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tlement of Fine Recycled-concrete Aggregates Foundation under Sewage Conduit System

폐콘크리트 재생잔골재의 하수관거 모래기초 적용에 따른 침하 거동

  • Oh, Je-Ill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 Chung-Ang University) ;
  • Ahn, Nam-Kyu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 Chung-Ang University) ;
  • Lee, Ju-Yo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 오재일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 안남규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 이주영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5.05.31

Abstract

Fine recycled-concrete aggregates(RCAs) instead of natural sand were tested for a foundation material under sewage conduit system, which was evaluated based on foundation settlement at various conditions. To obtain this applicability of RCAs, the settlement behavior was simulated with FLAC program based on the difference of material properties, and immediate settlement behaviors and the change of material properties under the simulated drainage conditions also tested at the various loading conditions in the laboratory. Finally, large-scale settlement test in the field was conducted to prove the above feasibilities. Subsequently, the amount of settlement from the FLAC simulation was calculated under $5.0{\times}10^{-6}\;m$ and the extent of settlement and property changes (porosity, permeability and waster absorption) was not noticeable from the laboratory experiments. Also, settlement monitoring from the field experiment showed the consistent results with laboratory experiments except for the consolidation settlement(=5 mm) of the round below the foundation. In summary, adopting fine RCAs as a foundation material for sewage conduit system was resonable based of geotechnical point of view.

본 연구에서는 일반(천연)모래를 대체하여 폐콘크리트 재생잔골재(이하 재생모래)를 하수관거 모래기초용 재료로 활용하였을 경우 재생모래의 지반적 거동(침하)에 대한 다양한 적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상대적 재료 특성 차이에 따른 침하량 전산모사(FLAC 사용)를 실시하였으며 실내 재하 실험을 통한 즉시침하 평가, 우수에 의해 예상되는 재료특성 변화를 살펴본 후 실규모급 현장 적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FLAC으로 예측된 재생모래기초의 침하량은 $5.0{\times}10^{-6}\;m$ 미만이었으며, 실내 침하실험에서는 침하가 발생되지 않았다. 또한 용출에 인한 재료특성(흡수율 등) 변화 역시 미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규모급 현장 시공의 침하 모니터링 결과, 원지반의 압밀침하로 예상되는 5 mm의 침하만이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서 재생모래의 하수관 모래기초 적용성은 충분한 타당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환경부,'2000 전국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2001)
  2. 김진만, 이세현, 윤현도, '콘크리트 리사이클링:폐콘크리트 재활용,' 한국콘크리트학회지,15(2),14-20(2003)
  3. 김진철,심재원,조규성,'재생골재 콘크리트의 재활용 기술현황,' 한국도로포장공학회지,5(4),21-35(2004)
  4. 이진용,'폐콘크리트의 재활용,' 대한토목학회지,46(16),11-16(1998)
  5. 오재일,'재생골재의 하수관 기초 활용성 평가,' 건설 폐기물 자원화 기술 및 정책 발표회,국회환경포럼,서울,pp. 16-28(2004)
  6. 김진만,이세현,'콘크리트용 골재로서 순환골재의 활용방안,' 재생(순환)골재의 합리적 이해 및 활용방안 세미나,서울,한국건설신문(2004)
  7. 환경부,하수도시설기준,한국수도협회,pp. 155-165 (1998)
  8. 이광우,'단독캡을 사용한 성토지지말뚝의 하중분담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pp. 49-56 (1999)
  9. 안남규,김태형,오재일,이주영,'폐콘크리트 재생잔골재를 활용한 개량 폐광미 매립지의 사면안정해석,' 대한환경공학회지,27(2),145 - 150(2005)
  10. Itasca Consulting Group,Inc.,'FLAC version 3.23 manual,'(1993)
  11. 김상규,토질역학 이론과 응용,청문각,pp. 117-118 (1999)
  12. Braja M. Das 著, 서울대학교 토목공학과 토질공학연구 실 譯,토질역학원론,구미서관,pp. 230-233(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