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ttlement space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23초

공공성 회복을 통한 지방 소도시 구도심재생 연구 - 역사, 문화, 생태 도시 완주군 고산을 사례로 - (Urban Regeneration of Old Town in the Rural City by the Recovery of Publicness - Focused on the Example of the History, Culture, Eco City, Gosan, Wanjoo -)

  • 윤성훈;윤희진
    • KIEAE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83-92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for the urban regeneration by constructing contemporary publicness. Beginning with researching on the theoretical fundamentals about publicness and urban regeneration, it introduces the example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ness in the contemporary urban architecture, and finally simulates a model for the formation of space through a real work. Method: The study is partially based on the Executive Urban Project, 'Masterplan to make New Taekrigi : Gosan', which was planned in 2013 to suggest a strategic settlement layout for urban regeneration. Making architectural ideas permeated into the model of urban planing,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of initially pursued concepts to the design development stage, we could encounter a new type of formation of urban space, coinciding with the historical, cultural ecological contexts. Result: The expected result of the study intends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public space and urban structure, also ultimately to produce a urban system as 'space generator' to fulfill the social needs and its requirements.

현대건축에서 외피-구조의 일체화를 통한 공간구축에 관한 연구 - 서천 구도심의 환경재생을 위한 설계개념을 중심으로 - (Formation of Space by Surface-Structure Integra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Based on the Design Concept of Environmental Regeneration of Old Town in Seocheon -)

  • 윤희진
    • KIEAE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65-74
    • /
    • 2015
  • Purpose: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for the formation of space according to the integration of structural concept and architectural concerns in the contemporary era. Beginning with researching on the theoretical fundamentals about surface-structure, it introduces several architectural examples to analyze its own structural form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finally simulates a model for the formation of space through a real work. Method: The study is partially based on the Executive Architectural Project for 'Village of Spring' in Seocheon, which was planned in 2008 to suggest a strategic settlement layout for urban regeneration, and completed in 2012. Making architectural vocabularies permeated into surface-structure,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of initially pursued concepts to the design development stage, we could encounter a new type of innovative space formation. It shows that the structure is one of most useful means for the realization of architectural concepts, and a design itself. Result: The expected result of the study intends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formation and surface-structure, also ultimately to produce a structural system as 'space generator' to fulfill the social needs and its requirements.

지하수 영향을 받는 터널에서의 막장전면그라우팅 설계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Grouting Design Method in Tunnel Under Grorundwater)

  • 안성율;안경철;강세구
    • 한국터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터널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7-128
    • /
    • 2005
  • This Paper present design parameters of grouting by reviewing several published equations and the results of coupled analysis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permeability between soil and grouted zone. Also, the feasibility of couped analysis in the design of grouting is studied for seeping water quantity into tunnel, displacement of tunnel face, drawing down of groud water table, settlement of ground and stress of tunnel supports.

  • PDF

실내압밀시험과 GIS 기법을 이용한 대규모 매립지역의 장기침하량 예측 (A Prediction of Long-Term Settlement in Large Reclamated Sites Using Laboratory Consolidation Tests and GIS Techniques)

  • 박사원;김홍택;박성원;백승철;박상권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5-19
    • /
    • 2006
  • 연약 점토지반에서의 2차 압밀침하량은 일반적으로 전체 압밀침하량에 비해 미소하고 2차 압밀까지의 종료시간도 상당히 길기 때문에 이를 무시하는 경우가 많으나 유기질 또는 고압축성의 점토에서는 비교적 큰 침하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중요한 공학적 요소로 간주된다. 이러한, 준설매립지반의 잔류침하량을 저감시키기 위해선 선행재하공법(preloading)이 주로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매립지역의 장기침하량을 보다 합리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실내에서 단계재하 압밀시험 및 surcharging 압밀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서해안(인천) 및 남해안(광양) 일대의 대규모 준설매립지역에서 시료를 채취했으며, 이 지역내 준설점토의 2차 압밀특성치들을 실험으로 규명하여 장기침하량 예측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지리정보체계(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이하 GIS)의 위치정보(수치지도)에 지반정보(속성자료)를 접목시켜 해당지역의 자료를 D/B화 한 후, GIS의 연산기능 및 공간추정 기능 등을 활용함으로써 대규모 준설매립지역의 2차 압밀침하량을 예측하였다.

  • PDF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성토지지말뚝의 보강 및 아칭효과분석 (Reinforcement Effectiveness and Arching Effect of Geogrid-Reinforced and Pile-Supported Roadway Embankment)

  • 신은철;오영인;이동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1-1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성토지지말뚝의 보강 및 아칭효과를 분석하기위하여 실대형 현장모형시험과 2차원 평면변형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연약지반 상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성토지지말뚝의 현장모형시험은 $3{\times}3$ 콘크리트말뚝을 말뚝간격변화에 따라 연약지반에 타입하고 지오그리드를 포설한 후, 침하량, 수직하중, 지오그리드의 스트레인을 계측하였다. 또한 2차원 수치해석은 범용 유한차분해석 프로그램인 FLAC 2D를 이용하여 현장모형시험에 대한 비교해석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현장모형시험 및 수치해석결과, 말뚝 보강에 의한 지반의 아칭효과는 말뚝캡 중앙부에서 가장 크게 발생하였으며, 말뚝-지반-지오그리드의 강성차이로 인하여 지오그리드에 인장력이 유발되고 지오그리드 인장력발생에 의한 하중전이로 전체 지오그리드 및 성토지지말뚝 보강지반의 부등침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또한, 말뚝간격에 따른 보강효과는 말뚝간격 $D/b{\geq}6.0$일 경우 보강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 PDF

C.G.S공법을 적용한 연약점토지반에서의 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oft Clay Ground by C.G.S Method)

  • 천병식;여유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307-32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침하가 발생한 연약지반에 대하여 저유동성 몰탈에 의한 주입공법인 C.G.S공법의 적용성과 침하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시공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이용하여 지반조건에 적합한 설치직경, 간격, 심도, 주입재, 주입압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한 시공관리기준을 정하여 본 시공을 실시하였다. 본 시공과정 중에는 지반개량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C.G.S개량 전, 후 현장지반조사 및 이에 따른 실내토질시험, 계측관리 등을 수행하였다. 현장 조사시험에 의한 강도특성 확인결과 C.G.S주입 주변지반은 개량전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지반강도가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계측관리 및 압밀특성을 분석한 결과 주변지반의 압밀특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C.G.S주입재의 압축강도시험 결과 주변지반에 비해 강성이 매우 큰 C.G.S주입에 따른 복합지반효과를 통해 지지력 증대효과 및 응력분담으로 장래침하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연약점성토 지반에서 C.G.S주입시공에 의한 침하억제효과로부터 공법의 적용성이 매우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오그리드와 말뚝으로 보강된 성토지반의 보강 및 아칭효과 연구 (Reinforcement and Arching Effect of Geogrid-reinforced and Pile-supported Embankments)

  • 오영인;신은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0호
    • /
    • pp.5-16
    • /
    • 2005
  • 토목섬유로 보강된 성토지지말뚝공법은 기존 성토지지말뚝공법의 말뚝간격처리 및 말뚝캡 면적문제를 개선하며 효과적으로 지지력을 보강하고 특히 전체침하 및 부등침하 감소시킬 수 있는 공법으로 최근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성토지지말뚝공법의 보강 및 아칭효과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하여 지오그리드 보강유무, 말뚝간격변화에 따른 현장모형실험과 2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적 연구는 범용 유한차분해석 프로그램인 FLAC 2-D를 사용하였으며, 지반-말뚝-지오그리드의 하중전달 메카니즘에 대하며 분석하였다.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성토지지말뚝의 하중전달은 성토제체 내의 아칭효과, 지오그리드의 인장, 말뚝으로의 응력전이 등의 과정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현장모형실험 및 수치해석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오그리드의 보강에 따라 아칭효과는 미소하게 감소하지만, 부등침하는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b=3(D: 말뚝캡 간격, b: 말뚝직경)일때 무보강 지반에 비하여 $40\%$의 침하가 감소하며, D/b=6이상일 경우는 지오그리드에 의한 하중전이가 발생하지 않아 보강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향점수매칭법을 이용한 정주공간 유형별 주관적 삶의 질 수준 비교 (Comparison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by Settlement Type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 권인혜;박인권
    • 지역연구
    • /
    • 제38권2호
    • /
    • pp.21-41
    • /
    • 2022
  • 이 연구는 도시-농촌, 수도권-비수도권 등 서로 다른 정주공간 속에서 주민들이 인식하는 주관적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8년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전국 시·군을 대상으로 조사한 '균형발전을 위한 삶의 질 만족도 설문조사' 원자료를 이용하고 성향점수매칭 방법을 도입하여 정주공간 유형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역생활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모든 유형 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고, 행복도의 경우 농촌 주민이 수도권 도시와 비수도권 도시 거주 주민에 비해 더 높은 수준임을 보여준다. 영역별 삶의 질을 살펴보면, 기초생활환경, 의료, 문화·여가 영역에서는 수도권 도시 주민의 삶의 질 수준이 대체로 가장 높은 반면, 일자리·소득, 환경, 공동체, 복지 영역에서는 농촌 주민의 삶의 질 수준이 수도권 및 비수도권 도시 주민보다 높다. 흥미롭게도 비수도권 도시가 강점을 보이는 영역은 발견되지 않는다. 이 결과는 점점 더 고도화되는 도시화 경향 속에서도 농촌이 갖는 가치를 보여주며, 농촌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만의 가치를 강화해야 함을 시사한다. 농촌의 환경·경관 가치를 훼손하는 난개발 문제에 대응하고 농촌 정주환경을 조화롭게 정비·개발해가기 위해 공간계획에 기반한 농촌재생과 같은 정책적 노력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도심 옛마을에 있어서 커뮤니티 공간의 특성 및 변화 (The Characteristics and its Change of Community Space in the Old Settlements of Cheongju City)

  • 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43-50
    • /
    • 2013
  •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its change of spatial elements for community focused on the existing 22 old settlements in urban area of Cheongju. These community spaces are mainly divided into three parts, that is central space, inner road, and blind alley(cul-de-sac).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m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central spaces is lasting, but the function is influenced by changing times. The function of central spaces located at the entrance to the village had been reduced to adjustments to modern lifestyle, and currently changed into senior citizen community center, supermarket, and public area. Secondly, as the width of the existing inner roads passed through old settlements had been extended, they are changed into pedestrian and traffic road, but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m have been maintained. When new roads passed through old settlements had been established, the shape of old inner roads is disappeared, and the function of them is changed into byway and alley. Thirdly, cul-de-sacs of old settlements have tended to create a sense of community, but new cul-de-sacs formed by lot division have been only changed to passage. When new roads are established and cul-de-sacs are changed into alleys, the community between individual households is lost.

귀촌형 공동체마을 조성을 위한 생활환경과 사회환경 측면의 가이드라인 개발 (Guidelines Development of Living and Social Environmental Aspects for the Planning of Back-to-Farm Community Village)

  • 박경옥;이상운;정지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10
    • /
    • 2018
  • In order to give back-to-farm residents the stable settlement environment in the rural area, the 'community village' is desirable as the village type and its village planning guideline should be supported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uideline for the planning of back-to-farm community village in the living and social environmental aspects, based on the comprehensive comparative analysis about items that field survey and literature suggested. The guideline for the living environment was developed for 6 items; village structure(adequate size, lot, outer space for household), village landscape(allocation, space composition), road system and transportation(parking lot in village, placement of bus stops, village trail, public transportation, road and pedestrian system), common living facilities and common space(number, size, location & placement, plan type, planning type of common facilities), transfer space, individual housing(type, size, planning type). The guideline for the social environment was developed for 3 items; village making and establishment(resident participation type, resident participation tool, residents' construction participation) and resident education in the course of planning, resident participation(gathering resident opinion, decision making, composition of construction committee, community newsl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