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imnological Survey of a Coastal Lagoon in Korea (4); Lake Songji

동해안 석호의 육수학적 조사 (4); 송지호

  • Kwon, Sang-Yo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eo, Woo-My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 Samche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 Samcheok National University) ;
  • Kim, Dong-Ji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Kim, Bom-Chu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권상용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과학과) ;
  • 허우명 (삼척대학교 환경공학과) ;
  • 이상하 (삼척대학교 환경공학과) ;
  • 김동진 (국립환경과학원) ;
  • 김범철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Physicochemical parameters,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sediment were surveyed from 1988 to 2002, at two months interval, in a eutrophic coastal lagoon (Lake Songji, Korea). The lake basin is separated from the sea by a narrow sand dune, and a shallow sill divides the lake basin into two sub-basins. The stable stratifications and chemoclines are maintained all through the year at 1-2 m depth. DO was often very low (<1 $mgO_2\;{\cdot}\;L^{-1}$) in the monimolimnion. Secchi disc transparency was in the range of 0.5-2.7 m. TP, TN, and Chl. a concentration in the mixolimnion were 0.015-0.396 $mgP\;{\cdot}\;L^{-1}$), 0.223-3.521 $mgN\;{\cdot}\;L^{-1}$, and 0.5-129.8 mg ${\cdot}\;m^{-3}$, respectively. TSI was in the eutrophic range of 54 to 62. Sediment was composed of silt and coarse silt. COD, TP, and TN content of the sediment were 51.4-116.9 $mgO_2\;{\cdot}\;gdw^{-1}$, 0.04-1.46 $mgP\;{\cdot}\;gdw^{-1}$ and, 0.12-1.03 $mgN\;{\cdot}\;gdw^{-1}$, respectively. The 49 phytoplankton species were identified. The maximum phytoplankton abundance obscured the lake in September 2001 (max. density: 23,350 cells ${\cdot}\;mL^{-1}$. The Chlorophyte Schroederia judayi was dominant species in summer (max. density: 20,417 cells ${\cdot}\;mL^{-1}$). The lake showed unique limnological features of a brackish lagoon in respect to biological community,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phenomena.

송지호 표층의 평균 수온은 겨울 결빙기를 제외하고는 7.4-$28.2^{\circ}C$로 최저 $7.3^{\circ}C$ 및 최고 $28.7^{\circ}C$이였다. 표층의 염분은 0.1-13.3%의 범위로 분포하였으며, 중층 부근에서 화학성층이 형성되었다. 화학성층이 강하게 나타났던 1999년 11월 표층의 용존산소는 11.8-12.3 $mgO_2\;{\cdot}\;L^{-1}$이었으나, 심층에서는 0.7-1.9 $mgO_2\;{\cdot}\;L^{-1}$으로 매우 낮았다. 표층의 총인과 용존무기인의 농도는 각각 0.005-0.396 $mgP\;{\cdot}\;L^{-1}$ 및 0.000-0.319 $mgP\;{\cdot}\;L^{-1}$의 범위이였으며, 북호와 남호의 대표 정점으로 볼 수있는 정점 2와 3에서의 평균농도는 각각 0.061 및 0.045 $mgP\;{\cdot}\;L^{-1}$로 북호쪽의 농도가 더 높았다. 표층의 총질소(TN)는 0.223-3.521 $mgN\;{\cdot}\;L^{-1}$로 분포하였으며, 북호와 남호의 평균농도는 각각 0.883 및 0.794 $mgN\;{\cdot}\;L^{-1}$로 총인과 마찬가지로 북호쪽에서 높았다. 질산성질소 ($NO_3-N$) 및 암모니아성질소 ($NH_3-N$)의 농도는 각각 0.000-1.000 $mgN\;{\cdot}\;L^{-1}$ 및 0.000-0.804 $mgN\;{\cdot}\;L^{-1}$이였다. 규소농도는 0.0-6.2 $mgSi\;{\cdot}\;L^{-1}$의 범위로 3-5월에 매우 낮았으며, 계절적인 변화가 뚜렷히 나타났다. 저질의 입자는 0-125인 silt및 coarse silt로 이루어져 있으며, COD는 51.4-116.9 $mgO_2\;{\cdot}\;gdw^{-1}$로 평균 93.0 $mgO_2\;{\cdot}\;gdw^{-1}$ 이였다. 저질내의 TP및 TN의 농도는 각각 0.04-1.46 $mgP\;{\cdot}\;gdw^{-1}$ 및 0.12-1.03 $mgN\;{\cdot}\;gdw^{-1}$이었다. 표층의 엽록소 a의 정점별 평균값은 정점 1, 2 및 3에서 각각 15.6, 15.2 및 16.0 $mg\;{\cdot}\;m^{-3}$으로 유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49종이 출현하였으며, 생물량은 50-23, 350 cells ${\cdot}\;mL^{-1}$로 2001년 9월에 가장 많았다. 이 시기의 우점종은 녹조류인 Schroederia judayi이였으며, 생물량은 20,417 cells ${\cdot}\;mL^{-1}$이였다. 송지호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으로 화학성층을 파괴시켜 심충에 용존산소를 공급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모래톱으로 인해 막혀져 있는 해수교환을 항상 원할 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