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uidelines Development of Living and Social Environmental Aspects for the Planning of Back-to-Farm Community Village

귀촌형 공동체마을 조성을 위한 생활환경과 사회환경 측면의 가이드라인 개발

  • Received : 2018.01.10
  • Accepted : 2018.02.22
  • Published : 2018.02.25

Abstract

In order to give back-to-farm residents the stable settlement environment in the rural area, the 'community village' is desirable as the village type and its village planning guideline should be supported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uideline for the planning of back-to-farm community village in the living and social environmental aspects, based on the comprehensive comparative analysis about items that field survey and literature suggested. The guideline for the living environment was developed for 6 items; village structure(adequate size, lot, outer space for household), village landscape(allocation, space composition), road system and transportation(parking lot in village, placement of bus stops, village trail, public transportation, road and pedestrian system), common living facilities and common space(number, size, location & placement, plan type, planning type of common facilities), transfer space, individual housing(type, size, planning type). The guideline for the social environment was developed for 3 items; village making and establishment(resident participation type, resident participation tool, residents' construction participation) and resident education in the course of planning, resident participation(gathering resident opinion, decision making, composition of construction committee, community newsletter).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영.김철영, 마을만들기를 위한 주민참여워크샵에서 디자인게임의 활용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 15권 2호, 2014
  2. 김대식.전택기.배승종, 농촌마을단위의 정주환경진단지표 개발, 농촌계획, 제 16권 3호, 2010
  3. 김진경.민범기.이재준, 수원시 마을만들기 시민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2011년, 2012년 마을르네상스 학교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 14권 2호, 2013
  4. 나하영.천득염, 생태마을의 계획요소 적용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안솔기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 18권 6호, 2007
  5. 박경옥.이상운.류현수, 전원마을조성사업에 의한 귀촌형 공동체마을의 주민참여 계획과정 특성; 남원시 작은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 24권 3호, 2013
  6. 박경옥.이상운, 지속가능한 귀촌형 공동체마을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 30권 1호, 2014
  7. 송정석.박정은.이효원, 생태마을 공용공간의 공간 구성 형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제 9권 2호, 2009
  8. 신연호.김원필, 단지내 공동체의식 활성화를 위한 외부공간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단지형 전원주택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 24권 5호, 2008
  9. 전영미, 농촌 문화 마을의 주거환경 실태와 주관적 평가, 박사학위청구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1999
  10. 전호상, 계획공동체 마을의 공간구성, 박사학위청구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7
  11. 채진해.이석현.조경진, 가로환경개선을 위한 주민참여형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분석 연구; 시흥시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 47권 3호, 2012
  12. 최정신, 덴마크 자치관리모델(Self-work Model)노인용 코하우징의 디자인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제 41권 4호, 2003
  13. 최정신, 국내 계획공동체 마을의 주민참여의 실태 및 특성,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19권 5호, 2008
  14. 최정신, 스웨덴 훼르셸 생태마을의 주민참여 실태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 28권 2호, 2010
  15. 최정신, 스웨덴 코하우징의 물리적 환경 디자인 평가, 스칸디나비아 연구, 13호, 2012
  16. 한민정.이상호, 코하우징에 적용된 커뮤니티 개념의 계획기법에 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 16권 6호, 2005
  17. 한민정, 스웨덴과 미국 코하우징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스칸디나비아 연구, 7호, 2006
  18. 한주희, 맞벌이 가족을 위한 한국형 코하우징 계획안, 박사학위청구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부천, 2005
  19. Cohousing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http://www.cohousing.org/six_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