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amol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1초

Sesamol 급여 흰쥐의 대사물질 측정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and Its Metabolites in Rat Fed Sesamol)

  • 이민선;김현위;방선권;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2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참깨 내 리그난 성분 중 하나인 sesamol의 신체 내 대사과정을 이해하고 항산화 활성이 있는지 측정하고자, 생후 8주령의 Sprague Dawley수컷 흰쥐 20마리를 control군(n=10)과 0.5% sesamol군(n=10) 급여군으로 나누어 3주간 사육한 후 조직 중 sesamol 대사물을 측정하고 조직의 과산화 지질 함량, glutathione 함량, glutathione-5-transferase활성 및 항산화 효소 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실험동물의 장기무게에 있어 간과 신장 모두 일반식이군에 비해 sesamoi 급여군의 무게가 약간 높게 나타났고, 간 조직 내 glutathione함량은 일반식 이 가 sesamol를 급여한 군보다 높게 나타나 sesamol의 급여로 인한 glutathiones-transferase활성 증가에 전자공여체로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Sesamol이 간 조직 내 glutathlone perokid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한 결과 sesamol 급여 군이 일반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sesamol이 생체내에서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을 높여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esamol을 급여함에 따라 catalase활성 또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PLE를 이용한 sesamol의 대사산물의 측정 결과 sesamol을 섭취시킨 쥐의 간과 신장에서 sesamol peak가 확인되었으나 대장과 소장, 췌장 및 위에서는 sesamol peak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FAH-MS spectrum측정 결과 분자량 138의 sesamol과 기타 241과 259의 intense를 나타내는 미지의 분자량을 측정하였으나, 물질 양이 적어 동정에는 이르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 sesamol의 생체내에서 항산화redoxsystem을 거쳐 대사되고 간과 신장에 축적되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Sesamol 유도체의 합성 및 생물활성 (Synthesis of Sesamol Derivatives and Biological Activities)

  • 차배천
    • 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31-136
    • /
    • 2008
  • Sesamol, one of constituents isolated from sesame seed (Sesamum indicum L.) has been known to have natural antioxidant property. Nicotinic acid and clofibric acid have been used for treatment of hyperlipidemia. Sesamol derivatives prepared by conjugation with nicotinic acid (SJ-301) and clofibric acid (SJ-302) were expected to have various biological activity caused by synergistic effect of sesamol. Thus,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ynthesis of sesamol derivatives from seasamol and antihyperlipidemia drug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As a result, SJ-301 showed a stronger antihyperlipidemia activity in vivo and inhibitory effect on $TNF-{\alpha}$ release in vitro compared to the original agents such as sesamol, nicotinic acid and clofibric acid.

국내 산지별 참기름의 HPLC에 의한 Sesamin, Sesamol의 함량과 Villavecchia-suarez 정색반응 (Sesamin and Sesamol Contents of Korean Sesame Oils Determined by HPLC Method and Villavecchia-suarez Color Reaction of the Oils)

  • 이철원;곽인신
    • 환경위생공학
    • /
    • 제10권3호
    • /
    • pp.1.2-8
    • /
    • 1995
  • In the present study the sesamin and sesamol contents of the sesame extracts prepared from nine provinces in Korea were determined HPLC method. A comparative test was also carried out using the Villavecchia-suarez test, the red colored reaction for the sesamol and sesamol derivatives. The contents of sesamin and sesamol of the sesame oils from each area by the HPLC method were 0.57~0.78% and 0.010-0.023%, respectively. and the paralled results were obtained by the Villavecchia-suarez test and the HPLC method. The average contents of the sesamin was $0.68{\pm}0.074%$ by the HPLC method and the average absorbance of the Villavecchia-suarez test was $0.56{\pm}0.034$. The contents of sesamol from sesame oil by the HPLC method and the Villavecchia-suarez test were so low that it was not possible to correlate with the sesamin contents. The contents of sesamol from the sesame oil produced in Kyeong-gi and Jeon-nam provinces were $0.010{\pm}0.002%$ and $0.023{\pm}0.004$, respectively.

  • PDF

국내 산지별 참기름의 HPLC에 의한 Sesamin, Sesamol의 함양과 Villavecchia-suarez 정색반응 (Sesamin and Sesamol Contents of Korean Sesame Oils Determined by HPLC Method and Villavecchia-suarez Color Reaction of the Oils)

  • 이철원;곽인신
    • 환경위생공학
    • /
    • 제11권1호
    • /
    • pp.1-8
    • /
    • 1996
  • 본 실험에서는 국내 각 지역에서 생산된 참깨에서 착유한 참기름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산지별 sesamin과 sesamol 함량의 분포는 각각 0.57~0.78%, 0.010~0.023%이었다. Villavecchia-suarez test 에서 얻은 흡광도와 HPLC법에 의한 sesamin 함량과의 상관관계에서는 거의 비례관계가 성립하였으며, 산지별로는 제주지역에서 얻은 것이 sesamin 함량은 $0.78{\pm}0.006%$, Villavecchia-suarez test의 결과(absorbance)는 $0.58{\pm}0.037$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한편 충북지역에서 얻은 것은 sesamin 함량이 $0.57{\pm}0.006%$이고, Villavecchiasuarez test의 결과(absorbance)는 $0.51{\pm}0.050$으로 국내 지역 중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Villavecchia-suarez test에서 얻은 흡광도와 HPLC 분석에 의한 sesamol 함량과의 상관관계에서는 HPLC 분석에 의해서는 참기름의 sesamol 함량이 너무 적어서 어떤 일정한 관계를 설정할 수 없었다. 한편 sesamol 함량은 경기지역이 $0.010{\pm}0.002%$로 가장 낮았고, 전남지역이 $0.023{\pm}0.0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Villavecchia-suarez test에서 얻은 홉광도와 HPLC 분석에서 얻은 sesamin과 sesamol 합계 함량의 상관 관계에서는 전반적으로 sesamin의 함량에 따라 Villavecchia-suarez test의 흡광도에 비례하여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세사몰 고함유 참기름 추출 연구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Sesame Oil with High Content of Sesamol)

  • 주영운;손민호;이주석;이문영;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205-209
    • /
    • 2005
  •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참기름을 생산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참깨에만 존재하는 천연항산화제인 세사몰을 고함 유한 참기름의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참깨의 볶음온도와 시간, 초임계 유체의 압력과 온도 그리고 초임계 유체의 유속 그리고 보조용매로 물을 사용시 세사몰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참깨를 $200^{\circ}C$ 이상 배전시 급격히 세사몰 양이 증가하였고, 배전시간을 늘림으로써 그 양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었다. 초임계 유체추출시 세사몰 함량은 온도와 압력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리고 초임계 유체의 유속의 경우 유속을 오히려 낮췄을 때 세사몰의 함량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유속이 낮아짐으로서 시료와의 접촉시간이 증가하므로 세사몰의 추출메카니즘이 확산에 의해 이뤄짐을 알 수 있었다. 보조용매로 물을 $0{\~}1\%$로 증가함으로서 세사몰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기존 압출추출방법과 초임계 추출 방법을 비교한 결과 기존 방법 대비 세사몰 함량이 6.6배, 보조 용매 사용시 11.5배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산(韓國産) 식물식용유지(植物食用油脂)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4보(報) : 참깨와 들깨종자중(種子中)의 Sesamol의 정량(定量)-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Edible Oils and Fats -Part 4. Determination of Sesamol in Sesame and Perilla Seeds-)

  • 황성자;고영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4호
    • /
    • pp.177-186
    • /
    • 1980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ompare the sesamol contents in the methanol extracts and unsaponifiable matters from raw and baked seeds of Korean sesame and perilla by thinchrography. The oil and sesamol contents of sesame seeds were higher than those of perilla seeds. The contents of sesamol in raw and baked sesame seeds were 0.22 and 0.096% respectively in methanol extracts and 0.41 and 0.29% respectively in unsaponifiable matters. The sesame contents in raw and baked perilla seeds were 0.0022 and 0.0043% respectively in methanol extracts and not detected in unsaponifiable matters.

  • PDF

가열 산화 시 참기름 시료의 세사몰과 세사몰린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s of Sesamol and Sesamolin in Sesame Oils during Thermal Oxidation)

  • 이승욱;김태수;김미자;이재환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420-425
    • /
    • 2011
  • 유리지방산(FFA), 글리세롤, MAG, 세사몰, 수용성 참깨박 추출물(ASM) 첨가에 의한 213$^{\circ}C$에서 21분 볶아 제조된 참기름의 180$^{\circ}C$ 열산화 시 세사몰과 세사몰린 함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90분간의 열산화에 의해 FFA와 MAG가 10% 첨가된 시료는 각각 0.94, 0.70 mM의 세사몰이 유의적으로 추가 생성되었으나 대조구는 0.09 mM만 증가하였다(p < 0.05). 세사몰린의 경우 FFA와 MAG 10% 첨가 시료는 대조구에 비해 15 및 18%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1.5와 2.5 mM 첨가 세사몰은 세사몰린의 유의적인 변화를 유발하지 않았다(p > 0.05). ASM 첨가 시료에서 세사몰과 세사몰린의 일관적인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고온에서 볶은 참깨로부터 착유된 참기름의 가열 산화 시세사몰 생성 및 세사몰린 분해에는 FFA 및 MAG 같은 유지산화생성물의 함량에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폐자원(게껍질, 참깨박, 감귤껍질)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소거작용 (The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Waste Resource (carb shell, sesame meal, Korean tangrin peal) Extracts)

  • 김수민;조영석;성삼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89-593
    • /
    • 2001
  • 폐자원으로 얻어지는 게껍질, 감귤껍질, 참깨박이 free radical 반응 및 지방산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과 nitrosamine 생성의 직접적인 영향인자인 아질산염에 대한 폐자원의 분해 효과를 검토하였다. 폐자원(게껍질, 참깨박, 감귤껍질)으로 부터 유효성분인 chitosan, crude sesamol, ascorbic acid는 각각 11.6%, 2.2%, 2.8%로 나타났으며, TBARS값은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어 항산화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전자공여능은 chitosan 29.8%, crude sesamol 35.2%, 감귤껍질 추출물 15.8%로 나타났으며, SOD 유사활성능은 전반적으로 SOD 유사활성이 8%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chitosan 51.3%, crude sesamol 19.9%, 감귤껍질 추출물 8.4%로 나타났다. 폐자원 추출물의 nitrite 소거작용은 pH 1.2에서 chitosan 17.4%, crude sesamol 56.4%, 감귤껍질 추출물 19.0%로 나타났으며, crude sesamol이 pH 1.2와 pH 3.0에서 각각 56.4%, 55.4%의 높은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 PDF

Antioxidant Activity of Lignan Compounds Extracted from Roasted Sesame Oil on the Oxidation of Sunflower Oil

  • Lee, Jin-Young;Kim, Moon-Jung;Choe, Eun-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981-987
    • /
    • 2007
  • Effects of lignan compounds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extracted from roasted sesame oil on the autoxidation at $60^{\circ}C$ for 7 days and thermal oxidation at $180^{\circ}C$ for 10 hr of sunflower oil were studied by determining conjugated dienoic acid (CDA) contents, p-anisidine values (PAV), and fatty acid composition. Contents of lignan compounds during the oxidations were also monitored. ${\alpha}$-Tocopherol was used as a reference antioxidant. Addition of lignan compounds decreased CDA contents and PAY of the oils during oxidation at $60^{\circ}C$ or heating at $180^{\circ}C$, which indicated that sesame oil lignans lowered the autoxidation and thermal oxidation of sunflower oil. Sesamol was the most effective in decreasing CDA formation and hydroperoxide decomposition in the auto- and thermo-oxidation of oil,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lpha}$-tocopherol.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added to sunflower oil were degraded during the oxidations of oils, with the fastest degradation of sesamol. Degradation of sesamin and sesamolin during the oxidations of the oil were lower than that of ${\alpha}$-tocopherol. The results strongly indicate that the oxidative stability of sunflower oil can be improved by the addition of sesamol, sesamin, or sesamolin extracted from roasted sesame oil.

$\alpha$-Linolenic Acid가 농축된 들깨지방산 에스테르에 대한 참깨 Lignan 물질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 of Sesame Lignans on $\alpha$-Linolenic Acid-Concentrated Perilla Fatty Acid Esters)

  • 정보영;류수노;허한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033-1038
    • /
    • 1997
  • Antioxidant effect of several antioxidative components on the high purity $\alpha$-linolenic acid(HALA; ALA, 78.1%) ethyl ester concentrated from perilla oil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weight-gains and peroxide value(POV) during storage at 5$0^{\circ}C$, 23$^{\circ}C$ and 4$^{\circ}C$. Amounts of antioxidant components were 0.2g/kg HALA ethyl ester for sesamin, sesangolin and butylated hydroxytolune(BHT), and 0.1g/kg for sesamol and 100g/kg for ether extracts from perilla seed. The oxidative stability of HALA ethyl ester was particularly increased by adding sesamol, ether extracts and BHT, but sesamin and sesangolin scarcely showed an antioxidant effect. POV on the HALA ethyl ester added sesamol and ether extract was less than 15.0meq/kg by 9 weeks of storage at 23$^{\circ}C$. However, in the case of low temperature storage at 4$^{\circ}C$, all the samples estimated showed less than 7.0meq/kg in POV by 5 months. Consequently, sesamol and ether extracts were recognized as available antioxidant components on the HALA ethyl ester from perilla oi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