 보여 주었다. 토지 이용 별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농도 차이를 보여 토지 이용이 이 지역 질산성 질소 오염에 대한 주요 지배 요인임을 지시하였다. 이 지역의 질산성 질소 오염을 예측하기 위해 토양 특성, 지형 구배, 토지 이용 등의 지표 수리지질 인자, 관정의 심도와 고도 등의 관정 제원 인자와 현장수질(T, pH, DO, EC)을 변수로 하며, 천부 지하수와 암반 지하수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리지질 인자는 관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버퍼내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구하여 변수로 결정하였다. 회귀 분석은 가능한 모든 변수 조합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모형의 수정 결정 계수 기준으로 최적 모형을 선정하였다. 수리지 질 인자를 이용한 회귀 분석에서 버퍼 반경에 따라 천부지하수는 50 m, 암반지하수는 300 m에서 가장 높은 결정 계수가 나타났다. 천부 지하수는 암반 지하수보다 높은 결정계수를 보여 지표 수리지질 인자에 더 민감함을 보여 주었다. 천부 지하수에서는 토지 이용, 암반 지하수에서는 토양 특성이 주요 변수였고, 토지 이용 중 주거 지역은 두 그룹에서 모두 중요 변수였다. 수리지질 인자와 현장 수질 항목을 사용한 회귀 분석에서는 천부지하수에서는 EC, 논지역, pH 등이, 암반 지하수에서는 DO, EC, 자연지역 등이 주요 변수였다. 현장 수질 항목이 수리지질 인자보다 월등히 강한 설명력을 보여 일상적으로 측정되는 현장 수질 항목이 질산성 질소 오염 평가에서 개별 관정에 대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번 연구에서 결정된 최적 버퍼 반경은 관정으로의 오염 물질 유입 시간 추정에 활용될 수 있다.

압축패커를 이용한 보은지역의 질산성질소에 의한 오염지하수 수질개선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for Contaminated Groundwater by $NO_3-N$ using Compression Packer in Boeun)

  • 이병대;윤욱;윤성택;조희남
    • 지질공학
    • /
    • 제20권1호
    • /
    • pp.25-33
    • /
    • 2010
  • 연구지역의 오염된 대부분의 지하수는 상부의 오염된 천부지하수가 지하수공내로 유입되면서 질산성질소로 오염되었다. 공내 카메라 검층 결과 오염된 공들은 그라우팅 불량과 찢어진 유공관으로 인하여 오염된 천부지하수가 공내로 유입되어 지하수질을 악화시켰다. 오염된 천부지하수는 야외 지질조사시 확인된 동남동-서북서 방향, 북북서 방향, 북서-남동 방향, 남북 방향의 단층 및 절리, 파쇄대를 따라서 공내로 유입되었다. 금번 연구의 목적은 질산성질소로 오염된 지하수 공에 대하여 압축패커 기법을 이용하여 상부 오염물질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지하수 수질개선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지역내 46개소의 지하수공을 대상으로 질산성질소 분석용 시료를 채취하였다. 질산성질소 함량이 10 mg/L 이상으로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거나 먹는물 수질기준에 가까운 공은 9개소로 전체 시료수의 약 20%이다. 압축패커 장치를 설치한 후 모든 공들의 질산성질소 함량이 설치 전에 비하여 26~81% 감소되었다.

Active Exchange of Water and Nutrients between Seawater and Shallow Pore Water in Intertidal Sandflats

  • Hwang, Dong-Woon;Kim, Gue-Buem;Yang, Han-Soeb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3권4호
    • /
    • pp.223-232
    • /
    • 2008
  • In order to determine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nutrient profiles in the shallow pore water columns (upper 30 cm depth) of intertidal sandflats, we measured the salinit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pore water and seawater at various coastal environments along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the intertidal zone, salinit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pore water showed marked vertical changes with depth, owing to the active exchange between the pore water and overlying seawater, while they are temporally more stable and vertically constant in the sublittoral zone. In some cases, the advective flow of fresh groundwater caused strong vertical gradients of salinity and nutrients in the upper 10 cm depth of surface sediments, indicating the active mixing of the fresher groundwater with overlying seawater. Such upper pore water column profiles clearly signified the temporal fluctuation of lower-salinity and higher-Si seawater intrusion into pore water in an intertidal sandflat near the mouth of an estuary. We also observed a semimonthly fluctuation of pore water nutrients due to spring-neap tide associated recirculation of seawater through the upper sediments. Our study shows that the exchange of water and nutrients between shallow pore water and overlying seawater is most active in the upper 20 cm layer of intertidal sandflats, due to physical forces such as tides, wave set-up, and density-thermal gradient.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Hydrology in the Lake Rotorua Catchment, New Zealand, and Community Involvement with Lake Water Quality Restoration

  • White, Paul A.;Hong, Timothy;Zemansky, Gil;McIntosh, John;Gordon, Dougall;Dell, Paul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14
    • /
    • 2007
  • Water quality in Lake Rotorua, New Zealand, deteriorated since the 1960s because of excessive phytoplankton growths due principally to increasing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lake waters. Nutrient concentrations in eight of the nine major streams feeding Lake Rotorua have increased since 1965. The groundwater system has a key role in the hydrology of the Lake Rotorua catchment and the groundwater system is probably the control on the time delay between intensification of agricultural land use and response of surface water quality. All major, and many minor streams, in the catchment are fed by springs. Two lithological units are most important to groundwater flow in the Lake Rotorua catchment: Mamaku Ignimbrite, erupted in about 200,000 years ago and Huka Formation sediments which filled the caldera left by the Mamaku Ignimbrite eruption. Rainfall recharge to groundwater in the groundwater catchment of Lake Rotorua is estimated as approximately 17300 L/s. A calibrated steady-state groundwater flow model estimates that approximately 11100 L/s of this flow discharges into streams and then into the lake and the balance travels directly to Lake Rotorua as groundwater discharge through the lake bed. Land use has impacted on groundwater quality. Median Total Nitrogen (TN) values for shallow groundwater sites are highest for the dairy land use (5.965 mg/L). Median TN values are also relatively high for shallow sites with urban-road and cropping land uses (4.710 and 3.620 mg/L, respectively). Median TN values for all other uses are in the 1.4 to 1.5 mg/L range. Policy development for Lake Rotorua includes defining regional policies on water and land management and setting an action plan for Lake Rotorua restoration. Aims in the action plan include: definition of the current nutrient budget for Lake Rotorua, identification of nutrient reduction targets and identification of actions to achieve targets. Current actions to restore Lake Rotorua water quality include: treatment of Tikitere geothermal nitrogen inputs to Lake Rotorua, upgrade of Rotorua City sewage plant, new sewage reticulation and alum dosing in selected streams to remove phosphor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