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wer

검색결과 713건 처리시간 0.032초

하수관거 균열발생에 따른 오염확산의 수치실험 평가 (Evaluation of Numerical Experiment of Pollution Dispersion on the Sewer Crack Occurrence)

  • 박재성;배우석;이호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5-9
    • /
    • 2008
  • 하수관거는 지중에 매설되기 때문에 균열발생 시 오염원이 빠르게 지하로 침투되어 오염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관거 균열발생 시의 오염원의 확산에 대한 수치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모델링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오염원의 이동경로를 예측해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오염원의 이동방향은 지표면의 지형경사에 따른 흐름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하방향으로는 약 8~10m 깊이까지 침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장래 하수관거 관리에 효율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저해상도 하수관로 CCTV조사 영상의 문자인식 (Character Recognition of Low Resolution CCTV Images of Sewer Inspection)

  • 김병철;최창호;손병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58-65
    • /
    • 2016
  •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도심지 지반함몰로 인하여 주기적인 하수관로 조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조사 방법 중 하나인 하수관로 CCTV조사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하수관로 조사에 소요되는 노력을 줄이기 위한 H/W 및 S/W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기존 CCTV 탐사장치를 이용하여 관리담당자가 보관하고 있는 수많은 조사영상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cross-correlation기법 기반의 이미지프로세싱 방법을 적용하여 CCTV 조사영상의 자막으로부터 장치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였다. CCTV 장치의 시간-거리 관계를 분석한 결과 탐사 장치가 정지시간과 하수관로의 손상 사이의 강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제안된 CCTV영상의 분석법을 활용하는 경우 CCTV조사 보고서 작성 및 관리에 소요되는 노력을 줄임으로써 하수관로 유지관리의 효율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수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 부식 방지공법 선정방법에 관한 고찰 (Selection of concrete lining corrosion protection method for large sewer tunnels)

  • 문준식;이성준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347-360
    • /
    • 2014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도시침수와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combined sewer overflow)로부터 처리되지 않은 하수의 하천유입, 그리고 그에 따른 하천의 오염의 방지를 위해 지하방수로/저류조 겸용의 대형 하수터널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대형 하수터널의 경우 대부분 콘크리트 라이닝을 적용하고 있지만 하수관거 내에서 발생되는 황화수소($H_2S$)로 인하여 콘크리트가 부식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보호공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소 100년의 수명을 고려하여 설계된 대형 하수터널의 콘크리트라이닝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공법들을 소개하고 각 공법의 일반적인 장단점과 설계 사례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대형 하수터널 라이닝의 부식방지 공법들의 적용 실적이 부족하여 부식방지 공법을 적용한 터널설계 대안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설계 사례연구를 통해 콘크리트 라이닝 부식방지 공법선정 프로세스를 소개하였다.

도시지역의 최적 배수관망 설계를 위한 Risk Safety Factor 관계의 설정 (Derivation of the Risk-Safety Factor Relation for Optimal Storm Sewer Design in Urban Area)

  • 김문모;이원환;조원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29-134
    • /
    • 1992
  • 본 논문은 도시유역의 최적 배수관망설계를 위한 위험도-안전도계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배수관망의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는 하수관의 용량과 하중을 결정하는 식을 구성하는 여러가지 매개변수들의 불확실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위험도를 결정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분석기법을 유역면적 $381,000m^2$인 성산 유수지 유역에 적용하였다. 하수관망의 용량을 결정하는 식으로는 Darcy-Weisbach식을, 하중을 결정하는 식으로는 합리식을 사용하였으며, 하수관의 용량과 설계유량과의 비로 나타나는 안전도계수를 구하여 이를 하수관망의 위험도와 상관시켰다. 이에 따라 재현기간별 위험도-안전도계수를 얻었으며, 이는 배수관망의 최적설계에 이용될 수 있다.

  • PDF

대규모 아파트 단지주변 하수관로의 악취 발생과 대책 II: 주거지역 하수관로의 악취원인과 대책 (The Foul Smelling from Sewer Pipe near Large Apartment Complexes and its Countermeasures II: The Cause for Foul Odors of Sewer Pipes in Residential Areas)

  • 이장훈;강선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31-639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status of sewer pipes and water-purifier tanks near densely populated areas like large apartment complexes, in order to find out cause for offensive order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main cause arose from the water-purifier tank and public sewer pipes near ordinary residential areas. First, in case of independent water-purifier tanks, the air is forced into the rotten part of large tanks nearby which should be operated in an anaerobic state, so that the tank changes into an aerobic state, or dirty water, which is returned during the sludge return process, falls on the top of the rotten tank, preventing scum from forming within the tank. Such problems cause incompletely purified water in the purifier tank to be discharged, which in turn results in filthy water. Second, in case of public sewer pipes, deteriorated or aging pipes, or the mixture of rain water and dirty water by mixing up combined and separated sewers system can cause foul odors in residential areas. Therefore, offensive odors in residential areas can be radically reduced through the appropriat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including water-purifier tanks. As well, if more separate sewers are installed as part of an improvement project for public sewer pipes, complaints about foul smell can be minimized.

우수관망의 첨두유출량 감소를 위한 최적설계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an Optimal Sewer Layout Model to Reduce Peak Outflows in Sewer Networks)

  • 이정호;박정훈;장동일;전환돈;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85-489
    • /
    • 2008
  • To achieve the optimal sewer layout design, most developed models are designed to determine pipe diameter, slope and overall layout in order to minimize the least cost for the design rainfall. However, these models are not capable of considering the superposition effect of runoff hydrographs entering each junction. The suggested Optimal Sewer Layout Model (OSLM) is designed to control flows and distribute the node inflows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uperposition effect for reducing the inundation risk from the sewer pipes. The suggested model used the genetic algorithm to determine the optimal layout, which was connected to the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for the calculation of the hydraulic analysis. The suggested model was applied to an urban watershed of 35 ha, which is located in Seoul, Korea. By using the suggested model, several rainfall events, including the design rainfall and excessive rainfalls, were used to generate runoff hydrographs from a modified sewer layout. By the results, the peak outflows at the outlet were decreased and the overflows were also reduced.

  • PDF

상관성 분석을 통한 침입수 발생 영향인자 분석 (Factor analysis on infiltration using correlations)

  • 류재나;오재일;최익훈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5-192
    • /
    • 2011
  •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to determine relations between infiltration and affecting factors using flow monitoring data measured in 24 area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actors showed relatively high correlations than others were indexed to determine infiltration rates of the study area. Among 8 factors(service area, sewer length, sewer diameter, multiplier of sewer length and diameter, number of manholes, population, number of properties, number of households) tested, the multiplier of sewer length and diameter,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household in each service area indicated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0.8) than others. The goodness of fitness of linear regressions between infiltration and the factors followed the order: sewer length and diameter(0.68)> population(0.65)> number of household(0.60). Infiltration rates calculated by the multiplier of sewer length and diameter,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household in each service area were 0.046~1.0396 $m^{3}/d{\cdot}mm-km$, 0.0917~1.7355 $m^{3}/capita{\cdot}d$, 0.196~4.529 $m^{3}/household {\cdot}d$ respectively. After sewerage rehabilitation work of the area, the infiltration rates calculated by above factors with high correlations are expected to be used for comparing effectiveness of the work once they are estimated under the same flow measuring conditions.

GIS를 이용한 하수관망해석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a GIS-based Sewer-network Analysis System)

  • 이정훈;김계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9-79
    • /
    • 1998
  • 현대사회는 도로, 상 하수도, 가스, 전화 등 여러 가지 사회기반시설물의 효율적 관리가 필수적이다. 그 중에서도 하수도시설은 지역 주민의 생활환경보호와 공공수역의 수질 보전을 위하여 가능한 최적의 상태로 관리되어야 한다. 기존의 일부 지자체 및 기업체에서는 이러한 하수도시설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수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제약점은 관망의 관리기능만을 제공할 뿐 관망에 부하되는 하수량에 대한 분석기능은 제공치 않으며, 일부 제공된 분석기능은 모든 관거를 획일적인 조건에서 분석하는 관계로 실제업무의 적용에는 현실적으로 타당치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하수시설물에 대한 관망분석을 도시계획도를 기본으로 용도지역별 특성에 따라 조건을 달리하여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각각의 하수관에 부하되는 하수량을 파악학 수 있음은 물론 우수량의 변화 및 인구밀도의 변화에 따라 부하되는 하수량의 변화에 대한 모의실험의 지원과 도시의 팽창 및 신도시의 건설에 따른 하수도 시설설계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물은 통수능 부족관거의 검색을 통하여 민원발생시 적절한 의사결정지원이 가능하며, 관련 업무의 효율성증대 및 대민서비스 향상에 기석도가 크리라 판단된다.

  • PDF

차집관로의 조사 및 분석을 통한 하수관로정비 사업의 효과 감소 원인 분석 (Cause Analysis for Reduced Effect of Sewer Pipe Improvement Project Based On Investigation of Interceptor Sewers)

  • 채명병;배영혜;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9-226
    • /
    • 2018
  • 차집관로는 국유지가 많은 하천변에 매설되어 있어 파손이나 침입수/유입수(불명수, I/I) 의 유입으로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운영효율이 떨어지며, 하수관로 정비사업의 효율도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하수관로 정비사업 효과의 감소원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차집관로를 대상으로 감소원인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즉, 대상지역 3개소를 선정하여 차집관로의 현황조사(관로연장, 관경, 관종, 매설년도, 매설위치 등), 차집관로에 대한 차수(Pump 작업) 및 준설작업을 병행한 관로내부(CCTV)조사, 맨홀내부(육안)조사, 유량 및 수질조사 결과를 이용한 오염부하량 산정 등을 수행하였다. 합류지역은 동시 다측점 유량조사와 차집관로 유량 및 수질(BOD)조사, 오염부하량 비교 등을 수행하였으며, 차집관로 부실화에 따른 침입수/유입수 발생 현황 등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하수관로정비 사업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은 차집관로의 노후화 및 미정비로 인해 공공 하수처리시설로 저농도 하수 및 불명수 유입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스템 해석에 기초한 하수관망 오염 매카니즘과 관망 모니터링 및 이상진단 (Sewer Decontamination Mechanism and Pipe Network Monitoring and Fault Diagnosis of Water Network System Based on System Analysis)

  • 강온유;이승철;김민정;유수민;유창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980-987
    • /
    • 2012
  • 비점오염원은 세정에 의해 하수관 내로 유입되어 수계까지 흘러 수계의 오염부하를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관의 상태에 따라 누수 및 월류를 야기하여 오염을 일으킨다. 이에 따라 하수관거의 유지관리 및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관거내 하수의 유량, 수질, 불명수 및 월류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하수관거의 경우, 지하에 설계되며 그 구조 및 연결이 복잡한 특성으로 인해 실제 하수관거에 대한 모니터링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해석이론에 기초한 하수관망 오염제거 해석과 관망 모니터링 및 이상진단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하수관망 공정모사 프로그램인 Stormwater & Wastewater Management Model for expert (XP-SWMM)을 이용하여 관망 내의 오염물질의 거동패턴을 해석하였다. 둘째, 다변량 통계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하수관망 내의 수질 모니터링 및 하수관망 유출을 탐지하는 관망 이상 진단을 수행하였다. 정적/동적 상태 시스템에 기초한 하수관망 오염 매카니즘 해석결과, 강우시 총질소와 총인 부하량이 비강우시보다 급격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수계의 오염부하를 가중시킬 것으로 판단되다. 이에 따라 하수관망 내 유출은 강우로 생긴 유량 및 유입오염물질의 농도 증가로 인한 관망이상으로 사료된다. 제안된 하수관망 모니터링 및 이상진단 기법은 도시 유역에서의 비점오염원 관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있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