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ttlement monitoring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3초

폐콘크리트 재생잔골재의 하수관거 모래기초 적용에 따른 침하 거동 (Settlement of Fine Recycled-concrete Aggregates Foundation under Sewage Conduit System)

  • 오재일;안남규;이주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86-49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일반(천연)모래를 대체하여 폐콘크리트 재생잔골재(이하 재생모래)를 하수관거 모래기초용 재료로 활용하였을 경우 재생모래의 지반적 거동(침하)에 대한 다양한 적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상대적 재료 특성 차이에 따른 침하량 전산모사(FLAC 사용)를 실시하였으며 실내 재하 실험을 통한 즉시침하 평가, 우수에 의해 예상되는 재료특성 변화를 살펴본 후 실규모급 현장 적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FLAC으로 예측된 재생모래기초의 침하량은 $5.0{\times}10^{-6}\;m$ 미만이었으며, 실내 침하실험에서는 침하가 발생되지 않았다. 또한 용출에 인한 재료특성(흡수율 등) 변화 역시 미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규모급 현장 시공의 침하 모니터링 결과, 원지반의 압밀침하로 예상되는 5 mm의 침하만이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서 재생모래의 하수관 모래기초 적용성은 충분한 타당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PLAXIS 3D simulation, FLAC3D analysis and in situ monitoring of Excavation stability

  • Lei, Zhou;Zahra, Jalalichi;Vahab, Sarfarazi;Hadi, Haeri;Parviz, Moarefvand;Mohammad Fatehi, Marji;Shahin, Fattahi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4권6호
    • /
    • pp.743-765
    • /
    • 2022
  • Near-surface excavations may cause the tilting and destruction of the adjacent superstructures in big cities. The stability of a huge excavation and its nearby superstructures was studied in this paper. Some test instruments monitored the deformation and loads at the designed location. Then the numerical models of the excavation were made in FLAC3D (a three-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code) and Plaxis-3D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code). The effects of different supporting and reinforcement tools such as nails, piles, and shotcretes on the stability and bearing capacity of the foundation were analyzed through different numerical models. The numerically approximat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in-field monitored results and reasonable compatibility was obtained. It was concluded that the displacement in excavation and the settlement of the nearby superstructure increases gradually as the depth of excavation rises. The effects of support and reinforcements were also observed and modeled in this study. The settlement of the structure gradually decreased as the supports were installed. These analyses showed that the pil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earing capacity and decreased the settlement of the superstructure. As a whole, the monitoring and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were in good consistency with one another in this practically important project.

인천지역 비위생 매립지반의 침하특성 연구 (The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Incheon Unsanitary Solid Waste Landfill)

  • 조석호;임주현;김학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7호
    • /
    • pp.37-42
    • /
    • 2008
  • 인천시 소재 OO지역 비위생 매립지를 대상으로 선행하중(pre-loading) 공법에 의한 성토시 폐기물층의 침하 계측을 바탕으로 기존에 제시된 경험적 침하 모델을 적용하여 침하 모델의 적용성과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매립 연한이 20년이 지난 비위생 매립에서의 1년간의 성토기간 동안에 9개 지점의 지표면 침하판, 2개의 층별 침하계를 설치하고 약 300일간의 계측을 통해 비위생 매립지의 침하량을 측정하였다. 초기 침하 부분에서 기존의 침하 예측 모델과 본 현장의 침하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PCL(Power Creep Law)모델의 경우 실측 범위내에서 근접한 결과를 보였으나 쌍곡선(hyperbolic) 모델과 Bjarngard와 Edgers 모델의 경우 초기 실측 범위인 약 $50{\sim}70$일부터 300일까지 실측치와 근접하게 예측되었다.

표준간극비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 축조재료의 다짐 관리 (Compaction Management of Fill Materials for Concrete Faced Rockfill Dam Using Standard Void Ratio)

  • 김용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4호
    • /
    • pp.59-66
    • /
    • 2006
  • In this study, construction modulus, void ratio and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38 CFRD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were investigated from monitoring data. The effect of field dry density and void ratio to dam body was analyzed. The standard void ratio of CFRD that can be easily used by dam designers and field engineers was proposed from the monitoring data. It was confirmed that we can get the degree of compaction needed for reasonable compaction of dam body by calculating the field dry density from inverse operation of the standard void ratio. It was thought that the void ratio of CFRD depends on shape coefficient and in case of a high shape coefficient, the void ratio was high with its void ratio 0.17 -0.38.

경부고속철도 토공부에 대한 변형상태 계측 및 분석 (Measurements and Analysis of Deformation States in Roadbed in Gyeongbu High Speed Railway)

  • 진남희;김남혁;심현우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42-1549
    • /
    • 2009
  • The function of subgrade in the railway is to support track load on the subgrade as well as train load. Unlike the traditional railway, the uppermost subgrade layer in the Gyeongbu high speed railway was constructed as the reinforced road bed. The reinforced road bed comprises sub-ballast in the upper part and grade ballast in the lower part.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soil and rocks in the subgrade can be settled by consolidation of original ground, compression due to self weight, plastic displacement due to train operation, and unequal settlement due to embankment material or improper compaction, therefore many efforts have been given for sufficient compaction and use of proper filling materials in the construction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formation state of subgrade in the Gyeongbu high speed railway. The investigation on the subgrade settlement was performed by choosing representative sections suspected to be settled based on the previous GPR test results and track maintenance history, measuring the settlement for some time period after installing settlement measuring instruments on and under the reinforced road bed. and analyzing the long-term subgrade settlement data from monitoring system which was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tage of the high speed railway.

  • PDF

산지경관 파편화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for Forest Landscape Fragmentation Monitoring)

  • 안승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454-467
    • /
    • 2019
  • 이 연구는 산지를 이용한 산지경관 파편화 모니터링을 제안하고 실효성을 검토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산지경관이 최근 9년간 빠르게 파편화되고 있어서 국가적 모니터링과 관리가 시급하다. 둘째, 산지경관(GIS) 기반의 평면적 파편화 조사만으로는 중요한 생태적 변화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조사체계와의 연계가 필요하다. 셋째, 산지경관 파편화 모니터링을 환경영향평가 재해영향평가 등과 연계하여 사전예방원칙을 제도화해야 한다.

Pipeline deformation caused by double curved shield tunnel in soil-rock composite stratum

  • Ning Jiao;Xing Wan;Jianwen Ding;Sai Zhang;Jinyu Liu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6권2호
    • /
    • pp.131-143
    • /
    • 2024
  • Shield tunneling construction commonly crosses underground pipelines in urban areas, resulting in soil loss and followed deformation of grounds and pipelines nearby, which may threaten the safe operation of shield tunneling.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ipeline deformation caused by double curved shield tunnels in soil-rock composite stratum in Nanjing, China. The stratum settlement equation was modified to consider the double shield tunneling. Moreover, a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was established to explore the effects of hard-layer ratio, tunnel curvature radius, pipeline buried depth and other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s indicate the subsequent shield tunnel would cause secondary disturbance to the soil around the preceding tunnel, resulting in increased pipeline and ground surface settlement above the preceding tunnel. The settlement and stress of the pipeline increased gradually as buried depth of the pipeline increased or the hard-layer ratio (the ratio of hard-rock layer thickness to shield tunnel diameter within the range of the tunnel face) decreased. The modified settlement calculation equation was consistent with the measured data, which can be applied to the settlement calculation of ground surface and pipeline settlement. The modified coefficients a and b ranged from 0.45 to 0.95 and 0.90 to 1.25, respectively. Moreover, the hard-layer ratio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ipeline settlement, but the tunnel curvature radius and the included angle between pipeline and tunnel axis played a dominant role in the scope of the pipeline settlement deformation.

수평경사계를 이용한 토사터널의 선행변위 예측 (Prediction of Preceding Displacement of a Soil-Tunnel by Displacement Monitoring using Horizontal Inclinometer)

  • 김주화;채영수;박연준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5호
    • /
    • pp.355-365
    • /
    • 2008
  • 터널의 굴진에 따른 변위량은 터널 주변지반의 지질상태, 굴착방법, 보조공법 등에 따라 다양한 값을 보여 값을 예측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변위량을 파악하여 터널굴진 시 주변지반의 지표침하 및 상부구조물의 침하량을 예측하고, 상부구조물의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완대책 공법의 대책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수평경사계를 이용하여 굴착이전 막장 전반부에서 발생하는 침하량과 굴착직후 발생하는 침하량을 계측 하였다. 현장계측 결과를 토대로 역해석을 실시하여 최종 지반 물성치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지반 물성치를 이용하여 터널의 굴진이 터널 직상부에 인접한 구조물 기초의 침하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수직구 굴착시 스마트 터널기반 지하수위 현장계측과 수치해석 비교 연구 (Comparison of measured values and numerical analysis values for estimating smart tunnel based groundwater levels around vertical shaft excavation)

  • 이동혁;정상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153-167
    • /
    • 2024
  • 최근 도심지에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지반침하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원인 중 하나는 지하수위의 변화이다. 본 연구에서는 굴착깊이가 깊은 수직구 굴착공사의 한 예로 「◯◯◯◯ 복선전철 민간투자사업」의 작업구를 대상으로 지하수위 저하량에 대한 현장계측 결과와 수치해석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지하수위 저하에 대한 검토를 실시할 경우, 현장조건들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지반조건을 분석하여 적용하여야 하며, 지하수위는 측정시기를 확인하여 적절한 수위를 적용하여야 시공 시 지하수위의 저하량과 유사한 예측 값을 도출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CTV 및 GPR을 이용한 하수관로 결함 및 지반함몰 위험성 평가 (Analysis of Sewer Pipe Defect and Ground Subsidence Risk by Using CCTV and GPR Monitering Results)

  • 이대영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47-55
    • /
    • 2018
  • 도심지 지반함몰 현상은 최근 5년간 그 빈도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지하공동의 발달은 지표 침하를 발생시키고 그로 인한 포장재의 취성파괴를 유발시킨다. 본 연구는 도심지 지반함몰의 주원인인 노후화된 하수관로 손상에 의한 지반침하를 예방하기 위한 평가기법 개발 기초연구 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노후하수관로 하수관로 CCTV 조사를 통해 지반침하 발생 위험구간에 대해서 GPR 조사를 수행하였다. 하수관로 CCTV 조사와 GPR조사 결과를 통해 노후하수관로의 파손, 이음부 이탈, 토사퇴적 부위에서 지반 이상신호를 확인 할 수 있었다. GPR 조사를 통해 노후하수관로 주변 지반의 공동발생 가능성과 지반이완상태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CCTV와 GPR 데이터의 결과를 이용한 상관관계 평가방법을 이용하면 하수관로 손상으로 인한 지반침하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