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um-free media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5초

RWPE-1 전립선세포에서 eritadenine을 함유한 신령버섯균사체 액체배양물의 항염증효과 및 항산화효과에 의한 전립선비대증 관련 biochemical marker 개선 효과 (Agaricus blazei Mycelial Liquid Culture Extract Containing Eritadenine Improves Benign Prostatic Hyperplasia-related Biochemical Markers in RWPE-1 Cells through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ons)

  • 하영래;문연규;김나현;허정두;조민정;김예라;김영숙;김정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1147-1155
    • /
    • 2018
  • 신령버섯균사체 액체배양 추출물(Agaricus blazei mycelial liquid culture extract, ABMLCE)은 TM-3 mouse Leydig 고환세포에서 testosterone (TS)의 생성을 촉진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eritadenine (EA, 15.3 mg/100 g)을 함유한 ABMLCE가 RWPE-1 전립선세포에서 전립선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관련 핵심 효소인 $5{\alpha}-reductase$ 2 ($5{\alpha}-R2$) 활성과 dihydrotestosterone (DHT) 함량을 감소시켰음을 보고한다. RWPE-1 전립선 세포는 24-well plate에서 ABMLCE (0~50 ppm), EA (0~10 ppm,), finasteride (FS $10{\mu}M$: positive Control)를 함유한 Keratinocyte serum-free medium (K-SFM)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시료처리 세포배양액에 대해 $5{\alpha}-R2$,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cyclooxygenase-2 (COX-2) 효소활성, TS, DHT,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와 $interleukin-1{\beta}$ ($IL-1{\beta}$)를 assay ki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5{\alpha}-R2$ 활성과 DHT 함량은 ABMLCE의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p<0.05) 있게 감소되었고, SOD와 CAT 효소활성은 유의성(p<0.05) 있게 증가되었다. 반면에 COX-2 활성과 $TNF-{\alpha}$$IL-1{\beta}$의 함량은 감소되었다(p<0.05). 마찬가지로 EA의 효과도 ABMLCE 효과와 유사하였다. ABMLCE 50 ppm과 EA 10 ppm의 $5{\alpha}-R2$ 및 DHT 감소효과는 FS $10{\mu}M$ 효과와 유사하였다. 이들 결과는 ABMLCE와 EA는 항염증효과와 항산화효과를 통하여 BPH 유발 핵심 인자인 $5{\alpha}-R2$ 효소활성과 DHT 함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이 결과는 EA를 함유하는 ABMLCE는 인체 BPH 개선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호로파와 야관문 복합추출물이 과산화수소로 산화적 스트레스가 가해진 TM3 세포의 테스토스테론 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mixture of fenugreek seeds and Lespedeza cuneata extracts on testosterone synthesis in TM3 cells oxidative stressed with H2O2)

  • 이경수;이은경;서윤희;최수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305-311
    • /
    • 2016
  • 본 연구는 야관문과 호로파 복합추출물인 YHM이 과산화수소($H_2O_2$)로 산화적스트레스를 가한 TM3 세포의 테스토스테론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세포독성 시험을 수행하여 YHM의 경우 $40{\mu}g/mL$을 최고 농도로 중농도 $20{\mu}g/mL$, 저농도 $10{\mu}g/mL$ 처리군을 설정하였고, TM3 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주기 위해서는, serum free 배지에 $50{\mu}M$의 과산화수소를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가 가해진 TM3 세포에 YHM 시료를 처리하여 세포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을 때 모든 농도 처리군에서 세포증식이나 독성이 없었다. 테스토스테론은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였을 때 감소하였다가 YHM 시료를 처리하였을 때 control 수준으로 회복되거나, control 보다 더 증가하였다. 또한 시료에 의한 테스토스테론 양의 증가원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테스토스테론 합성 및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발현량을 ELISA와 Real-time PCR을 통해 알아보았다. 테스토스테론 합성에 관여하는 $3{\beta}$-HSD4와 17,20-desmorase는 과산화수소 처리 시 감소하였다가, YHM을 처리하였을 때는 control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테스토스테론을 estradiol 및 dihydrotestosterone로 변환시키는 aromatase와 $5{\alpha}$-reductase2는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였을 때 증가하였다가 YHM 시료를 처리하면 control 수준이나 그 이하로 감소하였다. 이 결과들로 보았을 때 YHM 시료는 TM3 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 하지만,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감소된 테스토스테론 합성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반대로 증가되는 테스토스테론 분해 효소의 발현은 감소시켜, 결국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저하된 테스토스테론의 양을 회복시키거나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대혈 및 말포혈로부터 분리한 CD34 양성 세포의 체외 증폭 및 클론 유지 (Ex vivo Expansion and Clonal Maintenance of CD34+ Selected Cells from Cord Blood and Peripheral Blood)

  • 김순기;길혜윤;송순욱;최종원;박상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8호
    • /
    • pp.894-900
    • /
    • 2005
  • 목 적 : 조직적합 항원의 불일치로 인하여 골수이식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점점 더 제대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대혈의 조혈모세포의 수가 적기 때문에 이를 증가시킬 대책이 필요한 바, 여러 성장인자를 조합하여 체외증폭하여 말초혈의 체외증폭과 비교하였다. 방 법 : 저자들은 제대혈 및 말초혈로부터 분리한 CD34+ 세포를 혈청이 아닌 배양체에서 체외 증폭하여 비교하였다. Miltenyi 방법으로 분리한 CD34+는 조혈성장인자들과 함께 체외 증폭 시켰다. 증폭 당일, 4일 후, 7일 후 및 14일에 증폭된 세포를 가지고 burst-forming units of erythrocytes (BFU-E), colony-forming units of granulocytes and monocytes (CFU-GM) 및 colony-forming units of megakaryocytes (CFU-Mk)의 생성 능력을 알아보았다. 결 과 : 말초혈에 비하여 제대혈로부터 분리한 CD34+ 세포의 증폭 능력이 2배로 컸다. 체외에서7일 및 14일 동안 증폭된 제대혈이 더 많은 BFU-E를 생성하였고, 4일 및 7일 동안 증폭된 제대혈이 더 많은 CFU-Mk를 생성하였다. 결 론 : MGDF, FL 및 IL-3를 포함한 성장인자의 자극 하에서 제대혈의 체외 증폭이 더 많은 BFU-E 및 CFU-Mk를 생성하였으므로, 이를 이용한 체외 증폭을 시도하는 것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Biological Function of Single Chain Glycoprotein Hormone Mutants

  • Min, Kwan-Sik;Chang, Yoo-Min;Chang, Sun-Hwa;Lee, Hyen-Gi;Lee, Yun-Gun;Chang, Won-Kyong;Cheong, Il-Cheong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4-54
    • /
    • 2001
  •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is a member of the glycoprotein hormone family which includes FSH, hCG, TSH. These hormone family is characterized by a heterodimeric structure composed a common $\alpha$-subunit noncovalently linked to a hormone specific $\beta$-subunit. The correct conformation of the heterodimer is also important for efficient secretion, hormone-specific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receptor binding and signal transduciton. To determine $\alpha$ and $\beta$-subunits can be synthesized as a single polypeptide chain (tethered-hCG) and also display biological activity, the tethered-hCG molecule by fusing the carboxyl terminus of the hCG $\beta$-subunit to the amino terminus of the $\alpha$-subunit was constructed and transfected into chinese hamster ovary (CHO-K1) cells. We also constructed C-terminal deletion mutants (D9l, D89, D88, D87, D86, D84, D83) of single chain hCG to determine the biological function (secretion, LH-activity, receptor binding, cAMP production) of these mutants. Between six and eight stably transfected pools of cells expressing wild type and mutant hCGs were selected for neomycin resistant. The hCGs secreted by the stably transfected cells into serum-free media were collected and quantified by radioimmunoassay, as described in protocol (DPC(hCG IRMA). LH activity was in terms of testosterone production and aromatase activity in primary cultured rat Leydig cells. The tethered-wthCG was efficiently secreted and showed similar LH-like activity to the dimeric hCG. The D83hCG mutant was not detected in this assay. It is suggest that hCG C-terminal part is very important for hCG secretion. Now, we checking the LH-like activity of these mutant hCGs.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constructs of tethered molecule will be useful in the study of mutants that affect subunit association and/or secretion.

  • PDF

Conjugated Linoleic Acid가 대장암 세포인 HT-29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the Proliferation of the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HT-29)

  • 김은지;조한진;김석종;강영희;하영래;윤정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8호
    • /
    • pp.896-904
    • /
    • 2001
  • Conjugated linoleic acid(CLA) is a group of positional and geometric isomers of linoleic acid(LA) and exhibits anticarcinogenic activity in multiple experimental animal models. Cis-9,trns-11(c9t11) and trans-10,cis-12(t10c12) CLA are the principal isomers found in food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CLA and the two isomers inhibits HT-29 cell proliferation and to assess whether such an effect was related to changes in secretion of eicosanoids. Cells were incubated in serum-free medium with various concentrations(0 to 20$\mu$M) of CLA or LA. CLA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maximal inhibition(70 $\pm$ 1%) observed at 20$\mu$M concentration after 96 hours. However, LA had no effect at the same concentration range. To compare the ability of c9f11 and t10c12 to inhibit cell proliferation, cells were incubat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0 to 4$\mu$M) of these isomers. T10c12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A 66 $\pm$ 2% decrease in cell number was observed within 96 hours after addition of 4$\mu$M t10c12. By contrast, c9t11 had no effect. The concentrations of CLA and the two isomers in the plasma membrane were increased when they were added to the incubation medium. However, they did not alter the levels of arachidonic acid in plasma membrane. To assess whether the proliferation inhibiting effect of CLA was related to changes in eicosanoid production, prostaglandin E$_2$(PGE$_2$) and leukotriene B$_4$(LTB$_4$) concentrations in conditioned media were estimated by a competitive enzyme immunoassay. Both CLA and t10c12 increased the production of materials reactive to PGE$_2$ and LTB$_4$ antibodies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contrast, c9t11 had no effe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hibition of HT-29 cell proliferation by CLA is attributed to the effect of the t10v12 isomer. The materials reactive to PGE$_2$ and LTB$_4$ antibodies may inhibit growth stimulatory effect of arachidonic acid-derived eicosanoids on HT-29 cell proliferation.

  • PDF

갑상선세포에서 sericin에 의한 thyroglobulin의 분비증가 (Sericin Enhances Secretion of Thyroglobulin in the Thyrocytes)

  • 진초이;송성희;고영화;권기상;윤은영;구태원;여주홍;김승환;최종순;유권;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249-1253
    • /
    • 2010
  • Sericin은 실크를 싸고 있는 고분자 수용성 당단백질로서 세포배양에 사용되며 세포분화를 촉진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갑상선세포(FRTL-5)에서 thyroglobulin (Tg)의 분비에 sericin이 영향을 주는지를 알려고 한다. Sericin에 의해서 Tg의 분비가 촉진되었지만 Tg-mRNA의 발현은 촉진되지 않았다. 이런 상태에서 소포체 샤페론(Bip & calreticulin)과 소포체 막 단백질(IRE1, PERK & ATF6)의 발현이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IRE1의 하부 신호전달자인 XBP1의 mRNA splicing 이 약하게 확인되었지만 PERK의 하부 신호전달자인 $eIF2{\alpha}$의 인산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sericin은 MTT assay 결과 cell viability을 촉진시키는 것도 확인되었다. 위의 결과는 sericin은 재조합 단백질생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새로운 생체물질로 증명되었다.

자궁내막증 환자의 복강액내 IGF가 자궁내막 기질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in Peritoneal Fluid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on the Proliferation of Endometrial Stromal Cells)

  • 김정구;서창석;김석현;최영민;문신용;이진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3호
    • /
    • pp.331-338
    • /
    • 199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s in peritoneal fluid (PF) from patients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on the proliferation of endometrial stromal cell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ype I IGF receptor antibody on the response of endometrial stromal cells to PF from patients with endometriosis. IGFs in PF from patients with endometriosis (n=14) and without endometriosis (n=10) were measured by immunoradiometric assay and PF samples were divided into low IGF-I PF group (less than 85 ng/ml) and high IGF-I PF group (more than 85 ng/ml). Endometrial stromal cells from patients without endometriosis were cultured in serum free media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1 % PF and thymidine incorporation test were used to evaluate the proliferation of endometrial stromal cells. Also cultures were incubated with type I IGF receptor monoclonal antibody (${\alpha}IR_3$) before adding PF. PF from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without endometriosis increased thymidine incorporation in endometrial stromal cells.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high IGF-I PF group had high IGF-II levels and resulted in higher thymidine incorporation than low IGF-I PF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rease in thymidine incorporation between high IGF-I and low IGF-I PF group was noted in patients without endometriosi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crease in thymidine incorporation and IGF-I levels in PF from patients without endometriosis but in PF from patients with endometriosis. Preincubation with ${\alpha}IR_3$ significantly inhibited the mitogenic response of endometrial stromal cells to PF. Our data indicate that IGF-I in PF may be involved in the growth of ectopic endometrium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 PDF

PVA, PVP 및 pFF를 첨가한 체외성숙 한정배지가 미성숙 돼지 난포란의 성숙과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velopment and Viability of Pig Oocytes Matured in Defined Medium Containing PVA, PVP and pFF)

  • 김인덕;김세나;한숙기;석호봉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9-227
    • /
    • 2004
  • 본 연구는 체외 성숙액인 TCM-199 배지를 기초로 무혈청첨가물인 PVA, PVP 및 pFF의 한정배지를 이용하여 돼지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 수정 및 배양 후 난자의 수정율과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나아가 BSA 대체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1. 무혈청 첨가물을 이용하여 난포란의 체외 성숙을 유기한 결과 PVA, PVP, pFF, BSA의 전체 분할율은 각각 82.4%, 78.6%, 89.4%, 90.0%로 나타났으며, GV, MI-MII율은 PVA 첨가시 각각 15.1%, 84.9%, PVP는 각각 26.5%, 73.5%, pFF는 각각 11.8%, 88.2%, BSA는 각각 11.1%, 88.9%로 PVA 혹은 pFF 첨가시에는 모두 BSA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PVP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 2. 체외 성숙된 난자를 수정시킨 후의 배발달율을 확인한 결과 전체 난할율은 PVA가 73%, PVP는 64.1% , pFF가 77.2%, BSA가 73%로 PVA와 pFF는 BSA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PVP는 그 발달율이 다른 처리군 들과 비교하여 유의적(P<0.05)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3. 각 처리구간의 morulae와 blastocyst의 합을 비교한 결과 체외성숙 첨가물 중 PVA와 pFF는 각각 63%, 69%로 BSA(65%)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PVP는 54%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4. 전체 성숙율과 수정율을 비교해 본 결과 성숙 율은 PVA, pFF, BSA가 82.4%, 89.4%, 90.0%인 반면 PVP는 72.4%로 유의적으로(P<0.05) 낮은 결과를 보였고, 수정율은 pFF, BSA가 각각 87.1%, 89.1%로 PVA, PVP의 78.0%, 70.6%에 비해 각각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 및 배양 배지에 있어 PVA, pFF 첨가는 BSA 대체물로서 이용이 가능하나 PVP는 그 이용에 제한이 따를 것으로 판단된다.

대장암의 간 전이 진단: 이중시기 CT, Mn-DPDP 조영증강 MRI, 그리고 CT-MRI 종합 판독의 비교 (Preoperative Detection of Hepatic Metastases from the colorectal Cancers: Comparison of Dual-phase CT scan, Mn-DPDP enhanced MRI, and combination of CT and MRI)

  • 신경민;김종열;최규석;김혜정;이종민;장용민;김용선;강덕식;염헌규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9권2호
    • /
    • pp.109-116
    • /
    • 2005
  • 목적 : 대장암의 간 전이 진단에서 CT와 MRI 단독 판독과 CT-MRI 종합 판독의 성적을 비교하여 부가적인 Mn-DPDP 조영증강 MRI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53명의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수술전 이중시기 CT에서 전이성 병소가 의심되거나 혈청 CEA(carcinoembryonic antigen) 수치가 10 ng/mL 로 증가하여 부가적인 Mn-DPDP 조영증강 MRI를 시행하였다. 두 명의 방사선과 의사가 독립적으로 15 일 간격을 두고 CT 단독 판독, MRI 단독 판독, CT와 MRI를 종합하여 판독하였다. 각 병변의 크기, 위치, 악성 유무를 평가하였으며 크기에 따라 1 cm 미만(A 그룹), 1 cm 에서 2 cm 미만(B 그룹), 2 cm 이상(C 그룹)의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ROC 곡선을 이용하여 진단적 정확도를 비교하였으며 발견율과 위양성율을 구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 A 그룹에서 CT와 MRI를 종합하여 판독한 경우는 CT, MRI를 단독으로 판독한 경우와 비교하여 병변의 발견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82%, p=0.036). B그룹에서는 CT와 MRI를 종합하여 판독한 경우 CT를 단독으로 판독한 경우와 비교하여 Az 값이 유의하게 낮았으며(<1 cm, p=0.034; 1-2 cm, p=0.045) MRI 단독 판독과 비교하여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위양성율에 있어서는 CT 단독 판독의 경우, CT와 MRI의 종합 판독과 비교하여 A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28 %, p=0.023). 결론 : 대장암 환자에서 병기결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나선형 CT 외에 부가적 Mn-DPDP 조영증강 MRI는 2 cm 미만의 간 병변의 감별에 있어 유용하며, 특히 1cm 미만의 작은 간 전이 발견에 있어서는 CT 또는 MRI 단독 판독의 경우보다 발견율을 높일 수 있어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