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llow eutrophic lak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RESEARCH PAPERS : CHARACTERIZATION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A SHALLOW EUTROPHIC LAKE AND INFLOWING WATERS

  • 김용환;이선화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93-101
    • /
    • 2002
  • The seasonal pattern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DOM) in Lake Kasumigaura, a shallow, eutrophic lake, and serveral DOM sources in its catchment area were investigated. DOM was fractionated using three resin adsorbents into classes: aquatic humic substances (AHS=humic acid+fulvic acid), hydrophobic neutrals (HoN), hydrophilic acids (HiA), bases (BaS) and hydrophilic neutrals (HiN). The DOM produced significantly different fraction distributions depending on the origin of sample. AHS and HiA prevailed over AHS in the lake while AHS and HiA existed at almost the same concentration levels in the rivers. AHS seems to be a more dominant component in rever water than lake water. The dominance of organic acids was also observed in the DOM sources: forest stream (FS), plowed field percolate (PFP), domestic sewage (DS) and sewage treatment plant effluent (STPE).

수심이 얕은 부영양호에서 용존유기물의 거동 (Dynamic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eutrophic shallow Lake Kasumigaura, Japan.)

  • 박제철
    • 환경위생공학
    • /
    • 제12권3호
    • /
    • pp.31-39
    • /
    • 1997
  • The seasonal and spatial changes in dissolved organic carbon(DOC) in Lake Kasumigaura, a shallow and eutrophic lake, were analyzed from October 1992 to October 1995. The proportion of T-DOC was classified by labile(L-DOC) and refractory DOC(R-DOC) on the basis of long-term incubation, fractionated the molecular weight of T-DOC by ultrafiltration. The porewater DOC were measured at sedimental surface of the central basin in order to evaluate the DOC released from the sediment. The proportion of L-DOC and R-DOC were accounted for about 15% and 85% of T-DOC in the central basin, respectively. The molecular weight(MW) distribution occupied some 60% of the low and medium MW. The horizontal variation of T-DOC concentrations trended to higher in the central basin than in the inlet of influent rivers, because of contribution by autochthonous organic carbon loading. The seasonal variation of T-DOC showed to higher summer than winter in the inlet of influent, but at the central basin it fluctuated little seasonally. During the high increase of porewater DOC in 1994 evaluated the high release possibility from the sediment surface (10cm).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utochthonous organic carbon loading must be controlled for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the eutrophic lakes.

  • PDF

도심의 얕은 인공호인 일감호의 수질변화특성과 퇴적환경의 평가 (Evaluation of Water Quality Variation and Sediment of a Shallow Artificial Lake (Lake llgam) in Located the Metropolitan Area)

  • 김호섭;고재만;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36권2호통권103호
    • /
    • pp.161-171
    • /
    • 2003
  • 본 연구는 도심에 위치한 얕은 인공호수의 수질변화 특성, 제한영양염 및 퇴적물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일감호는 연 평균 엽록소 a($77.2{\pm}36.6\;{\mu}g/l)와 TP ($66.6{\pm}20.5\;{\mu}g/l)농도 그리고 영양상태지수 (>60)모두를 토대로 할 때 매우 부영양상태였다. 결빙시기와 해빙되는 시기에 수층내 무기질소와 인의 수체내 농도가 증가하였다가 여름철에는 감소하는 계절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수체내 DIN/DIP(무게비)비율과 TSI편차분석 그리고 생물검정 (AGP)실험을 통해서 질소와 인 모두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제한함이 제시되었다. TSI편차분석 결과에서는 1년 중 생물검정을 통해서도 인 제한이 예측된 바 있는 9월부터 11월에 인과 질소 모두의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대한 제한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물내 인 함량(313${\pm}$155mgP/kg)은 계절에 따른 변화를 나타났고, 인용출률은 pH9에서 0.29${\pm}$0.02Pmg $m^{-2}$ $day^{-1}$로 가장 높았다. 질소함량은 평균 4,452${\pm}$283.0 mg N/kg였으며 계절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퇴적물이 제한영양염의 공급원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퇴적물내 인 함량의 계절에 따른 변화가 조류의 생물량을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부영양호 퇴적층으로부터 용존유기물의 용출특성 (Characteristics of DOC Release from Sediment in Eutrophic Lake)

  • 박제철
    • 생태와환경
    • /
    • 제36권3호통권104호
    • /
    • pp.304-310
    • /
    • 2003
  • 수심이 얕고 부영양 호소인 L. Kasumigaura를 대상으로 퇴적층으로부터 유기물 용출특성을 조사하였다. 퇴적물의 함수율은 약 8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공극수의 DOC농도는 표층에서 높고 깊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조사기간중 공극수의 DOC농도(104mg C/l)가 크게 증가하여 공극수로부터 수체로 용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DOC 용출실험결과, 호기조건에서는 Labile-DOC (L-DOC)용출이 거의 관측되지 않았고 Refractory-DOC (R-DOC)만 관측되었으며, 혐기조건에서는 L-DOC와 R-DOC 모두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퇴적층의 상부수층에 DO가 충분히 유지되면 L-DOC는 용출되어도 호기성 bacteria에 의해 쉽게 분해되기 매문에 R-DOC만 용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혐기조건하에서는 혐기성 bacteria의 유기물 분해능력의 감소로 L-DOC와 R-DOC모두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내부생성기원의 유기물중 퇴적층으로부터 R-DOC 용출은 수체의 유기물 농도를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수중 유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R-DOC는 유기물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퇴적물 토양의 영양염류가 호소 수질에 미치는 잠재 요인 분석 (Analysis of Sediment Nutrients as Potential Sources of the Lake Water Quality)

  • 정준오;김영우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76-385
    • /
    • 2009
  • The characteristics of Lake Cheonhoji water and sediment were investigated in oder to utilize these as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management of lake water quality. The hydrographic properties of Lake Cheonhoji which are relatively low chance of nutrients loading from the watershed and a long retention time of lake water, lead to the probability of high lake productivity. It was also observed that lake water showed stratification during summer and complete mixing during fall, even though water depth was relatively shallow. The trophic state was eutrophic to hypertrophic from summer to late fall. The overall properties of the sediment were oligohumic, high ignition loss and high composition of NAIP and Resid.-P, which might serve as potential pollution sources of lake water quality. In laboratory scale experiments, it was observed that leaching potential of nutrients in the sediment was greatly dependant upon water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Finally, water pollution in Lake Cheonhoji was considered to be largely due to the adverse cycle of uncontrollable eutrophication, which resulted in the subsequent occurrence of dead algae and animal plankton, organic sedimentation, reduction of dissolved oxygen and nutrients leaching, which again reinforced the cycle of eutrophication in the lake.

청평호 및 팔당호 어류군집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Fish Community in Lake Chungpyung and Lake Paldang)

  • 박혜경;이장호;윤석환;최명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18
    • /
    • 2013
  • We compared the structure of fish community and condition of major fish species in Lake Chungpyung and Lake Paldang, which are relatively shallow, meso-eutrophic, cascading dam reservoirs on the North Han River. Two lakes have wide littoral zone in the lakeside providing similarly good habitat for fishes, whereas fishery and water recreational activities such as motorboating, water skiing are allowed in Lake Chungpyung but are prohibited in Lake Paldang. The average lengths of large size fishes in Lake Chungpyung are shorter than those of same species in Lake Paldang, resulting in the slight distortion of generation distribution of those species in Lake Chungpyung, possibly owing to the active fishery such as fixed shore net fishing, gill net fishing and angling. Meanwhile the condition of fishes represented by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fish species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lakes and showed normal condition. To evaluate the impact of physical disturbance such as loud noise and turbulent wave from water recreational activities to fishes precisely, further studies including physiological responses to stress an spawing activity should be needed.

한강수계 농업용저수지 관리방안 (Management Measures for the Control of Agricultural Reservoirs in Han River Watershed)

  • 김호섭;공동수;정동일;황순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86-393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water quality and to introduce the management measure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with the collected data from 87 agricultural reservoirs in Han river watershed.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criteria (WQC) for lake based on the COD, TP, TN and chl.a concentration, 18, 16, 4 and 19 of 87 reservoirs exceed class IV, respectively. Based on the trophic state index (TSI) with chl.a concentration, 51 of selected reservoirs appeared to be eutrophic. Phosphorus was limiting nutrient on algal growth in 58 reservoirs. TP, chl.a and COD concentration in 23 of 49 agricultural reservoirs with chl.a concentration ${\geq}25{\mu}g/L$ and eutrophic exceed class IV by WQC. Also, the mean depth in 21 of 23 reservoirs was below 5m. Our results suggest that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and crop land control in watershed of reservoirs with TP concentration ${\geq}0.1mg/L$ would be a effective tool to improve water quality. Dredging would to be effective measure in reservoirs with mean depth < 5 m and relatively old age. In reservoirs with chl.a concentration ${\geq}50{\mu}g/L$, application of technique such dissolved air flotation (DAF) and P inactivation be effective to improve water quality by removing particulate matters in water column. The management measure to control inflow such as sedimentation basin, Pre-dam and diversion would to be application in reservoirs with shallow depth, while large watershed and surface area.

수심이 얕은 부영양 인공호(일감호)의 동 ${\cdot}$ 식물플랑크톤 동태학 (Dynamics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of a Shallow Eutrophic Lake (lake llgam))

  • 김호섭;박제철;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36권3호통권104호
    • /
    • pp.286-294
    • /
    • 2003
  • 본 연구는 수심이 얕고 부영양화가 지속되고 있는 인공호수에서의 동 ${\cdot}$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과 현존량의 계절변화, 수질인자와의 상관관계 그리고 PEG모델과의 비교를 위해 실시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 별 계절적 출현양상은 봄과 가을에 녹조류와 규조류가 우점하고 여름에 남조류의 현존량이 증가함에 따라 PEG모델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현존량에 의한 우점종의 변화는 2002년 1월부터 3월가지 녹조류가 우점했던 것을 제외하고는 조사기간 내내 남조류가 우점 함으로써 PEG모델과 다르게 나타냈다. 수체 내 영양염의 증가가 나타난 봄철 녹조류가 증가하였고, 무기영양염의 감소와 함께 남조류의 우점비율이 증가하였다. 주요출현 남조류는 Microcystis, Oscillatoria, Lyngbya, Merismopedia속 내종들 이였고, 2000년 10월에 가장 높은 현존량을 나타났으며 (12.9${\pm}$5.8${\times}10^5$ cells/ml, 3.5${\pm}$0.9${\times}10^3{\mu}gC/l$), 엽록소 a ($r^2$ = 0.71, P< 0.001), TP농도 ($r^2$ = 0.62, P< 0.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녹조류가 우점한 3월부터 5월 사이에 윤충류인 Keratella cochlearis와 같은 크기가 작은 윤충류의 증가가 나타났다. 성체보다는 대부분 유생의 비율이 (70%이상)높았던 요각류와 지각류 (Diaphanosoma brachyurum, Bosmina longirostris등)의 현존량 증가는 식물플랑크톤 중 와편모조류와 규조류가 증가한 6월과 9월 사이에 나타났다($r^2$=0.73, P< 0.001). 본 연구기간동안 동물플랑크톤 섭식에 의한 청수기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동 ${\cdot}$ 식물플랑크톤의 다양성은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증가 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부영양 호수에서 동물플랑크톤의 섭식이나 제한영양염의 결핍이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에 영향을 출 수 있으나 군집의 변화를 야기하지는 못함이 제시되었다.

동해안 석호의 육수학적 조사 (4); 송지호 (The Limnological Survey of a Coastal Lagoon in Korea (4); Lake Songji)

  • 권상용;허우명;이상하;김동진;김범철
    • 생태와환경
    • /
    • 제38권4호통권114호
    • /
    • pp.461-474
    • /
    • 2005
  • 송지호 표층의 평균 수온은 겨울 결빙기를 제외하고는 7.4-$28.2^{\circ}C$로 최저 $7.3^{\circ}C$ 및 최고 $28.7^{\circ}C$이였다. 표층의 염분은 0.1-13.3%의 범위로 분포하였으며, 중층 부근에서 화학성층이 형성되었다. 화학성층이 강하게 나타났던 1999년 11월 표층의 용존산소는 11.8-12.3 $mgO_2\;{\cdot}\;L^{-1}$이었으나, 심층에서는 0.7-1.9 $mgO_2\;{\cdot}\;L^{-1}$으로 매우 낮았다. 표층의 총인과 용존무기인의 농도는 각각 0.005-0.396 $mgP\;{\cdot}\;L^{-1}$ 및 0.000-0.319 $mgP\;{\cdot}\;L^{-1}$의 범위이였으며, 북호와 남호의 대표 정점으로 볼 수있는 정점 2와 3에서의 평균농도는 각각 0.061 및 0.045 $mgP\;{\cdot}\;L^{-1}$로 북호쪽의 농도가 더 높았다. 표층의 총질소(TN)는 0.223-3.521 $mgN\;{\cdot}\;L^{-1}$로 분포하였으며, 북호와 남호의 평균농도는 각각 0.883 및 0.794 $mgN\;{\cdot}\;L^{-1}$로 총인과 마찬가지로 북호쪽에서 높았다. 질산성질소 ($NO_3-N$) 및 암모니아성질소 ($NH_3-N$)의 농도는 각각 0.000-1.000 $mgN\;{\cdot}\;L^{-1}$ 및 0.000-0.804 $mgN\;{\cdot}\;L^{-1}$이였다. 규소농도는 0.0-6.2 $mgSi\;{\cdot}\;L^{-1}$의 범위로 3-5월에 매우 낮았으며, 계절적인 변화가 뚜렷히 나타났다. 저질의 입자는 0-125인 silt및 coarse silt로 이루어져 있으며, COD는 51.4-116.9 $mgO_2\;{\cdot}\;gdw^{-1}$로 평균 93.0 $mgO_2\;{\cdot}\;gdw^{-1}$ 이였다. 저질내의 TP및 TN의 농도는 각각 0.04-1.46 $mgP\;{\cdot}\;gdw^{-1}$ 및 0.12-1.03 $mgN\;{\cdot}\;gdw^{-1}$이었다. 표층의 엽록소 a의 정점별 평균값은 정점 1, 2 및 3에서 각각 15.6, 15.2 및 16.0 $mg\;{\cdot}\;m^{-3}$으로 유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49종이 출현하였으며, 생물량은 50-23, 350 cells ${\cdot}\;mL^{-1}$로 2001년 9월에 가장 많았다. 이 시기의 우점종은 녹조류인 Schroederia judayi이였으며, 생물량은 20,417 cells ${\cdot}\;mL^{-1}$이였다. 송지호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으로 화학성층을 파괴시켜 심충에 용존산소를 공급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모래톱으로 인해 막혀져 있는 해수교환을 항상 원할 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